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사회

땅꺼짐 12차례 사상*하단선 현장...사고막을 대책은?

최혁규 입력 : 2025.04.10 20:48
조회수 : 774
<앵커>
최근 서울 도심한복판 지하철공사장 인근에서 대형땅꺼짐 현상이 발생했죠.

부산에서도 사상하단선 공사현장에서만 땅꺼짐 현상이 12차례나 발생해 우려가 큰 상황입니다.

사상하단선 땅꺼짐 현상 원인으로 집중호우가 꼽히고 있는데, 곧 있을 우기에 제대로 된 대책은 마련돼 있을까요?

오늘 첫 소식, 최혁규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서울 강동구의 한 도로에서 갑자기 땅이 푹 꺼지면서 달리던 오토바이가 추락했습니다.

이 사고로 오토바이 운전자 30대 A씨는 수색 17시간 만에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사고가 난 도로 아래에서 지하철 연장 공사가 한창이었는데, 지하철 굴착 공사가 땅꺼짐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부산에서도 사상하단선 공사현장 주변에서 열두차례나 땅꺼짐이 발생했습니다.

사고 뒤 부산시는 침하여부를 미리 파악하기 위해, 계측기를 추가로 설치하고 GPR 탐사장비 운영을 강화하겠다는 대책을 내놨습니다.

"지표투과레이더를 쏴 빈 공간을 찾아내는 GPR 탐사장비입니다.

문제는 이 장비로 2미터 이상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땅꺼짐을 찾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전문가들은 GPR 탐사는 땜질식 처방이라며 장마철 집중호우가 발생하면, 땅꺼짐 발생 가능성이 높다며 추가 대책마련을 강조했습니다.

{정진교/부산과학기술대 첨단공학부 교수/"GPR탐사 같은 경우에는 단지 급할 때 참고로 할 뿐이지, 여러가지 종합검사를 통해 지하안전도 평가를 해야한다."}

오는 7월이면 우기가 다가오는 만큼, 조속한 대책마련이 필요한 상황.

부산교통공사는 우기 전까지 지반침하를 불러올 가능성이 높은 땅파기 작업을 끝내고, 지반안전성 분석도 마무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김이훈/부산교통공사 철도건설본부장/"모든 걸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만 촘촘한 그물망처럼 어떤 대책을 세움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지 않겠냐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국감에서도 GPR 탐사에 이상신호가 감지됐음에도 공사가 강행된 것이 땅꺼짐 현상으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나오는 만큼, 더 큰 사고를 막기 위해 계속된 감시와 관리감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영상편집 정은희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