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숲,도시를 살리다-최초보고! 숲, 도시를 살리다
김민욱
입력 : 2014.05.30 20:50
조회수 : 926
0
0
{앵커:
KNN이 창사 19주년을 맞아 도심 속 숲의 가치를 조명하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과 자연의 공존을 모색하는 특집다큐멘터리를 선보입니다.
<최초보고, 숲, 도시를 살리다> 9개월간의 대장정을 김민욱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도시의 허파, 숲!
도심 숲은 건강을 지키는 복지의 원천이자 그 자체로 사람과 하나의 문화가 됩니다.
그리고 그 속에는 생명이 깃들어 삽니다.
우리나라 도시화율 91%!
인구 10명 가운데 9명 이상이 도시에 산다는 예깁니다.
이런 급속한 도시화는 그 속에 있던 숲과 충돌을 빚을 수밖에 없었고 그 피해는 늘 나무들이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식물의 능력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입니다.
{이안 볼드윈/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 연구소 박사/'식물은 햇빛을 받아 광합성을 하며 성장하는 기계 정도로 여겼다. 그래서 식물이 자신의 이웃에 관심을 갖고 누가 자신을 씹어 먹는지, 애벌레가 뭘 원하는지, 애벌레를 제거하기 위해 반응하는 유기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식물은 인간이 하는 것처럼 상황을 조종한다.'}
지금껏 한번도 공개된 적이 없는 새로운 숲의 공익적 가치!
최초보고 숲, 도시를 살리다>는 총 제작 기간 9개월에 독일, 일본,싱가포르 등 4개국 8개 도시의 도심숲에 대한 살아있는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스트레스를 받는 나무와 이를 방어하는 영리한 나무에 대한 영상!
그리고 숲 치유 효과까지,다양한 실험으로 증명해보입니다.
여기에는 500년 팽나무와 3000년 녹나무가 도시와 숲의 연결자로서 주인공으로 등장합니다.
뉴스기획 <도시와 나무>에서 한발 더 나아간 KNN 창사특집다큐멘터리 <최초보고, 숲, 도시를 살리다> 는 잠시 뒤인 시청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KNN이 창사 19주년을 맞아 도심 속 숲의 가치를 조명하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과 자연의 공존을 모색하는 특집다큐멘터리를 선보입니다.
<최초보고, 숲, 도시를 살리다> 9개월간의 대장정을 김민욱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도시의 허파, 숲!
도심 숲은 건강을 지키는 복지의 원천이자 그 자체로 사람과 하나의 문화가 됩니다.
그리고 그 속에는 생명이 깃들어 삽니다.
우리나라 도시화율 91%!
인구 10명 가운데 9명 이상이 도시에 산다는 예깁니다.
이런 급속한 도시화는 그 속에 있던 숲과 충돌을 빚을 수밖에 없었고 그 피해는 늘 나무들이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식물의 능력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입니다.
{이안 볼드윈/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 연구소 박사/'식물은 햇빛을 받아 광합성을 하며 성장하는 기계 정도로 여겼다. 그래서 식물이 자신의 이웃에 관심을 갖고 누가 자신을 씹어 먹는지, 애벌레가 뭘 원하는지, 애벌레를 제거하기 위해 반응하는 유기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식물은 인간이 하는 것처럼 상황을 조종한다.'}
지금껏 한번도 공개된 적이 없는 새로운 숲의 공익적 가치!
최초보고 숲, 도시를 살리다>는 총 제작 기간 9개월에 독일, 일본,싱가포르 등 4개국 8개 도시의 도심숲에 대한 살아있는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스트레스를 받는 나무와 이를 방어하는 영리한 나무에 대한 영상!
그리고 숲 치유 효과까지,다양한 실험으로 증명해보입니다.
여기에는 500년 팽나무와 3000년 녹나무가 도시와 숲의 연결자로서 주인공으로 등장합니다.
뉴스기획 <도시와 나무>에서 한발 더 나아간 KNN 창사특집다큐멘터리 <최초보고, 숲, 도시를 살리다> 는 잠시 뒤인 시청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민욱 기자
u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지역 대규모 국책사업 무시가 초유의 수의계약 중단 불렀나?2025.05.09
-
NC, 울산행에서 다시 창원으로2025.05.09
-
국제선 내항기의 양면성..김해공항 죽이기 우려2025.05.09
-
주한미해군사령관 '부산시 명예시민' 선정2025.05.09
-
양산도시철도 7년 만에 시운전 돌입, 운영사 선정은?2025.05.08
-
현직 경찰이 거액 보이스피싱 조직에 가담, 1명 구속2025.05.08
-
6명 숨진 '반얀트리 참사'...드러난 인허가 비리2025.05.08
-
<단독> 하루 행사에 1억 3천만 원...수상한 수의계약2025.05.07
-
<현장> '제2의 잼버리 사태' 황금연휴 망친 민폐 라면축제2025.05.07
-
현대건설 배짱...나쁜 선례 만드는데 손놓은 부산시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