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전 공공기관 채용...부울경 벽 허물어야
주우진
입력 : 2023.06.06 20:58
조회수 : 1384
0
0
<앵커>
지역 청년들에게 이전 공공기관은 가장 선호하는 직장 가운데 하나입니다.
하지만 지역 인재 채용에 있어서는 부산울산경남간의 진정한 광역 단위 채용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각 지자체간 이해관계가 청년들의 채용 문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경남과 울산은 혁신도시 공공기관의 지역 인재 채용을 '광역화'했습니다.
의무적으로 소재지의 학생을 일정 비율 이상 채용해야 하는데, 채용 대상 지역을 양 시도로 넓힌 겁니다.
지난해 첫 광역 채용 결과, 두 지역 공공기관 모두 지역 인재 채용률이 크게 올랐습니다.
인재 풀이 넓어지자, 의무 채용 비율 30%를 훨씬 초과해 지역 학생들을 뽑은 겁니다.
특히 경남 학생들의 울산 취업이 두드러져, 채용 기회 확대 효과를 톡톡히 누렸습니다.
"부산은 이런 상황을 그저 바라만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당초 광역화 논의 범위가 부울경이었지만 울산과 경남의 반대로 부산은 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부산에 대학과 학생이 더 많다보니, 수적 우위에 밀려 일자리를 잠식당할까 우려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광역 채용의 효과를 제대로 보려면, 부산까지 포함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계속 나옵니다.
{우기열/부경대학교 신소재시스템공학과 4학년 "굉장히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부족해서 광역화로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젊은 친구들에게 맞는, 필요한 일자리가 생긴다면 상경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부울경 광역은 돼야, 특정 대학 출신 편중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 인재 채용 비율도 더 늘릴 수 있는 인재 풀이 만들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노지영/부산시 혁신도시지원팀장 "전공에 따라서 응시할 수 있는 공공기관이 한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울산과 경남의 졸업생과 저희 (부산의) 졸업생이 보다 폭넓은 채용의 기회를 다양한 분야에서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정부에 건의해 부산 포함 광역 채용을 공론화시킨다는 방침입니다.
KNN 주우진 입니다.
지역 청년들에게 이전 공공기관은 가장 선호하는 직장 가운데 하나입니다.
하지만 지역 인재 채용에 있어서는 부산울산경남간의 진정한 광역 단위 채용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각 지자체간 이해관계가 청년들의 채용 문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경남과 울산은 혁신도시 공공기관의 지역 인재 채용을 '광역화'했습니다.
의무적으로 소재지의 학생을 일정 비율 이상 채용해야 하는데, 채용 대상 지역을 양 시도로 넓힌 겁니다.
지난해 첫 광역 채용 결과, 두 지역 공공기관 모두 지역 인재 채용률이 크게 올랐습니다.
인재 풀이 넓어지자, 의무 채용 비율 30%를 훨씬 초과해 지역 학생들을 뽑은 겁니다.
특히 경남 학생들의 울산 취업이 두드러져, 채용 기회 확대 효과를 톡톡히 누렸습니다.
"부산은 이런 상황을 그저 바라만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당초 광역화 논의 범위가 부울경이었지만 울산과 경남의 반대로 부산은 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부산에 대학과 학생이 더 많다보니, 수적 우위에 밀려 일자리를 잠식당할까 우려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광역 채용의 효과를 제대로 보려면, 부산까지 포함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계속 나옵니다.
{우기열/부경대학교 신소재시스템공학과 4학년 "굉장히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부족해서 광역화로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젊은 친구들에게 맞는, 필요한 일자리가 생긴다면 상경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부울경 광역은 돼야, 특정 대학 출신 편중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 인재 채용 비율도 더 늘릴 수 있는 인재 풀이 만들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노지영/부산시 혁신도시지원팀장 "전공에 따라서 응시할 수 있는 공공기관이 한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울산과 경남의 졸업생과 저희 (부산의) 졸업생이 보다 폭넓은 채용의 기회를 다양한 분야에서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정부에 건의해 부산 포함 광역 채용을 공론화시킨다는 방침입니다.
KNN 주우진 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주우진 기자
wjjo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PK 표심 공략 본격화2025.05.10
-
도의회, 예산 부당 지출 수사 중에 또 국외 연수2025.05.10
-
부산시의회, 현대건설 수의계약 중단 대책 촉구2025.05.10
-
부산*경남서 까치집 제거 5년 동안 2천 7백건2025.05.10
-
지역 대규모 국책사업 무시가 초유의 수의계약 중단 불렀나?2025.05.09
-
NC, 울산행에서 다시 창원으로2025.05.09
-
국제선 내항기의 양면성..김해공항 죽이기 우려2025.05.09
-
주한미해군사령관 '부산시 명예시민' 선정2025.05.09
-
양산도시철도 7년 만에 시운전 돌입, 운영사 선정은?2025.05.08
-
현직 경찰이 거액 보이스피싱 조직에 가담, 1명 구속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