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사회

<앵커리포트> 교권보호 없으면 교육의 미래도 없다

김성기 입력 : 2023.07.26 20:54
조회수 : 1465
교육당국이 붕괴된 교권을 다시 확립하기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서울 초등학교 교사의 극단적 선택 이후 교권 침해가 심각하다는 사회적 공분이 일자 대책 마련에 나선 겁니다.

부산교육청도 교육청 주도로 악성 민원 등 교권 침해에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학교장이 하는 교권침해 신고를 피해 교원도 가능하도록 하고, 교권보호위원회 개최를 의무화했습니다.

교육활동 침해 발생 즉시 법률지원단이 대응하고, 피해 교원 치유 등 원스톱 지원에도 나섭니다.

이를 위해 변호사 지원단 규모를 50명으로 늘리고, 현행 100만원인 교원 지원금을 최대 천만원까지 확대합니다.

피해 교원이 희망할 경우 긴급 전보도 지원합니다.

뒤늦게 교육당국이 대처에 나선 만큼, 실효성과 과단성 있는 추진이 필요합니다.

교육의 본질은 올바르고 상식적인 인간을 키우는 일입니다.

학부모가 선생님을 공경해야, 자녀가 선생님을 존경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입니다.

그리고 선생님을 존경해야, 그 가르침을 온전히 받아들입니다.

자녀의 성장을 방행할 생각이 아니라면, 선생님을 믿고 존경해야 합니다.

교권침해는 학생의 학습권을 해치고 공교육 질에도 악영향을 미칠수 밖에 없습니다.

교사가 무너지면 우리 교육이 무너지고 결국, 우리 아이들이 무너집니다.

교사의 인권을 보호해 줄 안전망이 필요하고, 교사 존중 문화로의 회귀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앵커리포트였습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