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에어컨 실외기 화재 잇따라.. 주의점은?
박명선
입력 : 2022.07.06 20:56
조회수 : 434
0
0
<앵커>
요즘 30도를 웃도는 무더위속에 에어컨을 쉴새 없이 켜다보니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특히 실외기 전선에서 불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집은 안전한지 한번 살펴보셔야겠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부산의 한 아파트 화재현장, 소방대원들의 감식 작업이 한창입니다.
실외기에서 불이 시작됐는데 입주민이 다행히 초반에 껐습니다.
이틀전에도 역시 부산의 또다른 아파트에서 불이 났습니다.
소방당국은 모두 실외기 과열로 불이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조승우/현장출동 소방관/'에어컨 실외기에서 합동감식 결과 최초 발화된 것으로 추정되고 주변에 있던 가재도구가 같이 연소되면서 연기화염이 목격된 것입니다.'}
최근 30도를 넘나드는 폭염속 에어컨은 쉴새가 없습니다.
여름철 에어컨을 쉴새없이 가동하면서 화재가 잇따르고 있는데, 얼마나 위험한지 실험에서도 나타납니다.
먼지가 낀 보통의 에어컨 실외기를 작동시켰더니 3분만에 불꽃이 튑니다.
20분이 지나자 불타기 시작합니다.
실외기는 바깥날씨 영향을 많이 받는데다, 특히 손상된 전선이 먼지와 습기속에 놓이면 쉽게 불이 납니다.
{이재훈/국립소방연구원 화재안전연구실 공업연구사/(실외기에서) 습기, 먼지, 벌레사체 등과 같은 이물질이 침착되어서 불꽃이 발생되어 점화원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면 주위 착화물에 연소되어 대형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실외기 먼지를 제거하고 전선이 낡았는지 자주 살펴봐야합니다.
또 통풍이 잘되도록 벽과 최소 10cm 이상 간격을 둬야합니다.
{이재혁/부산소방재난본부 방호조사과/'에어컨을 가동할때는 실외기에서 발생한 열이 밖으로 잘 배출되도록 환풍기를 개방해 놓으시고 실외기 주변에는 비닐봉투나 종이 박스 등 불에 타기 쉬운 물건들을 쌓아놓지 말아야합니다.'}
최근 5년 사이 부산경남만 2백여건의 에어컨 화재가 발생했고, 전국적으로는 1천건이 넘게 발생한만큼 본격적인 폭염전 한번 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요즘 30도를 웃도는 무더위속에 에어컨을 쉴새 없이 켜다보니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특히 실외기 전선에서 불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집은 안전한지 한번 살펴보셔야겠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부산의 한 아파트 화재현장, 소방대원들의 감식 작업이 한창입니다.
실외기에서 불이 시작됐는데 입주민이 다행히 초반에 껐습니다.
이틀전에도 역시 부산의 또다른 아파트에서 불이 났습니다.
소방당국은 모두 실외기 과열로 불이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조승우/현장출동 소방관/'에어컨 실외기에서 합동감식 결과 최초 발화된 것으로 추정되고 주변에 있던 가재도구가 같이 연소되면서 연기화염이 목격된 것입니다.'}
최근 30도를 넘나드는 폭염속 에어컨은 쉴새가 없습니다.
여름철 에어컨을 쉴새없이 가동하면서 화재가 잇따르고 있는데, 얼마나 위험한지 실험에서도 나타납니다.
먼지가 낀 보통의 에어컨 실외기를 작동시켰더니 3분만에 불꽃이 튑니다.
20분이 지나자 불타기 시작합니다.
실외기는 바깥날씨 영향을 많이 받는데다, 특히 손상된 전선이 먼지와 습기속에 놓이면 쉽게 불이 납니다.
{이재훈/국립소방연구원 화재안전연구실 공업연구사/(실외기에서) 습기, 먼지, 벌레사체 등과 같은 이물질이 침착되어서 불꽃이 발생되어 점화원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면 주위 착화물에 연소되어 대형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실외기 먼지를 제거하고 전선이 낡았는지 자주 살펴봐야합니다.
또 통풍이 잘되도록 벽과 최소 10cm 이상 간격을 둬야합니다.
{이재혁/부산소방재난본부 방호조사과/'에어컨을 가동할때는 실외기에서 발생한 열이 밖으로 잘 배출되도록 환풍기를 개방해 놓으시고 실외기 주변에는 비닐봉투나 종이 박스 등 불에 타기 쉬운 물건들을 쌓아놓지 말아야합니다.'}
최근 5년 사이 부산경남만 2백여건의 에어컨 화재가 발생했고, 전국적으로는 1천건이 넘게 발생한만큼 본격적인 폭염전 한번 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박명선 기자
pms@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단독]수상한 수의계약...'정치편향 유튜버' 일감 몰아주기?2025.09.10
-
[단독]부산교육청 신임 감사관, 알고 보니 전직 거래처 사장2025.09.10
-
190억 의원회관 한달만에 또 공사 '비효율 극치'2025.09.10
-
가덕신공항건설공단, '공기 111개월 제안' 후폭풍 거세2025.09.10
-
포스코이앤씨, 이번에는 민원 외면하고 공사강행2025.09.09
-
부산 학생 수, 전국에서 제일 빨리 줄었다2025.09.09
-
포스코, HMM 새주인 후보 부상... 부산 이전 영향은?2025.09.09
-
부산 블록체인 정책 상징 'B-패스', '무용지물' 전락2025.09.09
-
"담배꽁초 버리다 덜미"...도주극 지명수배자 검거2025.09.08
-
부산구치소 20대 재소자 숨져... "집단 폭행 의심"2025.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