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원전 해체 국내 기술로 충분 부산경남이 선도
주우진
입력 : 2025.07.08 20:56
조회수 : 1442
0
0
<앵커>
고리 1호기 해체 승인으로 원전 해체 산업을 노리는 부산경남 기업들의 걸음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원전 앵커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는 이미 상당한 기술력을 확보해 이번 원전 해체를 주도할 전망입니다.
주우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고리1호기 해체에 성공하면, 한국은 미국에 이어 전세계 두번째로 상업용 원전을 해체한 국가가 됩니다.
이미 국내 기술만으로 해체가 가능할 정도로 준비는 돼 있습니다.
"원전 해체가 본격화되면서 단연 주목받는 곳이 두산에너빌리티입니다. 지난 2014년 원자력해체센터를 지어 기술개발과 실증을 해왔는데요, 현장을 한번 둘러보겠습니다."
그동안 100개가 넘는 원전 해체 장비를 개발하면서 핵심 해체 기술들을 하나씩 확보해왔습니다.
대표적인 게 초고난이도로 꼽히는 방사성에 오염된 원자로의 해체입니다.
들어올린 원자로 압력용기를 로봇 원격 조종으로 절단,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해 실증까지 마쳤습니다.
여기에 320톤 규모의 증기발생기 해체까지, 원전 주기기를 생산*공급해 온 역량을 해체 기술로 승화했습니다.
한수원과 함께 고리1호기 해체를 주도할 계획인데, 부산 경남 50여개 협력업체들도 함께 참여할 전망입니다.
김창규/두산에너빌리티 원전해체기술개발사업팀 수석 "고리1호기 해체를 통해서, 확보한 기술들을 실증을 하고 실적들을 쌓는다면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에 진출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박영준
5백조 규모의 원전 해체시장 진출길을 앞장서서 열어갈 부산경남 기업들의 활약이 기대됩니다.
KNN 주우진입니다.
고리 1호기 해체 승인으로 원전 해체 산업을 노리는 부산경남 기업들의 걸음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원전 앵커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는 이미 상당한 기술력을 확보해 이번 원전 해체를 주도할 전망입니다.
주우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고리1호기 해체에 성공하면, 한국은 미국에 이어 전세계 두번째로 상업용 원전을 해체한 국가가 됩니다.
이미 국내 기술만으로 해체가 가능할 정도로 준비는 돼 있습니다.
"원전 해체가 본격화되면서 단연 주목받는 곳이 두산에너빌리티입니다. 지난 2014년 원자력해체센터를 지어 기술개발과 실증을 해왔는데요, 현장을 한번 둘러보겠습니다."
그동안 100개가 넘는 원전 해체 장비를 개발하면서 핵심 해체 기술들을 하나씩 확보해왔습니다.
대표적인 게 초고난이도로 꼽히는 방사성에 오염된 원자로의 해체입니다.
들어올린 원자로 압력용기를 로봇 원격 조종으로 절단,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해 실증까지 마쳤습니다.
여기에 320톤 규모의 증기발생기 해체까지, 원전 주기기를 생산*공급해 온 역량을 해체 기술로 승화했습니다.
한수원과 함께 고리1호기 해체를 주도할 계획인데, 부산 경남 50여개 협력업체들도 함께 참여할 전망입니다.
김창규/두산에너빌리티 원전해체기술개발사업팀 수석 "고리1호기 해체를 통해서, 확보한 기술들을 실증을 하고 실적들을 쌓는다면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에 진출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박영준
5백조 규모의 원전 해체시장 진출길을 앞장서서 열어갈 부산경남 기업들의 활약이 기대됩니다.
KNN 주우진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주우진 기자
wjjo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가을 왔지만 축제장은 '텅'... 가을장마에 발길 끊겨2025.10.18
-
수도권 규제 여파... 부산 동서 격차 더 벌어지나2025.10.18
-
양산 밭에 멧돼지 그물에 걸려... 사살2025.10.18
-
창원-동대구 KTX 반영 범시민추진위 발족2025.10.18
-
맹견 핏불테리어에 80대 여성 물려 숨져2025.10.17
-
25년 만의 '부산 전국체전', 전국 3만여 선수단 참가2025.10.17
-
전국체전으로 도심 교통통제 불가피2025.10.17
-
농협중앙회 CEO 리스크... 사법 악순환 반복2025.10.17
-
2명 숨진 시내버스 사고... 원인은 '운전자 과실'2025.10.16
-
만년 2부 '부산아이파크' 구단주 뭐하나?2025.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