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착한가격업소, 고물가에 '휘청'
박명선
입력 : 2023.06.07 17:26
조회수 : 1002
0
0
<앵커>
'착한 가격업소'라고 들어보셨나요?
요즘같은 고물가시대 물가안정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지정한 곳인데요.
'착한 가격 업소'도 고물가에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용사의 손놀림이 예사롭지않습니다.
헤어커트는 단돈 5천원, 퍼머가격은 1만원부터 시작됩니다.
오랫동안 함께한 주민들을 위해 30년동안 가격을 올리지않다보니 '착한가격업소'로 지정됐습니다.
{윤순례/착한가격업소 업주/"먼데서 찾아오시는 분들도 계시고 단골손님들이 어느날 가격을 올리니까 부담스러워 하셔서 그냥 예전 가격 그대로 받는대로..."}
착한 가격업소는 값이 저렴하고 품질도 좋은 업소를 정부와 지자체가 지정하고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착한가격업소에 들어가면 업종별 인증 가게 검색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고물가 시대, 식자재 가격 상승에 전기, 가스요금 등 각종 공공요금 인상까지 덮치면서 이들 착한가격업소에게도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윤경화/착한가격업소 업주/"전기,수도,가스를 제일 많이 사용하다보니까 어려운것 같아요. 매출은 똑같은데 내야하는 요금이 2배로 나오다보니까... "}
실제로 부산의 착한 가격 업소는 지난 2020년 6백58곳에서 줄기 시작해 지난해 말 6백06곳으로 줄었습니다.
{라은희/착한가격업소 업주/참뷔페 대표/"(착한가격업소들이) 많이 빠져나가고 있어요. 줄어드는데 그분들을 다시 오게 하려면 착한가격업소에 혜택을 주시면 더 많은분들이 착한가격업소 활동을 하지않을까..."}
착한 가격업소를 확대하기 위해 올해 부터는 지원이 확대됩니다.
그동안 100% 지방비로만 추진됐던 사업에 올해부터는 처음으로 국비도 일부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김윤정/부산시 소비자경제팀장 /"과거에는 국비없이 지방비로 (착한가격업소에) 20만원을 지원했지만 올해 다음달부터는 신규로 국비가 지원되면서 1백만원이 늘어난 1백20만원 가량을 확대 지원할 예정입니다. "}
또 고물가속 물가 안정에 도움을 주는 착한가격업소를 위한 세금 감면 등 지역 맞춤형 지원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착한 가격업소'라고 들어보셨나요?
요즘같은 고물가시대 물가안정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지정한 곳인데요.
'착한 가격 업소'도 고물가에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용사의 손놀림이 예사롭지않습니다.
헤어커트는 단돈 5천원, 퍼머가격은 1만원부터 시작됩니다.
오랫동안 함께한 주민들을 위해 30년동안 가격을 올리지않다보니 '착한가격업소'로 지정됐습니다.
{윤순례/착한가격업소 업주/"먼데서 찾아오시는 분들도 계시고 단골손님들이 어느날 가격을 올리니까 부담스러워 하셔서 그냥 예전 가격 그대로 받는대로..."}
착한 가격업소는 값이 저렴하고 품질도 좋은 업소를 정부와 지자체가 지정하고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착한가격업소에 들어가면 업종별 인증 가게 검색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고물가 시대, 식자재 가격 상승에 전기, 가스요금 등 각종 공공요금 인상까지 덮치면서 이들 착한가격업소에게도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윤경화/착한가격업소 업주/"전기,수도,가스를 제일 많이 사용하다보니까 어려운것 같아요. 매출은 똑같은데 내야하는 요금이 2배로 나오다보니까... "}
실제로 부산의 착한 가격 업소는 지난 2020년 6백58곳에서 줄기 시작해 지난해 말 6백06곳으로 줄었습니다.
{라은희/착한가격업소 업주/참뷔페 대표/"(착한가격업소들이) 많이 빠져나가고 있어요. 줄어드는데 그분들을 다시 오게 하려면 착한가격업소에 혜택을 주시면 더 많은분들이 착한가격업소 활동을 하지않을까..."}
착한 가격업소를 확대하기 위해 올해 부터는 지원이 확대됩니다.
그동안 100% 지방비로만 추진됐던 사업에 올해부터는 처음으로 국비도 일부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김윤정/부산시 소비자경제팀장 /"과거에는 국비없이 지방비로 (착한가격업소에) 20만원을 지원했지만 올해 다음달부터는 신규로 국비가 지원되면서 1백만원이 늘어난 1백20만원 가량을 확대 지원할 예정입니다. "}
또 고물가속 물가 안정에 도움을 주는 착한가격업소를 위한 세금 감면 등 지역 맞춤형 지원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박명선 기자
pms@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하도급 갑질 의혹' 현대위아 공정위 조사2025.11.05
-
<속>오시리아 오수 유출은 '인재'...'도시공사' 질타 쏟아져2025.11.05
-
위기의 '공공 작업복 세탁소' 살린 지역의 손길2025.11.05
-
'값싼 전기 공급'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에너지산업 도약 기대2025.11.05
-
이우환 공간 10주년..잊혀져 가는 거장의 공간2025.11.05
-
기약없는 가덕신공항 재입찰 공고..정치적 목적 있나?2025.11.04
-
한파주의보에도 기약 없는 단풍...왜?2025.11.04
-
'조합장 고발'에 '부실 운영'... 잇따르는 재개발 논란2025.11.04
-
통계로 증명된 김해공항 위험성...자세불안정 '복행률' 1위2025.11.03
-
정치 공세에 BNK회장 인선 차질 "외풍 막아야"2025.11.0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