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역발전 60조 투입 삼성, 부산도 수혜
윤혜림
입력 : 2023.04.20 20:56
조회수 : 3825
0
0
<앵커>
삼성이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지역 계열사 사업장에 앞으로 10년 동안 60조 1천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는데요,
부산에 사업장이 있는 삼성전기가 그 수혜를 받아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윤혜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반도체에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해 원활하게 작동하게 하는 부품인 MLCC입니다.
스마트폰이나 TV, 전기자동차에 사용됩니다.
이 MLCC는 머리카락보다도 얇아서 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데요, 최신스마트폰에는 1천여개가, 전기자동차에는 최대 2만여개가 들어갑니다.
전자제품 가운데 가장 작은 크기지만 와인잔 한 잔을 채우면 1억원 정도 하는 고부가 부품입니다.
아직까지 일본이 전세계 시장에서 60% 가까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MLCC 국내 핵심 생산기지인 삼성전기 부산사업장입니다.
국내 생산량의 대부분을 바로 이 곳에서 만들고 있는데 특히 전장용, 즉 전기자동차용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전기자동차 전용 생산라인을 구축한데 이어 2020년에는 전용 원재료 공장까지 만들어 주력 생산 기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가 더 기대됩니다.
삼성이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비수도권 계열사에 60조 1천억원을 투자하겠다 밝히면서 부산을 중심으로도 새로운 도약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부산을 MLCC 특구로 지정해 공장 확장과 신규 채용도 큰 폭으로 이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박선철 삼성전기 부산사업장 단지장/"앞으로 삼성전기는 신규종 및 원재료 내재화를 위한 연구에 집중 투자해 부산의 첨단 MLCC 특화 거점으로 집중 육성하고 우수한 지역 인력들도 적극 채용해 연구개발에 투입해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작지만 필수적이라고 해서 전자산업의 쌀로 여겨지는 MLCC 산업, 부산을 중심으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KNN 윤혜림입니다.
삼성이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지역 계열사 사업장에 앞으로 10년 동안 60조 1천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는데요,
부산에 사업장이 있는 삼성전기가 그 수혜를 받아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윤혜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반도체에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해 원활하게 작동하게 하는 부품인 MLCC입니다.
스마트폰이나 TV, 전기자동차에 사용됩니다.
이 MLCC는 머리카락보다도 얇아서 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데요, 최신스마트폰에는 1천여개가, 전기자동차에는 최대 2만여개가 들어갑니다.
전자제품 가운데 가장 작은 크기지만 와인잔 한 잔을 채우면 1억원 정도 하는 고부가 부품입니다.
아직까지 일본이 전세계 시장에서 60% 가까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MLCC 국내 핵심 생산기지인 삼성전기 부산사업장입니다.
국내 생산량의 대부분을 바로 이 곳에서 만들고 있는데 특히 전장용, 즉 전기자동차용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전기자동차 전용 생산라인을 구축한데 이어 2020년에는 전용 원재료 공장까지 만들어 주력 생산 기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가 더 기대됩니다.
삼성이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비수도권 계열사에 60조 1천억원을 투자하겠다 밝히면서 부산을 중심으로도 새로운 도약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부산을 MLCC 특구로 지정해 공장 확장과 신규 채용도 큰 폭으로 이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박선철 삼성전기 부산사업장 단지장/"앞으로 삼성전기는 신규종 및 원재료 내재화를 위한 연구에 집중 투자해 부산의 첨단 MLCC 특화 거점으로 집중 육성하고 우수한 지역 인력들도 적극 채용해 연구개발에 투입해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작지만 필수적이라고 해서 전자산업의 쌀로 여겨지는 MLCC 산업, 부산을 중심으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KNN 윤혜림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윤혜림 기자
yoon@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민선 8기 3년 성과는? 여권 거센 도전 예상2025.07.01
-
횡령으로 초호화생활 결국엔 35년 철창 신세2025.07.01
-
클래식은 대박, K팝은 글쎄2025.07.01
-
금어기 끝난 남해안 멸치잡이 첫 출어2025.07.01
-
'일본 대지진' 진짜오나?... 부산경남 불안감 증폭2025.07.01
-
[현장]장마*태풍 코앞, 대비 안 된 농촌 '걱정'2025.06.30
-
[현장]내 집 마당 전봇대, 이설 요구에 한전은 "방법 없어"2025.06.30
-
5천원 치킨 5백원 라면 가성비로 한판승부2025.06.30
-
<현장>멀쩡한 물고기가 죽어가요...'유령어업'을 아십니까?2025.06.30
-
밀양 36도 '찜통 더위', 폭염경보 확대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