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고물가시대 못난이 과일 전성시대
이태훈
입력 : 2025.07.03 17:55
조회수 : 291
0
0
<앵커>
폭염이나 태풍, 우박 등 기후 재난으로 인해 생육이 부진하거나 모양이 고르지 못한 일명 못난이 과일이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못난이 과일이, 고물가시대에 가성비에 힘입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못난이 과일 전성시대,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남 거창군 산지 유통센터입니다.
저온창고에 저장했던 사과를 꺼내 세척한 뒤 당도 측정 등을 거쳐 크기별로 선별합니다.
여기서 선별되는 사과는 상처가 나거나 모양도 고르지 못한 일명 못난이 사과입니다.
폭염 등 기후재난으로 인해 착색이 덜되거나 크기가 작은 것들도 많습니다.
{오승철/농업회사법인 열매나무 대표/"유통센터 쪽으로 입고되는 사과 중에 평균적으로 봤을때 한 40% 이상은 (못난이 사과가) 해마다 들어옵니다."}
당도를 재보니 14.8브릭스.
A급 사과와 비교해도 별차이가 없는 고당도를 자랑하지만, 가격은 절반 정도 쌉니다.
올 상반기, 가성비를 내세운 거창 못난이 사과는 홈쇼핑 등을 통해 무려 1천 8백톤이 팔렸습니다.
경남 진주의 배영농조합에서는 못난이 배를 주스로 만들어 수출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호주 등 3개 나라에 12톤이 처음으로 수출됐습니다.
{김보경/한국배영농조합 과장/"올해는 미국,호주 등 5개 나라에 약 50만불, 24톤 정도를 수출할 계획입니다."}
농가 입장에서는 폭염 등 기후재난으로 인해 못난이 과일이 늘어 걱정이 컸는데, 이제는 활용 가치가 높아졌습니다.
{조해숙/진주시 농업기술센터 소장/"맛이나 품질은 전혀 떨어지지 않아서 배 주스로 가공하여 판매하면 농가 소득을 올리는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기후위기로 인한 고물가 시대, 과일값이 금값이 되가고 있는 상황에서 못난이 과일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폭염이나 태풍, 우박 등 기후 재난으로 인해 생육이 부진하거나 모양이 고르지 못한 일명 못난이 과일이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못난이 과일이, 고물가시대에 가성비에 힘입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못난이 과일 전성시대,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남 거창군 산지 유통센터입니다.
저온창고에 저장했던 사과를 꺼내 세척한 뒤 당도 측정 등을 거쳐 크기별로 선별합니다.
여기서 선별되는 사과는 상처가 나거나 모양도 고르지 못한 일명 못난이 사과입니다.
폭염 등 기후재난으로 인해 착색이 덜되거나 크기가 작은 것들도 많습니다.
{오승철/농업회사법인 열매나무 대표/"유통센터 쪽으로 입고되는 사과 중에 평균적으로 봤을때 한 40% 이상은 (못난이 사과가) 해마다 들어옵니다."}
당도를 재보니 14.8브릭스.
A급 사과와 비교해도 별차이가 없는 고당도를 자랑하지만, 가격은 절반 정도 쌉니다.
올 상반기, 가성비를 내세운 거창 못난이 사과는 홈쇼핑 등을 통해 무려 1천 8백톤이 팔렸습니다.
경남 진주의 배영농조합에서는 못난이 배를 주스로 만들어 수출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호주 등 3개 나라에 12톤이 처음으로 수출됐습니다.
{김보경/한국배영농조합 과장/"올해는 미국,호주 등 5개 나라에 약 50만불, 24톤 정도를 수출할 계획입니다."}
농가 입장에서는 폭염 등 기후재난으로 인해 못난이 과일이 늘어 걱정이 컸는데, 이제는 활용 가치가 높아졌습니다.
{조해숙/진주시 농업기술센터 소장/"맛이나 품질은 전혀 떨어지지 않아서 배 주스로 가공하여 판매하면 농가 소득을 올리는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기후위기로 인한 고물가 시대, 과일값이 금값이 되가고 있는 상황에서 못난이 과일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태훈 기자
lth4101@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하반기 분양시장, 내집 마련 전략은?2025.07.04
-
남해 체류형 관광 기대2025.07.04
-
부산 세븐브릿지를 자전거로2025.07.04
-
부모 없는 집에서 잇단 비극..대책 마련 나선다2025.07.04
-
사직야구장 재건축 본 궤도..북항야구장은 희망고문2025.07.03
-
이 대통령 "해수부 부산 이전 적정, 해사법원은 부산*인천 모두"2025.07.03
-
제2의 반얀트리 화재 시한폭탄…구멍 뚫린 사용승인2025.07.03
-
하반기 분양시장 대어 잇따라...지역 부동산 가늠자되나?2025.07.02
-
[단독] 사용승인 난지 9개월인데 아직 '공사중'...분양자 눈물2025.07.02
-
<현장> 재배 현장 숨이 '턱턱', 멈출 수 없는 일손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