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시가 총액 1조 기업, 부산경남에 단 9곳
윤혜림
입력 : 2024.05.24 20:50
조회수 : 3198
0
0
<앵커>
상장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이 바로 시가총액인데요, 부산경남기업 가운데 시가 총액 1조 이상 되는 기업은 단 9곳에 불과했습니다.
매출액 전국 100위 안에 드는 기업도 단 5곳 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윤혜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경남 기업 가운데 지난 1분기 기준 시가총액이 가장 큰 기업은 두산에너빌리티로 11조원을 기록했습니다.
이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이 뒤를 잇습니다.
전국 상장기업 가운데 시가 총액 1조가 넘는 기업은 274곳, 하지만 부산경남만 봤을때는 단 9곳에 불과합니다.
이마저도 경남이 7곳이고 부산은 금양과 BNK금융지주 단 두 곳 뿐입니다.
1분기 매출액 100위이내 기업을 보더라도 부산경남 기업은 5곳에 불과합니다.
전체 코스피 상장기업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80%, 90% 증가율을 보인 반면 부산경남은 각각 1%, -4%로 초라한 성적입니다.
부산경남 코스닥 상장기업 역시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마이너스 폭이 더 큽니다.
{허재민 한국거래소 홍보팀/"전국적으로는 반도체 등 전기전자 업종이 강세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에 부산경남 소재 상장기업 실적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나마 경남은 방산기업의 선전이 눈에 띄지만 부산에는 이렇다할 성적을 내는 기업을 찾는게 더 어렵운데, 신성장기업 부재가 원인으로 꼽힙니다.
{전종윤 부산상공회의소 조사연구팀/"상대적으로 성장성이 낮게 평가받을 수 밖에 없는 전통산업 위주로 산업구조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산업이 신산업으로 개편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에서 느끼는 부산경남 기업에 대한 가치와 미래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크게 소외되고 있습니다.
KNN 윤혜림입니다.
상장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이 바로 시가총액인데요, 부산경남기업 가운데 시가 총액 1조 이상 되는 기업은 단 9곳에 불과했습니다.
매출액 전국 100위 안에 드는 기업도 단 5곳 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윤혜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경남 기업 가운데 지난 1분기 기준 시가총액이 가장 큰 기업은 두산에너빌리티로 11조원을 기록했습니다.
이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이 뒤를 잇습니다.
전국 상장기업 가운데 시가 총액 1조가 넘는 기업은 274곳, 하지만 부산경남만 봤을때는 단 9곳에 불과합니다.
이마저도 경남이 7곳이고 부산은 금양과 BNK금융지주 단 두 곳 뿐입니다.
1분기 매출액 100위이내 기업을 보더라도 부산경남 기업은 5곳에 불과합니다.
전체 코스피 상장기업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80%, 90% 증가율을 보인 반면 부산경남은 각각 1%, -4%로 초라한 성적입니다.
부산경남 코스닥 상장기업 역시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마이너스 폭이 더 큽니다.
{허재민 한국거래소 홍보팀/"전국적으로는 반도체 등 전기전자 업종이 강세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에 부산경남 소재 상장기업 실적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나마 경남은 방산기업의 선전이 눈에 띄지만 부산에는 이렇다할 성적을 내는 기업을 찾는게 더 어렵운데, 신성장기업 부재가 원인으로 꼽힙니다.
{전종윤 부산상공회의소 조사연구팀/"상대적으로 성장성이 낮게 평가받을 수 밖에 없는 전통산업 위주로 산업구조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산업이 신산업으로 개편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에서 느끼는 부산경남 기업에 대한 가치와 미래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크게 소외되고 있습니다.
KNN 윤혜림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윤혜림 기자
yoon@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관세장벽, 제조업계 가격경쟁력 우려2025.04.22
-
산청 산불 피해 복구 시작2025.04.22
-
사상~하단선 땅꺼짐 외에도 문제 더 드러나2025.04.22
-
사상하단선 2공구 땅꺼짐, 부실 시공*감독 탓2025.04.22
-
"기침에 고열까지" 소아청소년 B형 독감환자 급증 비상2025.04.22
-
<단독>가덕신공항 감정평가, 알고보니 '노룩?'2025.04.22
-
[단독]'위기 심화' 대형선망업계..EEZ 침범하다 적발2025.04.21
-
이재명표 PK 공약...엇갈린 지역 반응2025.04.21
-
쌀 수매가 놓고 전국 곳곳 갈등, 특단 대책 절실2025.04.21
-
외출조차 쉽지 않은 중증 발달장애인, 돌봄 공백도 여전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