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모닝 플러스

<앵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김춘수 시인의 '꽃'입니다.

평생, 사각 프레임에 거대한 자연을 담아온 작가의 눈에 들어온 작고 여린 '꽃'은 어떤 의미일까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던 자연이
'나에게로 와서' 꽃으로 피어나는 순간을 담아낸 사진 전시장으로 함께 가보시죠!}

국제신문 기자이자, 국제문화예술명인*명장회 수중사진 명인, 박수현 작가가 자연과 생명이 피어나는 순간을 포착한 개인전이

부산 서면 국제아트센터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지난 38년간, 스쿠버다이빙 2,350회, 남극탐사 3회, 북극탐사 4회라는, 총 7번의 극지탐사를 다니며

바닷속 여정에서 마주한 것을 사각의 프레임에 담아왔는데요.

3년 전 이른 봄, 바닷가 언덕에 피어 있던 한 송이 민들레에 마음을 빼앗기고

민들레와 함께 자리한 작은 들꽃을 보며, 생명에 대한 감동과 기쁨을 느꼈다는 박수현 작가.

{ 지난 38년 동안 수중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남극과 북극을 7차례 다녀왔는데요. 그 과정에서 만났던 꽃의 아름다움을 3년 전에 처음 보게 되었어요. 꽃과 바다와 극지를 같이 생명이 피어난다는 의미가 저에게 크게 와닿았습니다. 이번 전시 주제를 '블루밍, 생명이 피어난다'라는 주제로 극지와 바다, 그리고 꽃의 생명력을 함께 담아냈습니다.}

꽃은 작가가 남극, 북극으로 떠나는 여정에 소중한 동반자가 되어주었는데요.

꽃을 만나게 해 준 바다를 떠나서는 온전히 전할 수 없었던 꽃 이야기...

'블루밍', 자연과 생명이 피어나는 순간을 담은 박수현 작가의 15번째 개인전에서

바다와 극지에서 마주한 생명의 아름다움을 함께 감상해 보시죠!

지역 작가 발굴에 집중하기 위해 작년부터 부산시가 주최하는 신진작가 아트쇼 '부산, 커넥티드' .

올해 모집에는 총 80팀, 160명이 몰려 인기를 실감했는데요.

최종 선정된 10팀의 작품이 부산근현대역사관 금고미술관에서 전시되고 있습니다.

회화, 조각, 사진, 설치, 미디어, 공예 등 현대미술 전 분야에 걸쳐 진행된 이번 공모전에 최종 선정된 10팀은

'파편과 실', '윤과 백', '유유' , '루미네아', '에이치에이치', '우리두리', '해상단', '변방의 삐소리', '평행교차'와 '아키비스트' 인데요.

{ 각자의 방식으로 '기록'이라는 키워드를 풀어서 그것을 개별적으로 작업하고, 그걸 같이 하나의 작품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구성한 작업입니다.}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하는 부산 출신 신진 작가를 육성하고,

새로운 기획과 전시를 지원하기 위한 이번 전시에서

지역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신진 예술가들의 작품을 만나보는 시간, 함께해 보시죠!

광복 80주년을 맞아 영*호남 교류 연주회 <송 오브 아리랑>이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펼쳐집니다.

이번 공연은 부산*광주*대구시립합창단을 비롯해 해운대구립소년소녀합창단,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유나이티드 코리안 오케스트라 단원 250여 명의 출연진이 함께하는 대규모 무대로 꾸며지는데요.

총 6부로 구성된 <송 오브 아리랑>은 진도아리랑*밀양아리랑*강원도아리랑과 같이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선율뿐 아니라

다양한 지역의 잘 알려지지 않은 30여 종의 아리랑을 집대성해 만든 대작입니다

‘평화와 사랑’의 의미를 전하는 이번 공연을 통해 영*호남 도시 간 문화 교류를 활성화하고,

광복 80주년의 역사적 의미를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 가져보시죠!



