경제
조선업 인력난, 외국인 양성으로 해소
황보람
입력 : 2023.05.29 20:54
조회수 : 1045
1
0
<앵커>
국내 조선업이 전 세계 수주 실적 1위를 탈환하며 다시 호황기를 맞고 있지만, 고질적인 인력난이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정부와 교육기관 등이 나서 외국인 인력 양성 등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황보 람 기자입니다.
<기자>
외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수업이 한창인 대학 강의실입니다.
{한국어 강사/"먹은 사과는 언제 먹었어요? 과거, 그렇지. 어제 먹었어."}
한국어 수업을 거친 학생들은 정규 교육 과정에서 가공과 용접 등 조선업에 적용되는 다양한 현장교육을 받습니다.
이 대학 정원의 15% 정도가 이같은 교육과정을 들어간 외국인 유학생들입니다. 이같은 실무 교육을 받고 졸업한 뒤, 곧바로 조선업 현장에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옹엔딕헌/베트남 유학생/"기술을 많이 공부해서 나중에 졸업하고 나서, 조선소에서 바로 일 할 수 있습니다. 많이 좋습니다."}
국내 조선업은 올해 1분기에만 전세계 수주 물량의 40%를 확보하며 세계 1위를 달성했습니다.
12년 만에 일감이 가장 많은 상황인데, 정작 일할 사람이 없습니다.
올해 말까지 1만 4천 명이 부족합니다.
정부가 해마다 5천명의 외국인 노동자 충원 계획을 내놓았지만, 숙련된 인력 확보는 쉽지 않습니다.
최근 전문가 단체와 교육기관, 기업들이 손을 맞잡고 외국인 전문 인력 양성에 나서고 있는 이유입니다.
{양승주/거제대학교 국제교류원장/"대학에서 교육 받은 인력은 한국어 능력이 우수하고, 전공 직무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조선소에서 훨씬 더 잘 적응할 수 있고, 외국에서 직도입한 인력에 대한 중간 관리자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외국인 노동자 확보가 조선업 인력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닌 만큼, 처우 개선 등 장기적 대책 마련이 절실해 보입니다.
KNN 황보 람입니다.
국내 조선업이 전 세계 수주 실적 1위를 탈환하며 다시 호황기를 맞고 있지만, 고질적인 인력난이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정부와 교육기관 등이 나서 외국인 인력 양성 등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황보 람 기자입니다.
<기자>
외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수업이 한창인 대학 강의실입니다.
{한국어 강사/"먹은 사과는 언제 먹었어요? 과거, 그렇지. 어제 먹었어."}
한국어 수업을 거친 학생들은 정규 교육 과정에서 가공과 용접 등 조선업에 적용되는 다양한 현장교육을 받습니다.
이 대학 정원의 15% 정도가 이같은 교육과정을 들어간 외국인 유학생들입니다. 이같은 실무 교육을 받고 졸업한 뒤, 곧바로 조선업 현장에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옹엔딕헌/베트남 유학생/"기술을 많이 공부해서 나중에 졸업하고 나서, 조선소에서 바로 일 할 수 있습니다. 많이 좋습니다."}
국내 조선업은 올해 1분기에만 전세계 수주 물량의 40%를 확보하며 세계 1위를 달성했습니다.
12년 만에 일감이 가장 많은 상황인데, 정작 일할 사람이 없습니다.
올해 말까지 1만 4천 명이 부족합니다.
정부가 해마다 5천명의 외국인 노동자 충원 계획을 내놓았지만, 숙련된 인력 확보는 쉽지 않습니다.
최근 전문가 단체와 교육기관, 기업들이 손을 맞잡고 외국인 전문 인력 양성에 나서고 있는 이유입니다.
{양승주/거제대학교 국제교류원장/"대학에서 교육 받은 인력은 한국어 능력이 우수하고, 전공 직무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조선소에서 훨씬 더 잘 적응할 수 있고, 외국에서 직도입한 인력에 대한 중간 관리자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외국인 노동자 확보가 조선업 인력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닌 만큼, 처우 개선 등 장기적 대책 마련이 절실해 보입니다.
KNN 황보 람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황보람 기자
lhwangb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양산도시철도 7년 만에 시운전 돌입, 운영사 선정은?2025.05.08
-
현직 경찰이 거액 보이스피싱 조직에 가담, 1명 구속2025.05.08
-
6명 숨진 '반얀트리 참사'...드러난 인허가 비리2025.05.08
-
<단독> 하루 행사에 1억 3천만 원...수상한 수의계약2025.05.07
-
<현장> '제2의 잼버리 사태' 황금연휴 망친 민폐 라면축제2025.05.07
-
현대건설 배짱...나쁜 선례 만드는데 손놓은 부산시2025.05.07
-
부산도시철도망 계획안 공개..또 희망고문?2025.05.07
-
NC파크 올해 재개장 물건너가 지역경제 타격2025.05.07
-
관광 회복 기대했지만...지역별 온도차에 '아쉬움'2025.05.06
-
공공기여 약속 29층이 25층으로...슬그머니 축소?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