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역 건설사, 계약률 끌어올리기 안간힘
김민욱
입력 : 2024.08.19 20:49
조회수 : 2005
0
0
<앵커>
수도권과 달리 지역 분양시장이 좀처럼 살아나고 있지 않는 가운데 건설사들은 계약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데요.
계약해지권부터 재분양*할인분양까지다양한 자구책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김민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6월 분양을 시작한 부산 동구의 9백여 세대 아파트,
일부 세대 미분양이 나면서 건설사는 300여 세대에 대해 계약해지권 카드를 꺼냈습니다.
2028년 입주 10개월 전에 위약금 없이 계약을 파기할 수 있는 '안심보장제'입니다.
"4년 뒤에는 북항재개발 2단계가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을 것"이라며 실제 계약를 해지하는 경우는 없을 것으로 건설사는 내다봤습니다.
{공인중개사/"이번에 안심보장제를 통해서 누구나 쉽게 계약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건설사에서 이렇게 도입을 한 것 같습니다."}
지난 2월, 3.3㎡당 최대 6천만원의 분양가로 290여 세대를 분양했다 한 채도 팔지 못했던 아파트는 오는 10월 재분양을 앞두고 있습니다.
건설사는 재분양 때 분양가를 낮추는 방안도 신중히 검토하고 있습니다.
부산시청 인근의 한 오피스텔은 계약포기 세대 5채에 대해 5천만원~7천만원까지 할인 분양에 나섰습니다.
분양 관계자는 잔금을 내지 못한 계약 포기 세대가 신용불량자가 될 수 있어 새 계약자를 찾기 위한 광고라고 설명했습니다.
부산은 지난 5월에 이어 6월까지 미분양 물량이 두 달 연속 5천 세대를 넘겼습니다.
경남도 지난 5월 미분양이 4천 6백여 세대에서 지난 6월 5천 세대를 넘어섰습니다.
{서정렬/영산대 부동산학과 교수/"부산을 포함한 지방 같은 경우에는 미분양 물량이 늘고 있고요. 또 청약경쟁률도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서울과) 지역 간 양극화가 조금 더 심화되고 있다..."}
지역 부동산 침체기 속 건설사들이 내놓는 자구책이 하반기 효과를 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수도권과 달리 지역 분양시장이 좀처럼 살아나고 있지 않는 가운데 건설사들은 계약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데요.
계약해지권부터 재분양*할인분양까지다양한 자구책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김민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6월 분양을 시작한 부산 동구의 9백여 세대 아파트,
일부 세대 미분양이 나면서 건설사는 300여 세대에 대해 계약해지권 카드를 꺼냈습니다.
2028년 입주 10개월 전에 위약금 없이 계약을 파기할 수 있는 '안심보장제'입니다.
"4년 뒤에는 북항재개발 2단계가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을 것"이라며 실제 계약를 해지하는 경우는 없을 것으로 건설사는 내다봤습니다.
{공인중개사/"이번에 안심보장제를 통해서 누구나 쉽게 계약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건설사에서 이렇게 도입을 한 것 같습니다."}
지난 2월, 3.3㎡당 최대 6천만원의 분양가로 290여 세대를 분양했다 한 채도 팔지 못했던 아파트는 오는 10월 재분양을 앞두고 있습니다.
건설사는 재분양 때 분양가를 낮추는 방안도 신중히 검토하고 있습니다.
부산시청 인근의 한 오피스텔은 계약포기 세대 5채에 대해 5천만원~7천만원까지 할인 분양에 나섰습니다.
분양 관계자는 잔금을 내지 못한 계약 포기 세대가 신용불량자가 될 수 있어 새 계약자를 찾기 위한 광고라고 설명했습니다.
부산은 지난 5월에 이어 6월까지 미분양 물량이 두 달 연속 5천 세대를 넘겼습니다.
경남도 지난 5월 미분양이 4천 6백여 세대에서 지난 6월 5천 세대를 넘어섰습니다.
{서정렬/영산대 부동산학과 교수/"부산을 포함한 지방 같은 경우에는 미분양 물량이 늘고 있고요. 또 청약경쟁률도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서울과) 지역 간 양극화가 조금 더 심화되고 있다..."}
지역 부동산 침체기 속 건설사들이 내놓는 자구책이 하반기 효과를 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민욱 기자
u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임산부 수영금지’ 대학 스포츠센터 논란2025.08.12
-
부산 곳곳에 숨겨진 일제동굴... 다크투어리즘 박차2025.08.12
-
사상하단선 또 땅꺼짐..불안해 살겠나2025.08.12
-
찬탄, 반탄 갈라진 국민의힘 부울경 전당대회2025.08.12
-
조국 특별사면... 지방선거 '태풍의 눈' 되나2025.08.11
-
사상-하단선 현장 인근서 또 땅꺼짐..3년 새 15번째2025.08.12
-
교육부 등 경남지역 폭우 피해학교 현장 점검2025.08.12
-
공공배달앱 '땡겨요' ... 배민*쿠팡 아성 흔들까?2025.08.11
-
물류단지 개발 놓고 시장*국회의원 '충돌'2025.08.11
-
콘서트홀부터 태양의 서커스까지...문화열기 이어갈까2025.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