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사고
밤중에 물난리, 고층아파트서 무슨일이
조진욱
입력 : 2024.08.29 19:15
조회수 : 3899
0
0
<앵커>
새벽시간 한 45층 고층 아파트에서 물난리가 나 승강기가 모두 물에 잠겼습니다.
아파트 주민들이 승강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다 수리비를 두고 갈등까지 빚고 있습니다.
무슨일인지 조진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의 한 45층 고층아파트입니다.
승강기 안에서 비가 내리듯 물이 떨어집니다.
붙어있던 승강기마다 똑같이 물이 새고, 바닥도 이미 흥건합니다.
이 아파트 꼭대기 층인 45층 양수기함에 연결된 밸브 잠금장치가 빠지면서 물난리가 난 겁니다.
물이 마치 수도관처럼 승강기를 타고 내려가면서 아파트 전체로 피해가 이어졌습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 직원/ "바닥에 물이 흥건히 차고 발목까지 찰 정도니까 상당히 놀랬습니다.}
"승강기에 물이 떨어지면서 설치 돼 있던 4대 모두 고장이 났습니다,
지금 급하게 말리는 중인데, 임시방편으로 두 대는 고쳤지만 언제 다 고칠지는 기약이 없습니다."
일주일 가까이 계속된 고장에 고층 아파트다 보니 불편이 한 두가지가 아닙니다.
{안기표/ 아파트 입주민협의회장/ "이사 날짜를 잡아놓은 세대들도 이사도 못나가고 있고, 어디서 또 어떤 일이 터질지 모르기 때문에 모든 입주민들이 불안한 상황이고요."}
입주민들은 지어진지 5년도 안 된 새 아파트고, 누군가가 일부러 건드릴 이유가 없다며 건설사 책임이라 말합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장/"그냥 손으로 일반적으로 빼서 빠질 수 있는 게 아니다, 돌려서 조으는 조인트가 수압에 의해 빠진다는 건 체결이 잘못됐단 이야기죠."}
건설사는 법적 하자 보수기간인 3년이 지났고, 아파트 관리소에 책임이 있다는 입장입니다.
{건설사 AS팀 수석본부장/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36조에 담보 책임기관이 명시돼 있는데, 해당 공종은 3년이거든요. 관리주체측에서 한번씩 점검해서 느슨한 부위가 있다면 조아주고 유지관리를 하셔야될 것으로..."}
승강기 수리비만 수억원으로 예상하는데 이 아파트는 이번 사고 뿐 아니라 입주 이후 곳곳에 하자가 계속됐다며 소송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새벽시간 한 45층 고층 아파트에서 물난리가 나 승강기가 모두 물에 잠겼습니다.
아파트 주민들이 승강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다 수리비를 두고 갈등까지 빚고 있습니다.
무슨일인지 조진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의 한 45층 고층아파트입니다.
승강기 안에서 비가 내리듯 물이 떨어집니다.
붙어있던 승강기마다 똑같이 물이 새고, 바닥도 이미 흥건합니다.
이 아파트 꼭대기 층인 45층 양수기함에 연결된 밸브 잠금장치가 빠지면서 물난리가 난 겁니다.
물이 마치 수도관처럼 승강기를 타고 내려가면서 아파트 전체로 피해가 이어졌습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 직원/ "바닥에 물이 흥건히 차고 발목까지 찰 정도니까 상당히 놀랬습니다.}
"승강기에 물이 떨어지면서 설치 돼 있던 4대 모두 고장이 났습니다,
지금 급하게 말리는 중인데, 임시방편으로 두 대는 고쳤지만 언제 다 고칠지는 기약이 없습니다."
일주일 가까이 계속된 고장에 고층 아파트다 보니 불편이 한 두가지가 아닙니다.
{안기표/ 아파트 입주민협의회장/ "이사 날짜를 잡아놓은 세대들도 이사도 못나가고 있고, 어디서 또 어떤 일이 터질지 모르기 때문에 모든 입주민들이 불안한 상황이고요."}
입주민들은 지어진지 5년도 안 된 새 아파트고, 누군가가 일부러 건드릴 이유가 없다며 건설사 책임이라 말합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장/"그냥 손으로 일반적으로 빼서 빠질 수 있는 게 아니다, 돌려서 조으는 조인트가 수압에 의해 빠진다는 건 체결이 잘못됐단 이야기죠."}
건설사는 법적 하자 보수기간인 3년이 지났고, 아파트 관리소에 책임이 있다는 입장입니다.
{건설사 AS팀 수석본부장/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36조에 담보 책임기관이 명시돼 있는데, 해당 공종은 3년이거든요. 관리주체측에서 한번씩 점검해서 느슨한 부위가 있다면 조아주고 유지관리를 하셔야될 것으로..."}
승강기 수리비만 수억원으로 예상하는데 이 아파트는 이번 사고 뿐 아니라 입주 이후 곳곳에 하자가 계속됐다며 소송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조진욱 기자
joj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임산부 수영금지’ 대학 스포츠센터 논란2025.08.12
-
부산 곳곳에 숨겨진 일제동굴... 다크투어리즘 박차2025.08.12
-
사상하단선 또 땅꺼짐..불안해 살겠나2025.08.12
-
찬탄, 반탄 갈라진 국민의힘 부울경 전당대회2025.08.12
-
조국 특별사면... 지방선거 '태풍의 눈' 되나2025.08.11
-
사상-하단선 현장 인근서 또 땅꺼짐..3년 새 15번째2025.08.12
-
교육부 등 경남지역 폭우 피해학교 현장 점검2025.08.12
-
공공배달앱 '땡겨요' ... 배민*쿠팡 아성 흔들까?2025.08.11
-
물류단지 개발 놓고 시장*국회의원 '충돌'2025.08.11
-
콘서트홀부터 태양의 서커스까지...문화열기 이어갈까2025.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