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함안 낙화놀이, 국제 관광상품으로 도약
김수윤
입력 : 2025.10.23 18:01
조회수 : 623
0
0
<앵커>
밤하늘의 불꽃이 흩어지며 아름다운 장관을 선사하는 함안의 '낙화놀이'는 매년 한정된 인원만 즐길 수 있어 아쉬움을 남겨왔는데요.
최근 한국관광공사와 지자체가 힘을 합쳐, 세계인이 즐기는 국제 관광상품으로 재탄생했습니다.
김수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어둠이 내려앉은 함안의 밤하늘, 불꽃이 별빛처럼 흩어지며 연못 위로 천천히 스며듭니다.
장인들이 숯과 한지로 꼬아 만든 낙화봉 수천 개에서 붉은 불빛이 피어오르더니, 이내 꽃잎처럼 흩어집니다.
조선시대부터 300년 넘게 이어져 온 경상남도 무형문화유산 낙화놀이!
밤하늘을 수놓는 불꽃들의 향연을 보기위해 일본 관광객 1천명이 함안을 찾았습니다.
{미타니 카즈미/일본 오사카/"여름밤 하늘과 대비돼서 너무 아름답습니다. 또 오고 싶습니다."}
"1년에 한 번 제한된 인원만 입장할 수 있는 예약제로 운영돼 큰 아쉬움을 남겼지만, 최근 관광공사, 경남도, 함안군이 힘을 합쳐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상품으로 재탄생했습니다."
한국관광공사가 작년부터 잠재력이 있는 지역 축제를 대상으로 지원사업을 진행해왔는데, 올해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스페셜 데이'를 연 겁니다.
지난해 일본인 관광객 4백명, 지난달엔 대만 관광객 3백명이 찾아, 국제 관광상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인정받았습니다.
{다카하시 히로유키/일본 여행업 협회장/"이번 낙화놀이처럼 지역에 숨어있고, 일본 사람들이 본 적 없는 여러가지 관광콘텐츠를 발굴해서 상품화 해나갔으면 합니다."}
함안군도 이번 행사를 계기로 낙화놀이를 군의 대표 관광상품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석욱희/함안부군수/"함안의 낙화놀이를 이제는 세계인이 찾는 지역 컨텐츠로 만드려고 합니다. 여러가지 공모사업이라든지, 자체 예산을 통해서라도 (시행횟수를 늘릴 계획입니다.)"}
300년 전통을 이어온 함안 낙화놀이가 이제 세계인이 즐기는 축제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KNN 김수윤입니다.
영상취재:정창욱/영상편집:김범준
밤하늘의 불꽃이 흩어지며 아름다운 장관을 선사하는 함안의 '낙화놀이'는 매년 한정된 인원만 즐길 수 있어 아쉬움을 남겨왔는데요.
최근 한국관광공사와 지자체가 힘을 합쳐, 세계인이 즐기는 국제 관광상품으로 재탄생했습니다.
김수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어둠이 내려앉은 함안의 밤하늘, 불꽃이 별빛처럼 흩어지며 연못 위로 천천히 스며듭니다.
장인들이 숯과 한지로 꼬아 만든 낙화봉 수천 개에서 붉은 불빛이 피어오르더니, 이내 꽃잎처럼 흩어집니다.
조선시대부터 300년 넘게 이어져 온 경상남도 무형문화유산 낙화놀이!
밤하늘을 수놓는 불꽃들의 향연을 보기위해 일본 관광객 1천명이 함안을 찾았습니다.
{미타니 카즈미/일본 오사카/"여름밤 하늘과 대비돼서 너무 아름답습니다. 또 오고 싶습니다."}
"1년에 한 번 제한된 인원만 입장할 수 있는 예약제로 운영돼 큰 아쉬움을 남겼지만, 최근 관광공사, 경남도, 함안군이 힘을 합쳐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상품으로 재탄생했습니다."
한국관광공사가 작년부터 잠재력이 있는 지역 축제를 대상으로 지원사업을 진행해왔는데, 올해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스페셜 데이'를 연 겁니다.
지난해 일본인 관광객 4백명, 지난달엔 대만 관광객 3백명이 찾아, 국제 관광상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인정받았습니다.
{다카하시 히로유키/일본 여행업 협회장/"이번 낙화놀이처럼 지역에 숨어있고, 일본 사람들이 본 적 없는 여러가지 관광콘텐츠를 발굴해서 상품화 해나갔으면 합니다."}
함안군도 이번 행사를 계기로 낙화놀이를 군의 대표 관광상품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석욱희/함안부군수/"함안의 낙화놀이를 이제는 세계인이 찾는 지역 컨텐츠로 만드려고 합니다. 여러가지 공모사업이라든지, 자체 예산을 통해서라도 (시행횟수를 늘릴 계획입니다.)"}
300년 전통을 이어온 함안 낙화놀이가 이제 세계인이 즐기는 축제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KNN 김수윤입니다.
영상취재:정창욱/영상편집:김범준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수윤 기자
sy@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하도급 갑질 의혹' 현대위아 공정위 조사2025.11.05
-
<속>오시리아 오수 유출은 '인재'...'도시공사' 질타 쏟아져2025.11.05
-
위기의 '공공 작업복 세탁소' 살린 지역의 손길2025.11.05
-
'값싼 전기 공급'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에너지산업 도약 기대2025.11.05
-
이우환 공간 10주년..잊혀져 가는 거장의 공간2025.11.05
-
기약없는 가덕신공항 재입찰 공고..정치적 목적 있나?2025.11.04
-
한파주의보에도 기약 없는 단풍...왜?2025.11.04
-
'조합장 고발'에 '부실 운영'... 잇따르는 재개발 논란2025.11.04
-
통계로 증명된 김해공항 위험성...자세불안정 '복행률' 1위2025.11.03
-
정치 공세에 BNK회장 인선 차질 "외풍 막아야"2025.11.0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