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사회

고리1호기 폐로 수순 밟아야

진재운 입력 : 2013.08.20 20:54
조회수 : 762
(앵커)

30년이 넘어 1차 수명연장에 들어간 고리 원전 1호기를 폐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최대 9천억원이 투입되는 폐로작업 자체가 하나의 산업이 되면서 오히려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진재운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고리원전에서 후쿠시마나 체르노빌
같은 사고가 나면 그 피해는
얼마나 될까?

환경운동연합 조사결과
원전 반경 30km 이내에 3백20만명이
거주하면서 인명 피해가 최대 90만명으로 걷잡을 수 없게 됩니다.

여기에 경제적 피해 규모도
6백28조원으로 추산됩니다.

더욱이 부산경제의 핵심인
항만 물류산업이 마비되면서
한국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이 때문에 이제는 폐로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전문가들 사이에서 본격적으로
터져나오고 있습니다.

경성대 김해창 교수는
먼저 폐로전담 기구를 기장에
설치하는 것을 시작으로
폐로 로드맵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해체비용이 3천억에서
최대 9천억 원에 달하는 비용을
국가가 적립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동의대 김유창 교수는 수천억원이 투입될 수밖에 없는 폐로작업이
하나의 산업이 돼 지역경제에
오히려 도움이 된다고 밝혔습니다.

참석자들은 현재 5km인 원전방재구역을 반경 30km로 확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여기에 필요한 경비는 물이용부담금처럼 원자력안전이용 부담금을 신설해 충당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사고은폐와 불량부품 등으로 상실한 원전의 신뢰를 회복하는 방법이 바로 고리 1호기 폐로라고 강조했습니다.

knn 진재운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