KNN 인물포커스입니다.
아세안과 우리나라 영화인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단기 영화 제작 워크숍이죠.
한*아세안 차세대 영화 인재 육성 사업, '플라이 프로젝트'가 지금 부산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교육생들에게 작품 기획부터 연출, 촬영 전반에 대한 노하우를 가르치고 계신 이종석 영화 감독 모시고, 자세한 얘기 한번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Q.
반갑습니다. 저는 감독님을, 현빈, 손예진 주연의 영화 '협상'의 감독님으로 알고 있는데요. 먼저, 감독님 소개부터 부탁드리겠습니다.

A.
안녕하세요. 저는 이종석입니다.
손예진, 현빈 주연의 '협상' 그리고 박지현 주연의 '동화지만 청불입니다'
그리고 9월 17일에 개봉하는데요. 옴니버스 단편 영화인 '빌리브'에서 '아무도 없다'라는 영화의 연출을 맡고 있는 이종석입니다.

그런데 제가 '플라이'라는 행사가 있어서 부산에 오게 됐고요. '플라이'라는 행사는 지금 11년째 되고 있는데, 저는 3년 정도 참여하고 그래서 올해는 부산에서 원래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하는 행사인데, 올해는 부산에서 마지막 11년 행사가 끝나는 자리여서 이제 오게 됐습니다.

Q.
이렇게 활발하게 활동하고 계신 감독님께서 영화 전반에 대해서 노하우를 가르치고 계신 '플라이 프로젝트', 어떤 행사인지 소개 부탁드리겠습니다.

A.
'플라이 프로젝트'는 아시아의 11개국 한국을 포함하면 11개국에서 각 나라에서 2명씩, 아직 감독이 되지 못한 영화인이 되고 싶어 하는 20대의 청년을 모아서, 한 나라에 같이 모아서 같이 영화 제작을 합니다. 단편 영화를. 그리고 그것을 현직에서 일하는 감독님들이 오셔서 그것들을 가르쳐 주시고 같이 이렇게 도움을 주는 그런 프로그램인데요.

그러니까 그런 영화 제작 과정을 통해서 그런 학생들이 좀 더 뭔가를 배워나가고 이런 걸 익혀나가게 하는, 그러면서 각 나라의 문화도 배우는 그런 프로그램입니다. 그래서 지난 10년 동안 각 11개국을 다 돌아다녔고요. 근데 올해가 이제 마지막이라, 부산에서 대미를 장식하는 그런 프로그램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Q.
지난 4일에 입학식을 했습니다. '플라이 2025' 지금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A.
우리가 원래 모인 거는 되게 오래돼요. 두 달 정도 같이 시나리오 작업하고 그 시나리오를 가지고 여기 모여서 프로필 러덕션을 하고, 그러니까 장소를 보고, 배우를 만나고, 그렇게 한 다음에 이제 촬영 준비해서 촬영합니다. 그게 끝나면 편집하고, 음악, 미술 다 넣어서 이제 저희 졸업식 때 최종 스크리닝을 하면서 이제 끝나게 됩니다.

올해는 근데 마지막에 부산국제영화제의 개막식이 같이 겹쳐서 다 같이 가서 개막식을 보는 게 마지막 행사로 지금 예정되어 있습니다.

Q.
10년이 넘게 이어져 온 이번 프로젝트가 부산에서 마침표를 찍는다는 건 굉장히 의미가 있을 것 같은데요. 차세대 영화인 육성 사업이 부산에서 대미를 장식한다는 것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
저는 부산이 되게 상징적인 도시라고 생각합니다. 영화 산업에 있어서 그래서 부산의 영화 산업이 얼마나 잘 되느냐가 사실은 한국 전체의 영화 산업에도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고요. 근데 그게 이제 우리나라뿐만이 아니라 요즘에는 국경을 넘어서 전 세계로 퍼져 나가고 있지 않습니까? 특히 아시아에 많은 사람들은 아시아인들은 한국에 와서 부산에 와서 영화를 배우고 그 공부하고 싶어 합니다. 그래서 그런 의미에서 어쨌든 부산이 좀 더 이 한국이라는 나라 안에 갇혀 있지 않고 좀 나갈 기회가 될 수 있지 않냐는 의미에서 저는 되게 크게 받아들이고.

