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부산 '경제금융 특구' 지정되어야
윤혜림
입력 : 2023.07.17 20:54
조회수 : 2874
0
0
<앵커>
부산이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지 15년이 다 되어가지만 세계 금융도시와 비교해 경쟁력은 여전히 떨어지고 있습니다.
달라진 금융 환경에 따라 법적인 보완점도 필요한데, 부산 경제금융 특구 지정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윤혜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BIFC, 부산국제금융센터는 한국거래소, 한국자산관리공사 등이 입주해 있는 부산금융중심지의 상징입니다.
하지만 외국계 기업은 단 3곳 뿐입니다.
국제금융센터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입니다.
지난 2009년 부산이 금융중심지로 지정되면서 부산국제금융센터 건립 등 외형적인 성과는 이뤘지만 금융중심지 활성화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 세계 금융센터 경쟁력 평가에서 부산은 줄곧 중하위권에 머물면서 서울에 비해서 훨씬 뒤지고 있습니다.
부산만의 독자적인 성장을 위해 기존 금융중심지 추진위원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입니다.
{김영재 부산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중앙정부,지방정부 또는 관련 기관들의 어떤 힘도 중요하지만 독자적인 종합적인 금융중심지 추진 기구가 더 중요하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무엇보다 금융 특구 제도를 도입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대 한국해양대 해사법학부 교수/"지금 부산 금융중심지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금융중심지법이 전면 개정이 돼서 금융특구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금융특구 지정과 관련한 법안은 지난 2020년 발의돼 아직 국회에 계류중입니다.
{박재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부산은 허울만이 금융단지가 되겠다.서울이 하나의 축이 있으면 부산에 이런 분야로 하나의 축을 만들어야 남부권 전체가 새로운 변화가 올 수 있겠다 싶어서 이런 법제화를 위해서"}
부산이 금융중심지로 명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관련 법안의 빠른 법제화가 시급하다다는 지적입니다.
KNN 윤혜림입니다.
부산이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지 15년이 다 되어가지만 세계 금융도시와 비교해 경쟁력은 여전히 떨어지고 있습니다.
달라진 금융 환경에 따라 법적인 보완점도 필요한데, 부산 경제금융 특구 지정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윤혜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BIFC, 부산국제금융센터는 한국거래소, 한국자산관리공사 등이 입주해 있는 부산금융중심지의 상징입니다.
하지만 외국계 기업은 단 3곳 뿐입니다.
국제금융센터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입니다.
지난 2009년 부산이 금융중심지로 지정되면서 부산국제금융센터 건립 등 외형적인 성과는 이뤘지만 금융중심지 활성화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 세계 금융센터 경쟁력 평가에서 부산은 줄곧 중하위권에 머물면서 서울에 비해서 훨씬 뒤지고 있습니다.
부산만의 독자적인 성장을 위해 기존 금융중심지 추진위원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입니다.
{김영재 부산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중앙정부,지방정부 또는 관련 기관들의 어떤 힘도 중요하지만 독자적인 종합적인 금융중심지 추진 기구가 더 중요하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무엇보다 금융 특구 제도를 도입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대 한국해양대 해사법학부 교수/"지금 부산 금융중심지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금융중심지법이 전면 개정이 돼서 금융특구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금융특구 지정과 관련한 법안은 지난 2020년 발의돼 아직 국회에 계류중입니다.
{박재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부산은 허울만이 금융단지가 되겠다.서울이 하나의 축이 있으면 부산에 이런 분야로 하나의 축을 만들어야 남부권 전체가 새로운 변화가 올 수 있겠다 싶어서 이런 법제화를 위해서"}
부산이 금융중심지로 명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관련 법안의 빠른 법제화가 시급하다다는 지적입니다.
KNN 윤혜림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윤혜림 기자
yoon@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HMM 이어 SK해운도 부산행? 실현 가능성은?2025.05.16
-
오시리아 꼼수 땅투기... 잘못 없다는 부산도시공사2025.05.16
-
고물가 시대 가성비 '리퍼브 시장' 급성장2025.05.16
-
바다에 유골 뿌리는 '해양장' 주목2025.05.16
-
산업은행 대신 '해양수산부 이전' 공약 공방2025.05.15
-
'예측불가' 호우...부산경남도 긴급재난문자 도입2025.05.15
-
스마트 굴 양식 '개체굴' 수확 본격화2025.05.15
-
신속함에 깊이를 더했다...'KNN 보도 30년'2025.05.15
-
부산경남 찾은 대선주자 '지역 맞춤 공약' 경쟁2025.05.14
-
연예인*업종 가리지 않는 무차별 피싱사기 기승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