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추석 앞두고 임금 체불 급증, 노동자는 "하루하루가 고통"
조진욱
입력 : 2023.09.19
조회수 : 926
0
0
<앵커>
일을 하고도 돈을 못받는 임금체불 사례가 올들어 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에도 계속된 경기 침체가 원인으로 꼽히는데, 추석 명절을
앞두고 노동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조진욱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의 한 병원에서 도수 담당 물리치료사로 일했던 A씨는 병원
사정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올 여름부터 월급을 못받았습니다.
기약없는 희망고문에 체납액은 8백만 원까지 불었고, 지난달 결국
일을 그만뒀습니다.
{A씨/ 임금체불 피해자/ "6월부터 전 직원이 다 월급이 끊긴 상태고, 한 30명 정도되고 의사도 몇명있고, 치료팀 부서만해도 1억 원 정도 못받았습니다."}
부산 문현동에서 아파트 도색 작업을 한 40대 노동자 B씨도 일을 하고도
두 달치 일당 4백만원을 떼였습니다.
확인 결과 B씨처럼 사업주에게 돈을 못받은 사람만 29명, 체불액은
1억 원이 넘었습니다.
{B씨/ 임금체불 피해자/ "하루하루 벌어먹고 사는 사람인데, 그걸 안주니까. 그러니까 어떻게 할 방법이 없어요."}
"올해 상반기 부산경남 지역의 임금체불액은 1400억 원 수준으로 지난해보다 100억 원 정도 늘었습니다.
특히 부산의 경우 15%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건설을 비롯한 부산경남 지역의 경기 침체가 가장 큰 이유로 꼽힙니다.
{정중권/ 부산고용노동청 근로감독관/ "명절을 앞두고 체불임금이 늘고 있는데, 건설 업체 쪽에서 체불이 많이 발생하는 실정입니다. 사업주가 지급 못할 때는 저희들도 처벌하는 수외에는 (다른 방안이 없습니다.)" }
노동청과 부산시 등 관계기관이 임금체불 집중단속에 나선 가운데, 추석 명절을 앞둔 노동자들의 한숨은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일을 하고도 돈을 못받는 임금체불 사례가 올들어 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에도 계속된 경기 침체가 원인으로 꼽히는데, 추석 명절을
앞두고 노동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조진욱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의 한 병원에서 도수 담당 물리치료사로 일했던 A씨는 병원
사정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올 여름부터 월급을 못받았습니다.
기약없는 희망고문에 체납액은 8백만 원까지 불었고, 지난달 결국
일을 그만뒀습니다.
{A씨/ 임금체불 피해자/ "6월부터 전 직원이 다 월급이 끊긴 상태고, 한 30명 정도되고 의사도 몇명있고, 치료팀 부서만해도 1억 원 정도 못받았습니다."}
부산 문현동에서 아파트 도색 작업을 한 40대 노동자 B씨도 일을 하고도
두 달치 일당 4백만원을 떼였습니다.
확인 결과 B씨처럼 사업주에게 돈을 못받은 사람만 29명, 체불액은
1억 원이 넘었습니다.
{B씨/ 임금체불 피해자/ "하루하루 벌어먹고 사는 사람인데, 그걸 안주니까. 그러니까 어떻게 할 방법이 없어요."}
"올해 상반기 부산경남 지역의 임금체불액은 1400억 원 수준으로 지난해보다 100억 원 정도 늘었습니다.
특히 부산의 경우 15%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건설을 비롯한 부산경남 지역의 경기 침체가 가장 큰 이유로 꼽힙니다.
{정중권/ 부산고용노동청 근로감독관/ "명절을 앞두고 체불임금이 늘고 있는데, 건설 업체 쪽에서 체불이 많이 발생하는 실정입니다. 사업주가 지급 못할 때는 저희들도 처벌하는 수외에는 (다른 방안이 없습니다.)" }
노동청과 부산시 등 관계기관이 임금체불 집중단속에 나선 가운데, 추석 명절을 앞둔 노동자들의 한숨은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조진욱 기자
joj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독감 이어 폐렴, 백일해까지 확산 우려2023.12.10
-
아르피나 몸집 줄이기에도 적자 해소 난망2023.12.10
-
밀양 딸기, 해외 수출 판로 넓힌다2023.12.10
-
<바다가 젊어진다-6> '한 달 살기'로 정착, 꿈 많은 청년 김로원2023.12.10
-
12월 기상 관측 이후 가장 더운 겨울2023.12.09
-
조선 화약 무기 전시회, '화력조선' 인기2023.12.09
-
부산·경남 선거구 조정안 유불리 '촉각'2023.12.09
-
창원시 '지속가능 성장 위한 계획' 수립2023.12.09
-
지역주택조합, ‘옥석 가려야’2023.12.08
-
수백만개 맨홀 뚜껑 전수조사, 사실상 시한폭탄2023.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