개인적으로 여기 오는 친구들도 너무 좋아합니다. 너무 좋아해요. 이번이 가장 치열했다고 들었어요. 그러니까 그전에도 물론 사람을 뽑을 때 쉽지 않았겠지만, 이번에는 한국에서 하고, 부산에서 한다고 하니까, 그리고 특히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에도 참여할 수 있다고 하니까 아이들이 정말 더 열정적으로 여기 오고 싶어 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Q.
부산이 아시아를 넘어서 전 세계의 영상*영화 산업으로 어떤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해서, 어떤 부분에 좀 더 집중하면 좋을지,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A.
잘 아시겠지만 이제 우리나라에서만 하는 그런 산업은 이미 옛날 지나간 게 됐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요즘에 나오는 '오징어 게임'이나 '기생충'이나 아니면 요즘 '케데원'이나 이런 것들을 보면, 거의 어떤 사회 현상처럼 느껴지거든요.


그런데 그 현상을 어떻게 더 발전시킬까라고 보면 그거에 관심 있는 사람들한테 교육을 잘해서 그것도 인프라를 키워나가는 게 되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앞으로 부산이 그런 아시아 영화인들이 부산에 가서 배우면 내가 뭔가 더 이렇게, 그거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고, 뭔가 더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그런 도시로 성장했으면 좋겠고, 그런 이야기들을 되게 많이 했습니다. 선생님들이랑 이게 그냥 상설로 우리가 여기를 만들어서 계속 그 아이들을 받아서 그 아이들이 여기서 공부하고 더 성장할 수 있게 하는 그런 장소로 만들면 더 좋지 않겠나라는 얘기를 많이 했고,

또 하나는 원래 우리가 공부하러 많이 나갔거든요. 유학하러 영화를 배우러 많이 나갔는데, 이제는 그들이 오는 시대가 됐다. 그래서 저도 한국에서 만든 영화 방식에 대해서 얘기해 줍니다. 한국에서는 저희 프로그램 이름이 '플라이'인데 그런데 저는 '플라이 투게더'라고 하거든요. "같이 나는 게 중요하지, 그냥 혼자 나는 건 중요하지 않아." 그런데 그런 이야기는 사실 약간 영화를 배우러 와서 조금 약간 낯설 수도 있는데 근데 이제 그런 식의 우리 문화는 공동체 문화와 같이 하는 게 되게 중요하고, "현장에서 너무 잘난 척하지 말아라." 이런 식으로 약간 오히려 태도와 자세 이런 것들에 대해서 많이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부산의 영상*영화 산업이 발전하는데 더 많은 도움 부탁드리면서 곧 개봉하는 감독님의 영화죠. '빌리브'도 많이 응원하겠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앵커>
엄마를 괴롭히는 '가짜 자존감'의 굴레에서 벗어나 진짜 자존감을 회복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을 전합니다.

정신과 전문의 전미경의 '엄마의 자존감' 오늘의 책에서 소개합니다.
"이제 엄마니까 이러면 안 돼" "다른 사람은 잘하는데 왜 나만 이럴까?"
하루에도 몇 번씩 이런 생각이 들면 자존감 붕괴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25년 경력의 정신과 전문의이자 한 아이의 엄마이기도 한 저자는 가짜 자존감을 벗어던지고 진짜 자존감을 회복하는 실천적 조언을 건네는데요.

진료실에서 만난 엄마들의 이야기와 심리학, 뇌과학의 연구 사례, 그리고 자신이 겪은 솔직한 경험을 바탕으로, 후회와 자책에서 벗어나 '흔들리지 않는 엄마'가 되는 법을 풀어놓습니다.

저자는 외부의 기준이나 타인의 시선을 만족시킬 때 얻는 잠깐의 편안함이 바로 '가짜 자존감'이며 이런 가짜 자존감에서 벗어나 진짜 자존감을 찾아야 한다고 거듭 강조합니다.

오늘의 책이었습니다.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