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우주항공청 1년, 본격 산업 발전 이제 시작
길재섭
입력 : 2025.05.26 17:49
조회수 : 243
0
0
<앵커>
우주항공청이 경남 사천에서 개청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우주항공청 개청과 함께 상징적인 성과는 거뒀지만, 우주산업의 발전은 이제 본격적인 시작이라는 평가입니다.
서울에서 길재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우주항공청 개청 1주년.
우주항공산업의 기틀을 다져온 경남은 산업의 발전을 위한 방향과 목표를 하나씩 짚어 나가고 있습니다.
많은 투자와 함께 지역 내 연구개발도 중요한 분야입니다.
{박완수/경남도지사/R&D(연구개발) 부분이 굉장히 취약합니다. 그래서 앞으로 우주항공 분야의 R&D 기능도 산업이 있는 우리 지역 현장에 같이 갖춰질 수 있도록 중앙정부에 건의해 나갈 생각입니다.}
세계 각국의 우주 분야 전문가들 역시 본격적인 투자가 이제부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우주 산업에 대한 투자가 다양한 산업 분야에 미칠 영향 역시 중요합니다.
{전인수/미국 NASA 제트추진연구소 센터장/인류의 호기심도 충족시킬 수 있고, 미래의 진취적인 사업이기 때문에 아마 국가적인 추진을 통해서 (여러 산업에) 많은 영향을 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경남도 등이 마련한 국제 콘퍼런스에서는 경남 사천 진주 등이 프랑스의 뚤루즈와 같은 우주산업 중심지가 될 가능성이 강조됐습니다.
국내 우주항공 산업의 중심지인 경남이 가진 가능성을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분위기입니다.
{손재일/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장/(경남이) 훌륭한 산업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으니 인도라든가 캐나다, 리투아니아, 멕시코 등 많은 국가와도 산업적으로 강한 협력을 해서 서로 윈윈하는 (미래를 기대합니다).}
우주항공청과 국내 기업들을 중심으로 외국과 우주 분야의 협력을 해 나가는 것도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협력의 핵심적인 역할을 경남이 맡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루이스 마누엘 아수아 산체스/멕시코 항공우주산업협회 회장/멕시코와 한국간의 협력을 위한 큰 기회가 열렸습니다. 그런 점은 이미 자동차나 항공 산업에서 입증됐고, 이제 우주 분야에서도 역시 큰 기회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
한편 대선을 앞두고 여러 후보들 역시 우주항공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가운데, 우주항공부품연구원의 설립도 차기 정부의 과제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KNN 길재섭입니다.
영상취재 박언국
우주항공청이 경남 사천에서 개청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우주항공청 개청과 함께 상징적인 성과는 거뒀지만, 우주산업의 발전은 이제 본격적인 시작이라는 평가입니다.
서울에서 길재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우주항공청 개청 1주년.
우주항공산업의 기틀을 다져온 경남은 산업의 발전을 위한 방향과 목표를 하나씩 짚어 나가고 있습니다.
많은 투자와 함께 지역 내 연구개발도 중요한 분야입니다.
{박완수/경남도지사/R&D(연구개발) 부분이 굉장히 취약합니다. 그래서 앞으로 우주항공 분야의 R&D 기능도 산업이 있는 우리 지역 현장에 같이 갖춰질 수 있도록 중앙정부에 건의해 나갈 생각입니다.}
세계 각국의 우주 분야 전문가들 역시 본격적인 투자가 이제부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우주 산업에 대한 투자가 다양한 산업 분야에 미칠 영향 역시 중요합니다.
{전인수/미국 NASA 제트추진연구소 센터장/인류의 호기심도 충족시킬 수 있고, 미래의 진취적인 사업이기 때문에 아마 국가적인 추진을 통해서 (여러 산업에) 많은 영향을 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경남도 등이 마련한 국제 콘퍼런스에서는 경남 사천 진주 등이 프랑스의 뚤루즈와 같은 우주산업 중심지가 될 가능성이 강조됐습니다.
국내 우주항공 산업의 중심지인 경남이 가진 가능성을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분위기입니다.
{손재일/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장/(경남이) 훌륭한 산업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으니 인도라든가 캐나다, 리투아니아, 멕시코 등 많은 국가와도 산업적으로 강한 협력을 해서 서로 윈윈하는 (미래를 기대합니다).}
우주항공청과 국내 기업들을 중심으로 외국과 우주 분야의 협력을 해 나가는 것도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협력의 핵심적인 역할을 경남이 맡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루이스 마누엘 아수아 산체스/멕시코 항공우주산업협회 회장/멕시코와 한국간의 협력을 위한 큰 기회가 열렸습니다. 그런 점은 이미 자동차나 항공 산업에서 입증됐고, 이제 우주 분야에서도 역시 큰 기회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
한편 대선을 앞두고 여러 후보들 역시 우주항공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가운데, 우주항공부품연구원의 설립도 차기 정부의 과제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KNN 길재섭입니다.
영상취재 박언국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길재섭 기자
jskil@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현장연결]버스노조 '파업전야'... 시민의 발 묶이나?2025.05.27
-
김해공항 제 2출국장, 10월에만 '반짝 운영?'2025.05.27
-
제철맞은 견내량 돌미역, 고수온에 수확 '급감'2025.05.27
-
[대선 공약점검]공공기관 이전*금융중심지 발전 전략은?2025.05.27
-
철거 뒤 또 불법건축 '신세계 아웃렛 배짱 장사'2025.05.26
-
악취 막는 창문없는 돼지농장 "사고 키웠나?"2025.05.26
-
<대선 공약점검>위기의 가덕신공항 조기개항 대책은?2025.05.26
-
놀리는 땅 천지... 지자체 재산관리 방만2025.05.26
-
부산*창원 시내버스, 28일 총파업 기로2025.05.26
-
다시 뜨거워지는 NC파크 재개장 준비 분주202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