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부산형 인강' 확대...기대 속 우려도
김건형
입력 : 2024.06.08 18:30
조회수 : 1371
0
0
<앵커>
자녀들의 사교육비 부담은 지역 간 격차를 키우는 건 물론 저출생과 지역소멸의 원인으로도 꼽히는데요.
전국에서 처음으로 공교육 차원의 인터넷 강의를 도입한 부산교육청의 실험을 두고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서부산권 한 중학교 1학년 방과후학교 시간,
학생들이 각자의 스마트기기로 인터넷 강의를 듣습니다.
{김은서/부산 장림여중 1학년/"다른 이야기를 가져와서 설명해 주셔서 이해가 더 잘 되고, Q&A로 선생님한테 질문도 할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인터넷 강의 녹화가 한창인 스튜디오,
까다로운 심사를 거쳐 선발된 강사들은 모두 지역 현직 교사입니다.
지역 학생들의 자기 주도 학습을 돕는데 초점을 맞춘 맞춤형 강의를 준비했습니다.
{우선영/부산 신도중학교 교사/"아이들이 어려워하는 것들이나 많이 헷갈려 하는 것들을 저희가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그래서 그런 부분들을 강의에 최대한 반영해서"}
교재를 공동 개발 한 다른 교사들도 녹화를 함께 지켜보며 완성도를 높입니다.
{박소나/부산교육청학력개발원 교육연구사/"콘텐츠 촬영할 때 검수를 해 주시고 교재도 같이 집필하고 제작하고 만들도록 팀 단위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부산지역 학생 10명 가운데 8명꼴로 사교육을 받습니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3만4천원에 달합니다.
5년전 보다 참여율은 10%, 사교육비 부담은 16만원 가까이 늘었습니다.
특히 지역별로 사교육 이용격차가 두드러졌습니다.
이용률 차이가 최대 28%나 벌어졌습니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부산교육청이 부산형 인강을 도입한 배경입니다.
1차 이용대상은 원도심*서부산권 학생들입니다.
지난해 9월 고1 과정부터 개설됐는데 대상 학생 70%가 이용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올해부턴 중1과정이, 오는 2026년까진 중학교 전과정으로 확대합니다.
{이상율/부산교육청학력개발원장/"동서 간의 교육 격차 완화는 물론이고 학생들에게 어떤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길러줘서 학력 향상을 꾀하고 또 나아가서는 사교육 수요를 흡수함으로써 사교육비 경감에도 크게 기여하리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교사노조 등은 기존 EBS강의와 크게 다를게 없다며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또 교사가 인강 시청을 지도하는 방식도 교권 추락을 불러올 것이라 반발하고 있습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자녀들의 사교육비 부담은 지역 간 격차를 키우는 건 물론 저출생과 지역소멸의 원인으로도 꼽히는데요.
전국에서 처음으로 공교육 차원의 인터넷 강의를 도입한 부산교육청의 실험을 두고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서부산권 한 중학교 1학년 방과후학교 시간,
학생들이 각자의 스마트기기로 인터넷 강의를 듣습니다.
{김은서/부산 장림여중 1학년/"다른 이야기를 가져와서 설명해 주셔서 이해가 더 잘 되고, Q&A로 선생님한테 질문도 할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인터넷 강의 녹화가 한창인 스튜디오,
까다로운 심사를 거쳐 선발된 강사들은 모두 지역 현직 교사입니다.
지역 학생들의 자기 주도 학습을 돕는데 초점을 맞춘 맞춤형 강의를 준비했습니다.
{우선영/부산 신도중학교 교사/"아이들이 어려워하는 것들이나 많이 헷갈려 하는 것들을 저희가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그래서 그런 부분들을 강의에 최대한 반영해서"}
교재를 공동 개발 한 다른 교사들도 녹화를 함께 지켜보며 완성도를 높입니다.
{박소나/부산교육청학력개발원 교육연구사/"콘텐츠 촬영할 때 검수를 해 주시고 교재도 같이 집필하고 제작하고 만들도록 팀 단위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부산지역 학생 10명 가운데 8명꼴로 사교육을 받습니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3만4천원에 달합니다.
5년전 보다 참여율은 10%, 사교육비 부담은 16만원 가까이 늘었습니다.
특히 지역별로 사교육 이용격차가 두드러졌습니다.
이용률 차이가 최대 28%나 벌어졌습니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부산교육청이 부산형 인강을 도입한 배경입니다.
1차 이용대상은 원도심*서부산권 학생들입니다.
지난해 9월 고1 과정부터 개설됐는데 대상 학생 70%가 이용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올해부턴 중1과정이, 오는 2026년까진 중학교 전과정으로 확대합니다.
{이상율/부산교육청학력개발원장/"동서 간의 교육 격차 완화는 물론이고 학생들에게 어떤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길러줘서 학력 향상을 꾀하고 또 나아가서는 사교육 수요를 흡수함으로써 사교육비 경감에도 크게 기여하리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교사노조 등은 기존 EBS강의와 크게 다를게 없다며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또 교사가 인강 시청을 지도하는 방식도 교권 추락을 불러올 것이라 반발하고 있습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건형 기자
kg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관광 회복 기대했지만...지역별 온도차에 '아쉬움'2025.05.06
-
공공기여 약속 29층이 25층으로...슬그머니 축소?2025.05.06
-
'공정성 논란' 섬 특성화사업, 사업 차질 우려2025.05.06
-
"민간개발 이익 환원은 해당지역에 우선" 조례 제정2025.05.06
-
부처님 오신 날 봉축법요식... 어린이 날 행사도2025.05.05
-
차량정비소 화재...1,500만원 재산 피해2025.05.05
-
훔친 오토바이 몰고 무면허로 고속도로 달린 20대 벌금형2025.05.05
-
경남 양산 병원서 불, 환자 등 11명 '연기흡입'2025.05.04
-
부족한 장애인 바우처 시간, 서울살이 아들도 병간호 동참2025.05.04
-
석가탄신일 앞둔 부산*경남 사찰 인파 등 분주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