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통영도 응급실 사라지나... 곳곳에서 응급실 폐쇄 위기
안형기
입력 : 2025.08.26 20:47
조회수 : 372
0
0
<앵커>
경남의 응급의료망이 붕괴위기입니다.
이달초 밀양시에 이어 통영시에서 하나밖에 없는 응급실이 폐쇄를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역시 문제는 적자와 의사부족인데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안형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남 통영시의 한 종합병원 응급실입니다.
응급환자를 돌보는 의료진들이 분주히 움직입니다.
"현재 통영시에 24시간 응급실을 운영하는 곳은 이 병원 한 곳 뿐입니다. 그렇다 보니 한 해 평균 2만5천여명의 응급환자들이 이 병원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응급실 운영 중단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응급실 누적 적자만 100억원이 넘으면서 병원 경영이 흔들릴 정도입니다.
당장 지역민들은 불안을 감추지 못합니다.
{김정애/통영시 광도면/"촌에서 사람이 아프면 급하게 응급실을 간다 아닙니까... 응급실이 없어지면 되나요? 안 되지..."}
특히 지병 등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 가족은 더 초조할 수밖에 없습니다.
{김경섭/통영시 봉평동/"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해요. 창원, 진주 가려면 1시간 이상 걸리지 않습니까. 그러면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어떻게 감당을...}
병원도 적자는 버텨보고 있지만 의료진 부족까지 겹친 상황이 버겁습니다
지금 있는 의료진이 그만두기라도 하면 운영 중단은 불가피합니다.
{이근영/통영 00병원 관계자/경영적으로 악화가 야기되고 있는 상황이고, 그런 부분 때문에 응급실에 대한 운영여부를 계속 얘기하는 부분...}
연간 1억원을 보조하는 통영시로서도 혼자 힘만으로는 한계인 상황입니다.
{이현주/통영시보건소 질병관리과 의약팀장/"모든 응급의료기관들이 지금 인력난이라든지 재정적인 문제가 있는거로... 중앙이나 도에 이제 지원 건의를 드릴 예정이고, 시 자체적으로도 인력난 같은게 예상이 되니까 (지원을 확대할 수 있도록)"}
경남도도 의료망 확충에 팔 걷고 나섰지만 벼랑끝에 몰린 응급의료기관들의 잇단 응급실 폐쇄에 도민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습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박영준
경남의 응급의료망이 붕괴위기입니다.
이달초 밀양시에 이어 통영시에서 하나밖에 없는 응급실이 폐쇄를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역시 문제는 적자와 의사부족인데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안형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남 통영시의 한 종합병원 응급실입니다.
응급환자를 돌보는 의료진들이 분주히 움직입니다.
"현재 통영시에 24시간 응급실을 운영하는 곳은 이 병원 한 곳 뿐입니다. 그렇다 보니 한 해 평균 2만5천여명의 응급환자들이 이 병원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응급실 운영 중단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응급실 누적 적자만 100억원이 넘으면서 병원 경영이 흔들릴 정도입니다.
당장 지역민들은 불안을 감추지 못합니다.
{김정애/통영시 광도면/"촌에서 사람이 아프면 급하게 응급실을 간다 아닙니까... 응급실이 없어지면 되나요? 안 되지..."}
특히 지병 등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 가족은 더 초조할 수밖에 없습니다.
{김경섭/통영시 봉평동/"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해요. 창원, 진주 가려면 1시간 이상 걸리지 않습니까. 그러면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어떻게 감당을...}
병원도 적자는 버텨보고 있지만 의료진 부족까지 겹친 상황이 버겁습니다
지금 있는 의료진이 그만두기라도 하면 운영 중단은 불가피합니다.
{이근영/통영 00병원 관계자/경영적으로 악화가 야기되고 있는 상황이고, 그런 부분 때문에 응급실에 대한 운영여부를 계속 얘기하는 부분...}
연간 1억원을 보조하는 통영시로서도 혼자 힘만으로는 한계인 상황입니다.
{이현주/통영시보건소 질병관리과 의약팀장/"모든 응급의료기관들이 지금 인력난이라든지 재정적인 문제가 있는거로... 중앙이나 도에 이제 지원 건의를 드릴 예정이고, 시 자체적으로도 인력난 같은게 예상이 되니까 (지원을 확대할 수 있도록)"}
경남도도 의료망 확충에 팔 걷고 나섰지만 벼랑끝에 몰린 응급의료기관들의 잇단 응급실 폐쇄에 도민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습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박영준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안형기 기자
ah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어묵 하나에 3천원' 바가지 논란... 대책 없나?2025.08.26
-
제조 공장에서 폭발 추정 화재... 2명 중상2025.08.26
-
[단독] 대안교육 지원 조례 3번이나 발의... 이해충돌 논란2025.08.26
-
통영도 응급실 사라지나... 곳곳에서 응급실 폐쇄 위기2025.08.26
-
'처서 매직'없는 폭염에 해수욕장 '뜻 밖의 특수'2025.08.25
-
고리1호기 해체 대기업 눈독 현대건설 참여 못막아2025.08.25
-
"12연패 끊었지만..." 벼랑 끝 '가을야구2025.08.25
-
낙동강 녹조 독성물질에 주민 불안감 커지는데...2025.08.25
-
조국, 부산서 첫 정치 행보..초심 다지며 ‘재시동’2025.08.24
-
자랑스런 부산경남 더 자랑스럽게-우주항공 수도 경남2025.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