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서부산 첫 5성급, 특급호텔 전쟁
조진욱
입력 : 2023.09.12 19:28
조회수 : 3727
0
0
<앵커>
부산 송도해수욕장에 서부산권에선 처음으로 5성급 특급호텔이 문을 열었습니다.
그동안 해운대에만 집중됐던 특급호텔들이 이젠 부산 전역으로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조진욱 기자입니다.
<기자>
깔끔하게 단정된 호텔 로비로 사람들이 하나 둘 들어옵니다.
전 세계 유명 호텔 체인인 윈덤그랜드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부산 송도에 문을 열었습니다.
남항대교와 원도심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게 특징입니다.
{양수명*신민주/ 부산 사하구/ "여자친구 생일을 맞이 해서 기분을 내려고 알아보다가 마침 여기 호텔도 생일이라고 해서 (왔습니다.) 서비스가 너무 좋아서 굉장히 만족스럽습니다."}
특히 관광산업이 밀집한 해운대가 아닌 원도심인 송도해수욕장을 선택한 서부산권 유일의 5성급 호텔입니다.
{조동원/1호 방문 고객/ "해운대 어느 호텔보다도 멋지고 아름답고 뷰가 너무 좋아요. 더 좋은 건 서부권에서 이런 호텔이 생긴다는 건 기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KTX와 가깝고 500명까지 수용가능한 대형 홀까지 갖추고 있어, 동부산에 집중된 관광 마이스 산업의 분산 효과도 기대됩니다.
{박지호/윈덤그랜드 부산 총지배인/ "(저희 호텔로 인해) 서부산권으로 새로운 관광 산업이 활성화될거라고 보고 있고요. 부산관광의 동서균형발전에 크게 이바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호텔이 문을 열면서 이제 부산의 5성급 특급호텔은 모두 9개로 늘었습니다.
그동안은 해운대 바닷가를 중심으로 들어섰다면 이젠 부산 전역으로 퍼지고 있습니다.
부산 기장에 들어선 힐튼 호텔을 시작으로, 지난 7월엔 아난티 앳 부산이 문을 열면서 손님 몰이에 나섰습니다.
2년 뒤 최고급 리조트 브랜드인 반얀트리 부산까지 들어서면 특급호텔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 황영남/ 서울 도곡동/ "기장을 비롯해서 송도에도 호텔이 럭셔리한 곳이 생겨서 저희가 선택지가 넓어져서 굉장히 서울에서 오기에도 부산이 (좋아졌습니다.)}
관광도시 부산이 특급 호텔 전성시대를 맞고 있습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부산 송도해수욕장에 서부산권에선 처음으로 5성급 특급호텔이 문을 열었습니다.
그동안 해운대에만 집중됐던 특급호텔들이 이젠 부산 전역으로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조진욱 기자입니다.
<기자>
깔끔하게 단정된 호텔 로비로 사람들이 하나 둘 들어옵니다.
전 세계 유명 호텔 체인인 윈덤그랜드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부산 송도에 문을 열었습니다.
남항대교와 원도심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게 특징입니다.
{양수명*신민주/ 부산 사하구/ "여자친구 생일을 맞이 해서 기분을 내려고 알아보다가 마침 여기 호텔도 생일이라고 해서 (왔습니다.) 서비스가 너무 좋아서 굉장히 만족스럽습니다."}
특히 관광산업이 밀집한 해운대가 아닌 원도심인 송도해수욕장을 선택한 서부산권 유일의 5성급 호텔입니다.
{조동원/1호 방문 고객/ "해운대 어느 호텔보다도 멋지고 아름답고 뷰가 너무 좋아요. 더 좋은 건 서부권에서 이런 호텔이 생긴다는 건 기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KTX와 가깝고 500명까지 수용가능한 대형 홀까지 갖추고 있어, 동부산에 집중된 관광 마이스 산업의 분산 효과도 기대됩니다.
{박지호/윈덤그랜드 부산 총지배인/ "(저희 호텔로 인해) 서부산권으로 새로운 관광 산업이 활성화될거라고 보고 있고요. 부산관광의 동서균형발전에 크게 이바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호텔이 문을 열면서 이제 부산의 5성급 특급호텔은 모두 9개로 늘었습니다.
그동안은 해운대 바닷가를 중심으로 들어섰다면 이젠 부산 전역으로 퍼지고 있습니다.
부산 기장에 들어선 힐튼 호텔을 시작으로, 지난 7월엔 아난티 앳 부산이 문을 열면서 손님 몰이에 나섰습니다.
2년 뒤 최고급 리조트 브랜드인 반얀트리 부산까지 들어서면 특급호텔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 황영남/ 서울 도곡동/ "기장을 비롯해서 송도에도 호텔이 럭셔리한 곳이 생겨서 저희가 선택지가 넓어져서 굉장히 서울에서 오기에도 부산이 (좋아졌습니다.)}
관광도시 부산이 특급 호텔 전성시대를 맞고 있습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조진욱 기자
joj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단독]땅꺼짐 직전까지 '이상없다'2025.04.25
-
'책임 미루기' 대처에 부산시정 흔들2025.04.25
-
흔들리는 지역 거점항공 중장거리 노선 주춤2025.04.25
-
"산불로 힘든 산청에 '착한 여행' 오세요"2025.04.25
-
경남 첫 차 수확 시작, 전망은 기대반 우려반2025.04.24
-
'하수처리장 증설' 놓고 갈등 심화2025.04.24
-
도시철도 상권 곳곳 계약해지, 부산교통공사 책임은 없나?2025.04.24
-
한화오션 고용불안*노동탄압 개선 촉구2025.04.24
-
'70시간 정전' 재건축 희망 노후아파트 진퇴양난2025.04.24
-
거리 곳곳 미술관, 아시아 첫 미디어아트 축제 개최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