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조선업 분야 경남 '광역형 비자 제동', '당혹' 대책 부심
박명선
입력 : 2025.04.20 20:09
조회수 : 142
0
0
<앵커>
조선업계에 외국인 인력을 추가로 도입하려던 경남형 광역비자 제도가 보류됐습니다.
제조업 등은 통과됐는데 정작 조선이 통과하지 못하면서 경남도와 업계 모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
다시 찾아온 호황에도 조선업계는 빠져나간 숙련공들이 돌아오지 않으면서 여전히 인력난이 심각합니다.
경남도는 외국인 숙련공으로 현장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지난해 '광역 비자' 사업을 정부에 건의했습니다.
기존 비자와 별도로 지역에 필요한 외국인 인력에 대해 지자체가 비자를 신청하면 법무부가 검토해 발급합니다.
{조선업계 관계자/"인력이 계속 유지가 되어야만 제대로 된 선박을 만들어서 인도하기 때문에 인력수급이 안되니까 E-7 기술 인력들을 저희들이 (수급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남도가 신청한 올해 광역형 비자 가운데 정작 가장 시급한 조선분야는 시행 자체가 보류됐습니다.
기계*금속 등 21개 직종 130명은 반영된데반해 가장 비중이 큰 조선업 3개직종 8백명은 제동이 걸린 것입니다.
경남도와 조선업계는 당혹스러운 분위기입니다.
{황주연/경남도 경제통상국 산업인력과장/"조금 우려를 나타내고 한 번 더 그 기량 검증 방식에 대해서 좀협의를 하자 산업부와 법무부와 지방 자치 단체가 TF를 구성해서 한 번만 더 검토하고 재심의를 가져가자 이렇게 회신이 왔습니다. "}
법무부는 용접, 도장 등 외국인 숙련공의 기량을 검증할 수 있는 방안을 보완하면 재심의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이번 보류로 경남 조선분야에 광역비자가 언제 시행될지수있을지조차 불투명해지면서 조선업 현장의 인력난 해소에 빨간불이 걸렸습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조선업계에 외국인 인력을 추가로 도입하려던 경남형 광역비자 제도가 보류됐습니다.
제조업 등은 통과됐는데 정작 조선이 통과하지 못하면서 경남도와 업계 모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
다시 찾아온 호황에도 조선업계는 빠져나간 숙련공들이 돌아오지 않으면서 여전히 인력난이 심각합니다.
경남도는 외국인 숙련공으로 현장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지난해 '광역 비자' 사업을 정부에 건의했습니다.
기존 비자와 별도로 지역에 필요한 외국인 인력에 대해 지자체가 비자를 신청하면 법무부가 검토해 발급합니다.
{조선업계 관계자/"인력이 계속 유지가 되어야만 제대로 된 선박을 만들어서 인도하기 때문에 인력수급이 안되니까 E-7 기술 인력들을 저희들이 (수급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남도가 신청한 올해 광역형 비자 가운데 정작 가장 시급한 조선분야는 시행 자체가 보류됐습니다.
기계*금속 등 21개 직종 130명은 반영된데반해 가장 비중이 큰 조선업 3개직종 8백명은 제동이 걸린 것입니다.
경남도와 조선업계는 당혹스러운 분위기입니다.
{황주연/경남도 경제통상국 산업인력과장/"조금 우려를 나타내고 한 번 더 그 기량 검증 방식에 대해서 좀협의를 하자 산업부와 법무부와 지방 자치 단체가 TF를 구성해서 한 번만 더 검토하고 재심의를 가져가자 이렇게 회신이 왔습니다. "}
법무부는 용접, 도장 등 외국인 숙련공의 기량을 검증할 수 있는 방안을 보완하면 재심의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이번 보류로 경남 조선분야에 광역비자가 언제 시행될지수있을지조차 불투명해지면서 조선업 현장의 인력난 해소에 빨간불이 걸렸습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박명선 기자
pms@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외출조차 쉽지 않은 중증 발달장애인, 돌봄 공백도 여전2025.04.20
-
중*동구, 북항재개발에서 혜택은 없고 부담만 늘고2025.04.20
-
조선업 분야 경남 '광역형 비자 제동', '당혹' 대책 부심2025.04.20
-
산청 산불 한 달, 여전히 고통받는 이재민들2025.04.19
-
김해 공장 화재*통영 선박 충돌..사건 사고 잇따라2025.04.19
-
친환경 선박 수요, 지역기업 성장 기대2025.04.19
-
"산불 진화 장비 구매" 교정당국 사칭 사기 기승2025.04.19
-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공약, 이재명의 PK 승부수?2025.04.18
-
크루즈 관광객 40만 명 시대, 보안은 '구멍'2025.04.18
-
남해대교 '주탑 오르기' 관광 상품화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