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시계부터 달력까지, 몰카 더 교묘해졌다
조진욱
입력 : 2023.04.13 18:13
조회수 : 1647
0
0
<앵커>
중국산 몰래 카메라를 불법으로 수입해 팔던 밀수업자가 세관에 붙잡혔습니다.
해외직구 형태로 소량으로 들여와 단속을 피했는데, 옷이나 액세서리 등 어디든 붙여 쓸 수 있는 부품형태의 몰카도 적발됐습니다.
조진욱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월, 경남의 한 공공기관 여자탈의실에서 불법 몰래 카메라가 발견됐습니다.
2cm 크기의 작은 주사위 모양이라 몰카로 의심받지 않았습니다.
이같은 불법 몰래 카메라는 더욱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사무공간처럼 보이는 이곳엔 불법 몰래카메라가 10개나 숨겨져 있습니다.
이 탁상시계도 알고보니 몰래카메라 였는데요.
화분이나 달력처럼 어디든 숨길 수 있는 모듈형 카메라도 적발됐습니다.
손목시계부터 심지어 휴대폰 밑 스피커 단자까지 교묘하게 달려있습니다.
초고화질 영상인데다 원격제어도 가능해 작은 구멍만 있으면 어디든 몰카를 숨길 수 있는 겁니다.
{조태호/ 부산세관 수사1팀 수사관/ "렌즈 크기도 매우 작고 전자부품형태로 돼 있어서 일상생활 용품에 넣어서 위장하게 된다면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부산세관은 1억 3천만 원 상당의 몰카와 녹음기 4천 9백여 점을 중국에서 밀수한 업자 두 명을 붙잡았습니다.
해외직구 형태로 소량씩 들여왔는데, 육안 구분이 힘들어 600번 넘게 세관 단속을 피했습니다.
문제는 이 제품들이 전파법 인증만 받으면 합법적 유통이 가능하단 점입니다.
몇 만원만 주면 인터넷에서 구매할 수 있다 보니 악용 사례가 많습니다.
{양창규/ 부산세관 수사1팀장/ "정상적으로 수입하기 위해선 수입요건이 전파법에 따른 적합 등록을 했어야 하는데요. 초소형 카메라 자체로 (인증을) 받으면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최근 6년 동안 부산경남에서 발생한 몰카범죄 건수는 3천 5백 건이 넘습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중국산 몰래 카메라를 불법으로 수입해 팔던 밀수업자가 세관에 붙잡혔습니다.
해외직구 형태로 소량으로 들여와 단속을 피했는데, 옷이나 액세서리 등 어디든 붙여 쓸 수 있는 부품형태의 몰카도 적발됐습니다.
조진욱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월, 경남의 한 공공기관 여자탈의실에서 불법 몰래 카메라가 발견됐습니다.
2cm 크기의 작은 주사위 모양이라 몰카로 의심받지 않았습니다.
이같은 불법 몰래 카메라는 더욱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사무공간처럼 보이는 이곳엔 불법 몰래카메라가 10개나 숨겨져 있습니다.
이 탁상시계도 알고보니 몰래카메라 였는데요.
화분이나 달력처럼 어디든 숨길 수 있는 모듈형 카메라도 적발됐습니다.
손목시계부터 심지어 휴대폰 밑 스피커 단자까지 교묘하게 달려있습니다.
초고화질 영상인데다 원격제어도 가능해 작은 구멍만 있으면 어디든 몰카를 숨길 수 있는 겁니다.
{조태호/ 부산세관 수사1팀 수사관/ "렌즈 크기도 매우 작고 전자부품형태로 돼 있어서 일상생활 용품에 넣어서 위장하게 된다면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부산세관은 1억 3천만 원 상당의 몰카와 녹음기 4천 9백여 점을 중국에서 밀수한 업자 두 명을 붙잡았습니다.
해외직구 형태로 소량씩 들여왔는데, 육안 구분이 힘들어 600번 넘게 세관 단속을 피했습니다.
문제는 이 제품들이 전파법 인증만 받으면 합법적 유통이 가능하단 점입니다.
몇 만원만 주면 인터넷에서 구매할 수 있다 보니 악용 사례가 많습니다.
{양창규/ 부산세관 수사1팀장/ "정상적으로 수입하기 위해선 수입요건이 전파법에 따른 적합 등록을 했어야 하는데요. 초소형 카메라 자체로 (인증을) 받으면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최근 6년 동안 부산경남에서 발생한 몰카범죄 건수는 3천 5백 건이 넘습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조진욱 기자
joj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산사태로 마을 초토화, 주민 망연자실2025.07.20
-
산청 600mm 폭우에 피해 집중2025.07.20
-
천마산 모노레일 '계약 해지'..사업 무기한 연기?2025.07.19
-
'무너지고 넘치고'...화마 피해 입은 산청, 이번은 수마2025.07.19
-
해수부 수산 업무 강화 한 목소리2025.07.18
-
미국통상협상에 사과 농가 등 '부글부글'2025.07.18
-
텅텅 빈 ‘해운대페스타’...대박행진 광안리와 대조2025.07.18
-
경남 곳곳에서 폭우 피해..."앞으로가 더 걱정"2025.07.18
-
[전화연결]경남 호우 특보 비피해 속출2025.07.18
-
[현장] 더운데 폭우까지...경남 농가 이중고2025.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