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AI*데이터산업 유치 기회
윤혜림
입력 : 2024.06.17 20:07
조회수 : 914
0
0
<앵커>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시행 근거를 담은 분산에너지법이 시행되면서 자체 전력 자급률이 높은 부산경남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전력이 많이 필요한 AI나 데이터산업 지역 유치에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윤혜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 강서구에 있는 한 열교환기 제조 기업입니다.
전력비용으로 거의 매출의 6% 가까이가 나가는데, 전기값이 조금이라도 오를 경우 연구나 재투자는 엄두도 내지
못합니다.
{박근우 (주)마이텍 부사장/"평균 순이익은 2~5% 정도로 아주 마진이 적은 입장인데, 전력비가 많이 오른다면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뒤질수 밖에 없습니다."}
분산에너지법이 지난 14일부터 시행되면서 가장 큰 변화는 바로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화입니다.
지역별 전력 자급률을 보면 부산이 216.8%로 가장 높고, 경남도 136%로 자급률 100%를 넘습니다.
대전 2.9%, 서울 8.9% 등에 비해 크게 차이가 납니다.
오는 2026년부터 이를 기반으로 전기요금이 차별적용되는데, 지역 기업인들은 기업생산성 향상과 지역산업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지역 균형발전에 도움된다는 의견도 85%에 달했습니다.
특히 전력 소비율이 높은 AI와 반도체 산업 부지를 기존 수도권에서 지역으로 이전을 고려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정성엽 부산상공회의소 기업규제개선팀 과장/"AI나 데이터산업은 물론 반도체 산업 등과 같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전력 다소비 업종의 지역 투자를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통해서 지역산업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또 국가균형발전도 달성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여기에 최근 정부가 추진중인 상속제 개편으로 상속세 지방투자공제가 도입될 경우 수도권 소재 기업들의 지방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지역산업이 보다 활기를 띌 것으로 기대됩니다.
KNN 윤혜림입니다.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시행 근거를 담은 분산에너지법이 시행되면서 자체 전력 자급률이 높은 부산경남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전력이 많이 필요한 AI나 데이터산업 지역 유치에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윤혜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 강서구에 있는 한 열교환기 제조 기업입니다.
전력비용으로 거의 매출의 6% 가까이가 나가는데, 전기값이 조금이라도 오를 경우 연구나 재투자는 엄두도 내지
못합니다.
{박근우 (주)마이텍 부사장/"평균 순이익은 2~5% 정도로 아주 마진이 적은 입장인데, 전력비가 많이 오른다면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뒤질수 밖에 없습니다."}
분산에너지법이 지난 14일부터 시행되면서 가장 큰 변화는 바로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화입니다.
지역별 전력 자급률을 보면 부산이 216.8%로 가장 높고, 경남도 136%로 자급률 100%를 넘습니다.
대전 2.9%, 서울 8.9% 등에 비해 크게 차이가 납니다.
오는 2026년부터 이를 기반으로 전기요금이 차별적용되는데, 지역 기업인들은 기업생산성 향상과 지역산업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지역 균형발전에 도움된다는 의견도 85%에 달했습니다.
특히 전력 소비율이 높은 AI와 반도체 산업 부지를 기존 수도권에서 지역으로 이전을 고려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정성엽 부산상공회의소 기업규제개선팀 과장/"AI나 데이터산업은 물론 반도체 산업 등과 같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전력 다소비 업종의 지역 투자를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통해서 지역산업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또 국가균형발전도 달성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여기에 최근 정부가 추진중인 상속제 개편으로 상속세 지방투자공제가 도입될 경우 수도권 소재 기업들의 지방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지역산업이 보다 활기를 띌 것으로 기대됩니다.
KNN 윤혜림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윤혜림 기자
yoon@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의료대란 끝났다더니...'응급실 뺑뺑이' 그대로?2025.10.24
-
강호동 회장, 금품수수 의혹 추가 제기2025.10.24
-
[현장]"누가 가장 빠를까?" 101층 계단 오르는 소방관들2025.10.24
-
'분식점 김밥 먹었다가...' 손님 100명 단체 식중독2025.10.24
-
부산*경남 교육청 국감, '부산 브니엘예고 사태' 등 도마2025.10.23
-
올해 굴 본격 수확, '걱정 반 기대 반'2025.10.23
-
[단독]대러제재인데..중고차 불법 우회수출 판쳐2025.10.23
-
[현장]낚시꾼 몰리는 가을철 선박사고 증가..해경 구조훈련2025.10.22
-
수확철 덮친 병해충...경남 논 곳곳 피해 확산2025.10.22
-
'산불특별법' 산림 난개발 부추기나?2025.10.2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