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해운대구 축제 입찰 부실... '부적격*엉터리' 평가 적발
김건형
입력 : 2025.10.01 20:52
조회수 : 579
0
0
<앵커>
부산의 대표 관광지인 해운대구에선 연중 다양한 축제들이 이어집니다.
대개 해운대구가 입찰을 통해 민간 운영사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치러지는데,
그 입찰 과정 곳곳에서 부실이 드러났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올 여름 해운대해수욕장에서 열린 '해운대페스타'!
당찬 기획의도와는 달리 관광객들의 외면에 파행을 맞았습니다.
불법전대 정황까지 드러나면서 해운대구는 부랴부랴 민간운영사와의 협약을 해지했습니다.
부산시 종합 감사결과 해운대구의 축제 관리 부실이 또 드러났습니다.
이번엔 2021년부터 입찰을 통해 대행사를 선정한 해운대 해맞이 축제입니다.
4년 내리 A사 한 곳이 낙찰받았는데 엉터리 투성이였습니다.
2021년 축제 첫 입찰 당시 A사는 아예 입찰 자격이 없었습니다
직접생산확인증명서상 축제기획*대행서비스가 입찰자격 요건이었는데 A사는 기타행사기획,대행서비스만을 갖고 있었습니다.
"심지어 입찰 정량평가에서 점수를 잘못 부여하는 바람에 1~2순위 업체가 뒤바뀐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지난 2023년 축제 입찰에선 기술인력 보유현황에 따른 점수 평가가 엉터리였습니다.
그 결과 정당한 1순위 업체 대신 점수가 낮은 A사가 사업을 따냈습니다.
또 다른 축제입찰에선 특정지표의 배점한도 초과 부여와 공고된 배점기준을 임의로 변경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해운대구 관계자/"행정적으로 좀 미흡한 부분이 있어서 그런 지적을 받았고 앞으로는 그러한 일들이 재발되지 않도록 모든 과정에서 면밀히 검토해서 앞으로는 신뢰받을 수 있는 행정을 구현하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부산시 감사위 요구에 해운대구청은 담당자를 징계했습니다.
{양미숙/부산참여자치연대 사무처장/"해운대구의 책임도 막중하다고 보입니다. 이번 감사 결과에 대해서 이렇게 안일하게 대처해서는 안 된다고 보여집니다."}
직원 개인 차원의 문제가 아닌 해운대구 입찰 행정 전반의 공정성과 신뢰성에 금이 갔다는 지적입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영상취재 권용국
부산의 대표 관광지인 해운대구에선 연중 다양한 축제들이 이어집니다.
대개 해운대구가 입찰을 통해 민간 운영사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치러지는데,
그 입찰 과정 곳곳에서 부실이 드러났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올 여름 해운대해수욕장에서 열린 '해운대페스타'!
당찬 기획의도와는 달리 관광객들의 외면에 파행을 맞았습니다.
불법전대 정황까지 드러나면서 해운대구는 부랴부랴 민간운영사와의 협약을 해지했습니다.
부산시 종합 감사결과 해운대구의 축제 관리 부실이 또 드러났습니다.
이번엔 2021년부터 입찰을 통해 대행사를 선정한 해운대 해맞이 축제입니다.
4년 내리 A사 한 곳이 낙찰받았는데 엉터리 투성이였습니다.
2021년 축제 첫 입찰 당시 A사는 아예 입찰 자격이 없었습니다
직접생산확인증명서상 축제기획*대행서비스가 입찰자격 요건이었는데 A사는 기타행사기획,대행서비스만을 갖고 있었습니다.
"심지어 입찰 정량평가에서 점수를 잘못 부여하는 바람에 1~2순위 업체가 뒤바뀐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지난 2023년 축제 입찰에선 기술인력 보유현황에 따른 점수 평가가 엉터리였습니다.
그 결과 정당한 1순위 업체 대신 점수가 낮은 A사가 사업을 따냈습니다.
또 다른 축제입찰에선 특정지표의 배점한도 초과 부여와 공고된 배점기준을 임의로 변경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해운대구 관계자/"행정적으로 좀 미흡한 부분이 있어서 그런 지적을 받았고 앞으로는 그러한 일들이 재발되지 않도록 모든 과정에서 면밀히 검토해서 앞으로는 신뢰받을 수 있는 행정을 구현하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부산시 감사위 요구에 해운대구청은 담당자를 징계했습니다.
{양미숙/부산참여자치연대 사무처장/"해운대구의 책임도 막중하다고 보입니다. 이번 감사 결과에 대해서 이렇게 안일하게 대처해서는 안 된다고 보여집니다."}
직원 개인 차원의 문제가 아닌 해운대구 입찰 행정 전반의 공정성과 신뢰성에 금이 갔다는 지적입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영상취재 권용국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건형 기자
kg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폐쇄된 사격장 조사해보니... 납 기준치 '200배 초과'2025.10.13
-
가덕신공항 지연, 현대건설 여*야 질타2025.10.13
-
[전국체전 미리보기]'고향 바다를 금빛으로' 전국최강 해운대 요트팀2025.10.13
-
가야고분군 통합관리재단, 경남 김해에 출범2025.10.13
-
지역농협 연체 급증, 조합원 피해 우려2025.10.10
-
'역대급 연휴' 현수막 공해에 시달린 도심2025.10.12
-
'워케이션', 지역협력 통해 인구 소멸 지역의 대안으로2025.10.12
-
부산 주택 곳곳서 화재...인명피해 없어2025.10.12
-
'표류' 낚시어선, 해경에 구조2025.10.12
-
가을철 멧돼지 출몰 주의..10~1월 신고 집중2025.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