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밀양*함안*하동 응급실 '0'...주민 불안 가중
안형기
입력 : 2025.08.20 20:49
조회수 : 421
0
0
<앵커>
경남 밀양에 하나 밖에 없던 응급실이 문을 닫으면서 열악한 경남응급의료망이 또다시 도마위에 올랐습니다.
경남도가 의료망 확충에 나섰지만 당장은 뾰족한 답이 없어 더 답답한게 현실입니다.
안형기 기자입니다.
<기자>
구급차에 실려온 환자가 급하게 수술실로 옮겨집니다.
한시가 급한 상황, 스텐트 시술을 받고서 겨우 생명을 구했습니다.
오늘(20) 낮 실제 상황이지만 저녁이었다면 목숨은 장담할 수 없었습니다.
24시간 운영하던 밀양의 마지막 응급실이 이달초 문을 닫았기 때문입니다.
"밀양시는 응급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해 119 구급대를 추가 편성하는 등 긴급대응체계를 가동하고, 9월 말까지 지역응급의료기관을 새로 지정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밀양에 다시 응급실을 열기는 쉽지 않습니다.
빠져나간 의사들도 문제지만 시스템 자체가 붕괴됐기 때문입니다.
{밀양 00병원 관계자/의사는 어떻게 충원한다치더라도, 간호사, 간호조무사, 응급구조사 포함해서 한 20명 정도되는데 그 인력들이 갑자기 (사라졌으니...)}
경남에 응급실이 없는 지역은 밀양과 함안, 하동 등 3곳
하동군은 적자로 문을 닫았고, 함안군은 조건에 맞는 병원조차 없습니다.
특히 하동은 당장은 대안이 없다는게 경남도의 솔직한 고백입니다.
{이도완/경남도 의료보건국장/하동 같은 경우에는 병원이 있다가 지금 병원이 하나도 없고요. 중앙의원이라고 있습니다. 그래서 야간 늦게까지 아마 24시까지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그래서 지금 하동에서 그런 어려움 때문에...}
응급의료망이 사라진 주민들은 불안에 떨수밖에 없습니다.
{응급실 없는 지역 주민/"시골은 병원 한 번 가려고 하면 너무 힘든데... 주민들 전부 다 나이도 많고 고령화됐잖아요. 절실하게 필요한데, 이게 없어지면 그냥 죽어라 이런 거 잖아요."}
때문에 지역에 반드시 머물 수 있는 의사를 장기적으로 양성하는게 필요하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김민관/경남의사회 회장/"(입시 전형에) 10년이든 20년이든 옵션을 걸어서 지역에서 근무할 수 있는 의사를 양성하는 그런 부분에 있어서도 좀 한번 전향적으로 검토를 해봐야 될 시점이 되지 않았나...}
경남도가 올해 지역필수의사제로 의사 19명를 확보하고 달빛어린이병원을 9곳으로 늘리는등 나서보지만, 사라지는 응급의료망으로 인한 불안은 커질수밖에 없습니다.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 정성욱
경남 밀양에 하나 밖에 없던 응급실이 문을 닫으면서 열악한 경남응급의료망이 또다시 도마위에 올랐습니다.
경남도가 의료망 확충에 나섰지만 당장은 뾰족한 답이 없어 더 답답한게 현실입니다.
안형기 기자입니다.
<기자>
구급차에 실려온 환자가 급하게 수술실로 옮겨집니다.
한시가 급한 상황, 스텐트 시술을 받고서 겨우 생명을 구했습니다.
오늘(20) 낮 실제 상황이지만 저녁이었다면 목숨은 장담할 수 없었습니다.
24시간 운영하던 밀양의 마지막 응급실이 이달초 문을 닫았기 때문입니다.
"밀양시는 응급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해 119 구급대를 추가 편성하는 등 긴급대응체계를 가동하고, 9월 말까지 지역응급의료기관을 새로 지정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밀양에 다시 응급실을 열기는 쉽지 않습니다.
빠져나간 의사들도 문제지만 시스템 자체가 붕괴됐기 때문입니다.
{밀양 00병원 관계자/의사는 어떻게 충원한다치더라도, 간호사, 간호조무사, 응급구조사 포함해서 한 20명 정도되는데 그 인력들이 갑자기 (사라졌으니...)}
경남에 응급실이 없는 지역은 밀양과 함안, 하동 등 3곳
하동군은 적자로 문을 닫았고, 함안군은 조건에 맞는 병원조차 없습니다.
특히 하동은 당장은 대안이 없다는게 경남도의 솔직한 고백입니다.
{이도완/경남도 의료보건국장/하동 같은 경우에는 병원이 있다가 지금 병원이 하나도 없고요. 중앙의원이라고 있습니다. 그래서 야간 늦게까지 아마 24시까지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그래서 지금 하동에서 그런 어려움 때문에...}
응급의료망이 사라진 주민들은 불안에 떨수밖에 없습니다.
{응급실 없는 지역 주민/"시골은 병원 한 번 가려고 하면 너무 힘든데... 주민들 전부 다 나이도 많고 고령화됐잖아요. 절실하게 필요한데, 이게 없어지면 그냥 죽어라 이런 거 잖아요."}
때문에 지역에 반드시 머물 수 있는 의사를 장기적으로 양성하는게 필요하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김민관/경남의사회 회장/"(입시 전형에) 10년이든 20년이든 옵션을 걸어서 지역에서 근무할 수 있는 의사를 양성하는 그런 부분에 있어서도 좀 한번 전향적으로 검토를 해봐야 될 시점이 되지 않았나...}
경남도가 올해 지역필수의사제로 의사 19명를 확보하고 달빛어린이병원을 9곳으로 늘리는등 나서보지만, 사라지는 응급의료망으로 인한 불안은 커질수밖에 없습니다.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 정성욱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안형기 기자
ah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물질나선 해녀 2명 숨져..수난사고 잇따라2025.08.23
-
합리적인 소비 트랜드, 얼리버드가 대세2025.08.23
-
용도변경이나 숙박업 신고안한 '생숙' 부산에 3천3백여가구2025.08.23
-
고시텔 화재로 중태빠졌던 30대 남성 숨져2025.08.23
-
[단독]부산 강서구, '정치적편향' 교회 위해 무상임대 특혜논란2025.08.22
-
흠뻑쇼 '무단 관람'한 경찰들..기강 해이 논란 확산2025.08.22
-
낙동강 녹조 '경계'...식수 안전 비상2025.08.22
-
극한의 기후 재난..위기 속 희망 찾는 영화제2025.08.22
-
중학생이 교사폭행해 전치 12주...무너진 교권2025.08.22
-
[단독]근무 도중 흠뻑쇼 무단 관람... 도 넘은 경찰 '기강 해이'2025.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