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녹조 독소 공기통해 전파 확인
이태훈
입력 : 2022.09.21 20:59
조회수 : 469
0
0
<앵커>
낙동강의 녹조 독소가 공기중으로도 전파되는 사실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됐습니다.
마이크로시스틴등 녹조의 남세균에서 나오는 독성물질이 호흡을 통해서도 인체에 흡수될수 있다는 결론인데, 더 꼼꼼한 대책이 필요하게 됐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환경운동연합등 환경단체들과 부경대와 경북대 등 연구팀은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낙동강 주변의 공기에 녹조 독소가 있는지를 연구조사했습니다.
해외 연구는 있었지만 국내에서는 첫 조사 결과입니다.
낙동강에서 1.2km 떨어진 아파트 옥상 대기에서는 1㎥에서 1.88 나노그램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습니다. 미국 뉴햄프셔주강의 대기에서 검출됐던 최저농도 사례보다 144배 많습니다.
{강미애/낙동강네트워크 집행위원/'정말로 충격적인 결과인데요. 이 녹조를 그동안 국가는 별일 아닌 것처럼 방치했습니다.'}
'낙동강 대동선착장의 배 위 대기에서는 1㎥에서 6.8나노그램이 검출됐습니다. 미국 뉴햄프셔강의 검출사례보다 523배가 많았습니다.
낙동강주변 11개 조사지점 대기에서는 모두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습니다.
또 낙동강의 한 유람선 선착장 대기에서는 뇌질환을 일으키는 BMAA가 1㎥에서 16.1 나노그램 측정됐습니다.
대기를 통한 유독물질의 흡수는 콧속의 점막이 얇아 더 빠르고 뇌에 더욱 치명적일수 있습니다.
{임희자 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바로 코로 들어와서 혈관이나 뇌로 들어가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 이렇게 보고 있는거죠.'}
이번 조사시기는 녹조의 최대 번성기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조사중인 환경단체 회원의 마스크에서도 남세균이 검출됐습니다.
연구팀은 대기 중에 떠다니는 남세균을 포집해, 남세균 안의 독성물질을 확인하는 조사방식을 활용했습니다.
{이승준/부경대 식품영양학과 교수/'공기중에 마이크로시스틴도 측정을 해야하고 대기 중에 있는 남세균도 측정을 해야되는데 저희는 한가지만 했잖아요. 실제 공기 중에 있는 마이크로시스틴보다는 덜 측정됐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대기중 남세균과 독성물질의 확산이 확인된 가운데, 건강한 마실 물을 위한 녹조 대책 마련은 더욱 시급하게 됐습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낙동강의 녹조 독소가 공기중으로도 전파되는 사실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됐습니다.
마이크로시스틴등 녹조의 남세균에서 나오는 독성물질이 호흡을 통해서도 인체에 흡수될수 있다는 결론인데, 더 꼼꼼한 대책이 필요하게 됐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환경운동연합등 환경단체들과 부경대와 경북대 등 연구팀은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낙동강 주변의 공기에 녹조 독소가 있는지를 연구조사했습니다.
해외 연구는 있었지만 국내에서는 첫 조사 결과입니다.
낙동강에서 1.2km 떨어진 아파트 옥상 대기에서는 1㎥에서 1.88 나노그램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습니다. 미국 뉴햄프셔주강의 대기에서 검출됐던 최저농도 사례보다 144배 많습니다.
{강미애/낙동강네트워크 집행위원/'정말로 충격적인 결과인데요. 이 녹조를 그동안 국가는 별일 아닌 것처럼 방치했습니다.'}
'낙동강 대동선착장의 배 위 대기에서는 1㎥에서 6.8나노그램이 검출됐습니다. 미국 뉴햄프셔강의 검출사례보다 523배가 많았습니다.
낙동강주변 11개 조사지점 대기에서는 모두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습니다.
또 낙동강의 한 유람선 선착장 대기에서는 뇌질환을 일으키는 BMAA가 1㎥에서 16.1 나노그램 측정됐습니다.
대기를 통한 유독물질의 흡수는 콧속의 점막이 얇아 더 빠르고 뇌에 더욱 치명적일수 있습니다.
{임희자 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바로 코로 들어와서 혈관이나 뇌로 들어가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 이렇게 보고 있는거죠.'}
이번 조사시기는 녹조의 최대 번성기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조사중인 환경단체 회원의 마스크에서도 남세균이 검출됐습니다.
연구팀은 대기 중에 떠다니는 남세균을 포집해, 남세균 안의 독성물질을 확인하는 조사방식을 활용했습니다.
{이승준/부경대 식품영양학과 교수/'공기중에 마이크로시스틴도 측정을 해야하고 대기 중에 있는 남세균도 측정을 해야되는데 저희는 한가지만 했잖아요. 실제 공기 중에 있는 마이크로시스틴보다는 덜 측정됐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대기중 남세균과 독성물질의 확산이 확인된 가운데, 건강한 마실 물을 위한 녹조 대책 마련은 더욱 시급하게 됐습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태훈 기자
lth4101@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HMM 이어 SK해운도 부산행? 실현 가능성은?2025.05.16
-
오시리아 꼼수 땅투기... 잘못 없다는 부산도시공사2025.05.16
-
고물가 시대 가성비 '리퍼브 시장' 급성장2025.05.16
-
바다에 유골 뿌리는 '해양장' 주목2025.05.16
-
산업은행 대신 '해양수산부 이전' 공약 공방2025.05.15
-
'예측불가' 호우...부산경남도 긴급재난문자 도입2025.05.15
-
스마트 굴 양식 '개체굴' 수확 본격화2025.05.15
-
신속함에 깊이를 더했다...'KNN 보도 30년'2025.05.15
-
부산경남 찾은 대선주자 '지역 맞춤 공약' 경쟁2025.05.14
-
연예인*업종 가리지 않는 무차별 피싱사기 기승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