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국토부, '가덕신공항 빨라야 2032년 개항'
이태훈
입력 : 2023.03.02 20:13
조회수 : 998
0
0
<앵커>
저희 KNN이 국토부의 가덕신공항 기본계획 용역 문건을 확인했더니, 개항시기가 2030년 엑스포 이후인 2032년에나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구체적인 공사기한은 재검토될 예정이지만, 다음 달 엑스포 현지 실사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큰 파장이 예상됩니다.
이태훈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가덕신공항 기본계획 용역에서 검토되는 6개 안 중에 가장 높은 평가 점수를 받은 공항 배치도입니다.
<가덕도 남단 섬 중앙에 터미널 시설 등을 배치하고 북쪽에 활주로를 짓는 구조입니다.
절토량은 1.64억 세제곱미터로 6개 안 중 제일 많고, 매립량은 0.95억 세제곱미터로 제일 적습니다.
섬 왼쪽 선박 항로인 가덕수도를 회피하기 위해, 공항 높이는 해발 25m로 계획됐습니다.
터미널은 T자형, 제2활주로는 터미널 아래 쪽에 배치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공사 기한이 문제입니다.
6개 안 중에 공기가 가장 짧은 안인데도 불구하고 89개월이나 걸립니다.
<오는 8월 기본계획 용역이 마무리되고 기본,실시설계를 거쳐 내년 하반기 착공에 들어가더라도,
2032년에나 개항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다음 달, 엑스포 현지 실사를 앞두고 지역 사회의 반발은 물론, 후폭풍도 상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구체적인 공기는 최적화 과정을 거쳐 재검토될 예정이지만, 엑스포 전, 조기개항은 사실상 힘든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박영강/신공항교수회의 공동대표/'신공항이 되어야만 엑스포가 개최될 수 있고 엑스포가 개최되어야만 신공항도 정상적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국토부가 이달 중순 조기개항과 관련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도 지켜볼 일입니다.
{김광회/부산시 도시균형발전실장/'우리 정부에서는 각계 각층, 우리 시도 마찬가지고 마무리 작업 과정에서 의견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전타당성조사에 이어, 기본계획에서마저 또 다시 부울경 시도민들을 무시하고 농락하는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지 우려가 큰 상황입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희 KNN이 국토부의 가덕신공항 기본계획 용역 문건을 확인했더니, 개항시기가 2030년 엑스포 이후인 2032년에나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구체적인 공사기한은 재검토될 예정이지만, 다음 달 엑스포 현지 실사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큰 파장이 예상됩니다.
이태훈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가덕신공항 기본계획 용역에서 검토되는 6개 안 중에 가장 높은 평가 점수를 받은 공항 배치도입니다.
<가덕도 남단 섬 중앙에 터미널 시설 등을 배치하고 북쪽에 활주로를 짓는 구조입니다.
절토량은 1.64억 세제곱미터로 6개 안 중 제일 많고, 매립량은 0.95억 세제곱미터로 제일 적습니다.
섬 왼쪽 선박 항로인 가덕수도를 회피하기 위해, 공항 높이는 해발 25m로 계획됐습니다.
터미널은 T자형, 제2활주로는 터미널 아래 쪽에 배치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공사 기한이 문제입니다.
6개 안 중에 공기가 가장 짧은 안인데도 불구하고 89개월이나 걸립니다.
<오는 8월 기본계획 용역이 마무리되고 기본,실시설계를 거쳐 내년 하반기 착공에 들어가더라도,
2032년에나 개항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다음 달, 엑스포 현지 실사를 앞두고 지역 사회의 반발은 물론, 후폭풍도 상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구체적인 공기는 최적화 과정을 거쳐 재검토될 예정이지만, 엑스포 전, 조기개항은 사실상 힘든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박영강/신공항교수회의 공동대표/'신공항이 되어야만 엑스포가 개최될 수 있고 엑스포가 개최되어야만 신공항도 정상적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국토부가 이달 중순 조기개항과 관련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도 지켜볼 일입니다.
{김광회/부산시 도시균형발전실장/'우리 정부에서는 각계 각층, 우리 시도 마찬가지고 마무리 작업 과정에서 의견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전타당성조사에 이어, 기본계획에서마저 또 다시 부울경 시도민들을 무시하고 농락하는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지 우려가 큰 상황입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태훈 기자
lth4101@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PK 표심 공략 본격화2025.05.10
-
도의회, 예산 부당 지출 수사 중에 또 국외 연수2025.05.10
-
부산시의회, 현대건설 수의계약 중단 대책 촉구2025.05.10
-
부산*경남서 까치집 제거 5년 동안 2천 7백건2025.05.10
-
지역 대규모 국책사업 무시가 초유의 수의계약 중단 불렀나?2025.05.09
-
NC, 울산행에서 다시 창원으로2025.05.09
-
국제선 내항기의 양면성..김해공항 죽이기 우려2025.05.09
-
주한미해군사령관 '부산시 명예시민' 선정2025.05.09
-
양산도시철도 7년 만에 시운전 돌입, 운영사 선정은?2025.05.08
-
현직 경찰이 거액 보이스피싱 조직에 가담, 1명 구속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