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기사모아보기

길재섭기자
 길재섭 기자
""

부산 9개 현안 정부 지원 촉구

<앵커> 부산시가 정부에 지역 현안 지원을 공식적으로 요청했습니다. 또 '글로벌 해양허브도시 부산'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계획도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길재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에 지원을 건의한 부산의 현안은 모두 아홉 가지입니다. 박형준 시장과 정동만 국민의힘 부산시당위원장은 국회에서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각 현안을 하나씩 밝혔습니다. 먼저 박형준 시장은 가덕도신공항 조속 건설과 적기 개항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조속 통과 등을 요청했습니다. {박형준/부산광역시장/정부는 정치 논리보다 국가균형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관점에서 가덕도신공항의 조기 착공을 위한 절차를 빨리 진행을 해주기를 부탁드립니다.} 정동만 국민의힘 부산시당위원장은 북극항로 선도도시 인프라 구축과 해사전문법원 부산 개원 등을 요청했습니다. {정동만/국민의힘 부산시당위원장/북극항로 진흥원을 부산에 설치해 콘트롤타워를 구축하고 친환경 복합에너지터미널 및 대형수리조선단지, 차세대 쇄빙연구선 모항 유치 등 인프라를 조성(해야 합니다).} 대정부 건의와 함께 부산시는 '글로벌 해양허브도시 부산' 의 비전과 전략을 구체화한 실행계획을 공개했습니다. 공간과 산업, 인재 혁신을 통해 북극항로를 선도하는 12개 과제를 추진하고, 세부적으로는 44개 사업을 선정했습니다. {:박근록/부산시 해양농수산국장/(부산시 추진 과제를) 국정과제인 북극항로 조성과 연계하여 부산항을 중심으로 남부권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국가균형발전에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의힘 부산시당과 부산시는 글로벌 해양허브도시 부산 세미나를 다음 달 국회에서 두 차례 더 열 계획입니다. 서울에서 KNN 길재섭입니다. 영상취재 박언국 CG 이선연
2025.11.19

내항선원 불평등 비과세 확대될까

[앵커] 연근해를 오가는 내항선 선원들의 비과세 혜택 기준이 외항선원에 비해 크게 적어 확대 요구가 나오고 있습니다. 청년 인력 고용을 위해서도 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서울에서 길재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선원들에게는 임금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외항상선 선원들은 비과세가 1969년 처음 적용된 이후 지난해 월 5백만원까지 확대됐습니다. 이에 비해 내항선원들은 승선수당 20만원에만 적용됩니다. 상선 기준, 외국인을 제외한 국내 내항선원은 7천 6백여명, 외항선원은 8천 8백여명입니다. 상대적으로 작고 낡은 선박에서 일 하는 내항선원들의 어려움은 더 큽니다. {신승민/내항선 일등항해사/(육상) 업무를 끝내고 나면 출항을 해서 항해중에 하루 8시간 근무를 하고 쉴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지는데, (내항선박에서) 휴식시간을 부여할 수 있는 시간이 적습니다. 일은 힘들고 오히려 임금은 적어지고.} 어렵기는 선사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내항선원 가운데 60세 이상 비율은 60% 수준이고, 70세 이상도 약 22%입니다. 업무 환경과 비과세 혜택 등 임금의 차이로 젊은 선원을 구하기도 어렵습니다. {이수범/내항해운업계 사업자 대표/노후 선박과 고령 선원이 간신히 버티는 바다 위에서 해상 안전은 더 이상 담보될수 없습니다. 선원이 떠난 바다는 결국 죽은 바다입니다.} 연안 해운사들의 모임인 한국해운조합은 관련 법 개정에 적극적으로 나섰습니다. 내항선이나 연근해 어업선 선원들에 대한 비과세 기준을 4백만원까지 올리는 내용의 소득세법 개정안도 국회에서 발의됐습니다. {이채익/한국해운조합 이사장/이제 늙은 바다를 젊은 바다로 만들기 위해서는 청년들이 돌아오는 내항으로 만들어야 됩니다. 실질적인 소득을 보장해야 합니다.} 연안 해운업계는 전쟁 등 비상시에는 곧바로 선박과 선원들이 동원되는만큼 국가 안보의 차원에서도 비과세 기준 확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KNN 길재섭입니다. 영상취재 김태용 오원석 박언국 CG 이선연
2025.11.15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