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전 공공기관 채용...부울경 벽 허물어야
주우진
입력 : 2023.06.06 20:58
조회수 : 1418
0
0
<앵커>
지역 청년들에게 이전 공공기관은 가장 선호하는 직장 가운데 하나입니다.
하지만 지역 인재 채용에 있어서는 부산울산경남간의 진정한 광역 단위 채용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각 지자체간 이해관계가 청년들의 채용 문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경남과 울산은 혁신도시 공공기관의 지역 인재 채용을 '광역화'했습니다.
의무적으로 소재지의 학생을 일정 비율 이상 채용해야 하는데, 채용 대상 지역을 양 시도로 넓힌 겁니다.
지난해 첫 광역 채용 결과, 두 지역 공공기관 모두 지역 인재 채용률이 크게 올랐습니다.
인재 풀이 넓어지자, 의무 채용 비율 30%를 훨씬 초과해 지역 학생들을 뽑은 겁니다.
특히 경남 학생들의 울산 취업이 두드러져, 채용 기회 확대 효과를 톡톡히 누렸습니다.
"부산은 이런 상황을 그저 바라만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당초 광역화 논의 범위가 부울경이었지만 울산과 경남의 반대로 부산은 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부산에 대학과 학생이 더 많다보니, 수적 우위에 밀려 일자리를 잠식당할까 우려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광역 채용의 효과를 제대로 보려면, 부산까지 포함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계속 나옵니다.
{우기열/부경대학교 신소재시스템공학과 4학년 "굉장히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부족해서 광역화로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젊은 친구들에게 맞는, 필요한 일자리가 생긴다면 상경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부울경 광역은 돼야, 특정 대학 출신 편중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 인재 채용 비율도 더 늘릴 수 있는 인재 풀이 만들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노지영/부산시 혁신도시지원팀장 "전공에 따라서 응시할 수 있는 공공기관이 한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울산과 경남의 졸업생과 저희 (부산의) 졸업생이 보다 폭넓은 채용의 기회를 다양한 분야에서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정부에 건의해 부산 포함 광역 채용을 공론화시킨다는 방침입니다.
KNN 주우진 입니다.
지역 청년들에게 이전 공공기관은 가장 선호하는 직장 가운데 하나입니다.
하지만 지역 인재 채용에 있어서는 부산울산경남간의 진정한 광역 단위 채용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각 지자체간 이해관계가 청년들의 채용 문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경남과 울산은 혁신도시 공공기관의 지역 인재 채용을 '광역화'했습니다.
의무적으로 소재지의 학생을 일정 비율 이상 채용해야 하는데, 채용 대상 지역을 양 시도로 넓힌 겁니다.
지난해 첫 광역 채용 결과, 두 지역 공공기관 모두 지역 인재 채용률이 크게 올랐습니다.
인재 풀이 넓어지자, 의무 채용 비율 30%를 훨씬 초과해 지역 학생들을 뽑은 겁니다.
특히 경남 학생들의 울산 취업이 두드러져, 채용 기회 확대 효과를 톡톡히 누렸습니다.
"부산은 이런 상황을 그저 바라만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당초 광역화 논의 범위가 부울경이었지만 울산과 경남의 반대로 부산은 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부산에 대학과 학생이 더 많다보니, 수적 우위에 밀려 일자리를 잠식당할까 우려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광역 채용의 효과를 제대로 보려면, 부산까지 포함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계속 나옵니다.
{우기열/부경대학교 신소재시스템공학과 4학년 "굉장히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부족해서 광역화로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젊은 친구들에게 맞는, 필요한 일자리가 생긴다면 상경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부울경 광역은 돼야, 특정 대학 출신 편중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 인재 채용 비율도 더 늘릴 수 있는 인재 풀이 만들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노지영/부산시 혁신도시지원팀장 "전공에 따라서 응시할 수 있는 공공기관이 한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울산과 경남의 졸업생과 저희 (부산의) 졸업생이 보다 폭넓은 채용의 기회를 다양한 분야에서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정부에 건의해 부산 포함 광역 채용을 공론화시킨다는 방침입니다.
KNN 주우진 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주우진 기자
wjjo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사직야구장 재건축 본 궤도..북항야구장은 희망고문2025.07.03
-
이 대통령 "해수부 부산 이전 적정, 해사법원은 부산*인천 모두"2025.07.03
-
제2의 반얀트리 화재 시한폭탄…구멍 뚫린 사용승인2025.07.03
-
하반기 분양시장 대어 잇따라...지역 부동산 가늠자되나?2025.07.02
-
[단독] 사용승인 난지 9개월인데 아직 '공사중'...분양자 눈물2025.07.02
-
<현장> 재배 현장 숨이 '턱턱', 멈출 수 없는 일손2025.07.02
-
푹푹찌는 여름밤...부산 열대야2025.07.02
-
민선 8기 3년 성과는? 여권 거센 도전 예상2025.07.01
-
횡령으로 초호화생활 결국엔 35년 철창 신세2025.07.01
-
클래식은 대박, K팝은 글쎄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