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진품가 2백억' 중국산 짝퉁 1만여점 밀수입
하영광
입력 : 2025.01.09 17:59
조회수 : 992
0
0
<앵커>
그냥 봐서는 진품과 구별하기 힘든, 이른바 'SA급 짝퉁'을 밀수입해 온 업자가 세관에 적발됐습니다.
그동안 밀수한 짝퉁만 200억원 상당인 것으로 드러났는데, 가족과 지인 명의 계좌에 수익금을 숨겨놓는 치밀함도 보였습니다.
하영광 기자입니다.
<기자>
허름한 창고 안에 내로라 하는 해외 명품 브랜드 옷들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습니다.
모두 명품을 위조한 이른바, 짝퉁 제품입니다.
중국에서 건너 온 이 짝퉁 제품은 전문가가 아니면 구분이 힘듭니다.
"어떤게 진품처럼 보이시나요?
보시는 것처럼 A급 짝퉁 지갑은 육안으로 봐서는 진품과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정교하게 제작 돼 유통되고 있었습니다."
{조정희/부산여성소비자연합 대표/"짝퉁을 터무니없이 싼 가격에 구매를 했다면 본인이 굉장한 피해를 입습니다. 왜냐면 화학물질, 인체에 맞지도 않는 것을 구해서 알레르기, 염증을 유발할 수도 있고요. 보상받을 기회가 없습니다."}
짝퉁을 밀수입한 40대 김모 씨는 지난 2020년부터 중국 대형 오픈마켓에서 짝퉁 명품을 사들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동안 들여온 짝퉁만 1만여 점, 진품가로 하면 2백억 원 상당입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정품의 1/10밖에 안되는 가격에 판매해, 4년 동안 7억 원을 챙겼습니다.
일부 단골 고객들을 위해서는, 중국 거래처에 최상급, 속칭 SA급 짝퉁 상품 제작을 의뢰하기도 했습니다.
또 적발될 것에 대비해, 수익금 7억원 가운데 6억원은 가족이나 지인 명의의 계좌에 숨겨두는 치밀함도보였습니다.
{윤지환/부산세관 조사국 주무관/"알음알음 판매를 하다가 나중에 규모가 커지다 보니까 자체적으로 온라인쇼핑몰을 만들어가지고, 개선을 해가지고 판매를 하였습니다."}
관세청은 김 씨를 검찰에 송치하고, 해외직구를 악용한 밀수입 범죄 단속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KNN 하영광입니다.
그냥 봐서는 진품과 구별하기 힘든, 이른바 'SA급 짝퉁'을 밀수입해 온 업자가 세관에 적발됐습니다.
그동안 밀수한 짝퉁만 200억원 상당인 것으로 드러났는데, 가족과 지인 명의 계좌에 수익금을 숨겨놓는 치밀함도 보였습니다.
하영광 기자입니다.
<기자>
허름한 창고 안에 내로라 하는 해외 명품 브랜드 옷들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습니다.
모두 명품을 위조한 이른바, 짝퉁 제품입니다.
중국에서 건너 온 이 짝퉁 제품은 전문가가 아니면 구분이 힘듭니다.
"어떤게 진품처럼 보이시나요?
보시는 것처럼 A급 짝퉁 지갑은 육안으로 봐서는 진품과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정교하게 제작 돼 유통되고 있었습니다."
{조정희/부산여성소비자연합 대표/"짝퉁을 터무니없이 싼 가격에 구매를 했다면 본인이 굉장한 피해를 입습니다. 왜냐면 화학물질, 인체에 맞지도 않는 것을 구해서 알레르기, 염증을 유발할 수도 있고요. 보상받을 기회가 없습니다."}
짝퉁을 밀수입한 40대 김모 씨는 지난 2020년부터 중국 대형 오픈마켓에서 짝퉁 명품을 사들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동안 들여온 짝퉁만 1만여 점, 진품가로 하면 2백억 원 상당입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정품의 1/10밖에 안되는 가격에 판매해, 4년 동안 7억 원을 챙겼습니다.
일부 단골 고객들을 위해서는, 중국 거래처에 최상급, 속칭 SA급 짝퉁 상품 제작을 의뢰하기도 했습니다.
또 적발될 것에 대비해, 수익금 7억원 가운데 6억원은 가족이나 지인 명의의 계좌에 숨겨두는 치밀함도보였습니다.
{윤지환/부산세관 조사국 주무관/"알음알음 판매를 하다가 나중에 규모가 커지다 보니까 자체적으로 온라인쇼핑몰을 만들어가지고, 개선을 해가지고 판매를 하였습니다."}
관세청은 김 씨를 검찰에 송치하고, 해외직구를 악용한 밀수입 범죄 단속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KNN 하영광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하영광 기자
h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해수부 부산청사 결정..기대와 전망2025.07.11
-
폐업 검토 거제씨월드, 제2의 삼정더파크 되나2025.07.11
-
[현장]장구벌레 우글우글 하수관...방역작업 구슬땀2025.07.11
-
가덕신공항 설계비 600억원, 현대건설 '나몰라라'에 지역업체 피해2025.07.11
-
13년만의 3위 롯데, 반등 노리는 NC2025.07.11
-
[현장]폭염*짧은 장마에 낙동강 녹조 비상2025.07.10
-
동남권 교통망 대폭 확충, 도약 기대2025.07.10
-
[단독]땅꺼짐 부르는 대형공사장 '공동'...부산 전국 최다2025.07.10
-
잇따른 화재 참사 막아라 '멀티탭 화재' 위험성은?2025.07.10
-
'고사위기' 지역대학과 산업의 생존 전략은?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