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동해안 철도시대...관광객 유치 손놓은 부산시
최혁규
입력 : 2024.11.08 19:45
조회수 : 1856
0
0
<앵커>
당장 다음달부터 부산과 강릉을 3시간50분만에, 2년 뒤엔 2시간반만에 갈 수 있는 동해선 준고속철 노선이 개통됩니다.
기존 8시간이 걸리던 무궁화 노선에 비해선 절반 이상 크게 줄어드는데요,
때문에 동해선 지자체들은 관광객 유치에 적극적인데, 정작 부산시는 손을 놓고 있습니다.
최혁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다음달 말부터 이곳 부전역을 시작으로 강릉을 오가는 동해선 준고속철노선이 개통됩니다.
무궁화호 노선으로 8시간이 걸렸는데, 앞으로 이동시간이 대폭 단축될 예정입니다."
"준고속철인 ITX가 투입되면서 3시간 50분만에 갈 수 있고, 2천26년부터는 KTX이음으로 2시간반이면 가능해 절반 이상 크게 단축됩니다."
경상*강원권이 사실상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이는 셈인데, 벌써부터 각 지자체들은 철도관광객 유입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포항시는 열차와 숙박을 연계한 할인 이벤트를, 삼척시는 역사에 관광안내시스템을 만드는 등 관광상품 개발에 적극적입니다."
반면 동해권 대표 관광도시인 부산은 관광객 유치에 손을 놓고 있습니다.
주변 관광지를 여행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정도입니다.
{부산시 관계자/"지금 완전히 구축이 돼가지고 시행하려고 하는 정책은 안 돼 있는거 맞고. 지금 한창 구상중이고 계획중이거든요"}
전문가들은 부산시가 동해안 관광벨트 구축의 주도적인 역할을 주문하고 있습니다.
{오창호/영산대 관광컨벤션학과 교수/"대부분의 (동해안) 도시들은 해양관광 중심입니다. 하지만 우리 부산은 해양관광뿐만 아니라, 부산의 근대적인 배경과 정체성을 잘 느낄 수 있는 그런 원도심 관광까지 있기 때문에"}
수조원 예산이 투입되는 남해안 관광벨트에 이어, 동해안 관광벨트에서도 부산시가 제역할을 할 수 있을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당장 다음달부터 부산과 강릉을 3시간50분만에, 2년 뒤엔 2시간반만에 갈 수 있는 동해선 준고속철 노선이 개통됩니다.
기존 8시간이 걸리던 무궁화 노선에 비해선 절반 이상 크게 줄어드는데요,
때문에 동해선 지자체들은 관광객 유치에 적극적인데, 정작 부산시는 손을 놓고 있습니다.
최혁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다음달 말부터 이곳 부전역을 시작으로 강릉을 오가는 동해선 준고속철노선이 개통됩니다.
무궁화호 노선으로 8시간이 걸렸는데, 앞으로 이동시간이 대폭 단축될 예정입니다."
"준고속철인 ITX가 투입되면서 3시간 50분만에 갈 수 있고, 2천26년부터는 KTX이음으로 2시간반이면 가능해 절반 이상 크게 단축됩니다."
경상*강원권이 사실상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이는 셈인데, 벌써부터 각 지자체들은 철도관광객 유입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포항시는 열차와 숙박을 연계한 할인 이벤트를, 삼척시는 역사에 관광안내시스템을 만드는 등 관광상품 개발에 적극적입니다."
반면 동해권 대표 관광도시인 부산은 관광객 유치에 손을 놓고 있습니다.
주변 관광지를 여행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정도입니다.
{부산시 관계자/"지금 완전히 구축이 돼가지고 시행하려고 하는 정책은 안 돼 있는거 맞고. 지금 한창 구상중이고 계획중이거든요"}
전문가들은 부산시가 동해안 관광벨트 구축의 주도적인 역할을 주문하고 있습니다.
{오창호/영산대 관광컨벤션학과 교수/"대부분의 (동해안) 도시들은 해양관광 중심입니다. 하지만 우리 부산은 해양관광뿐만 아니라, 부산의 근대적인 배경과 정체성을 잘 느낄 수 있는 그런 원도심 관광까지 있기 때문에"}
수조원 예산이 투입되는 남해안 관광벨트에 이어, 동해안 관광벨트에서도 부산시가 제역할을 할 수 있을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최혁규 기자
chg@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미중 정상회담 열리는 김해공항, 보안 낙제점?2025.10.28
-
은폐되는 1급 발암물질... 허울뿐인 폐아스콘 재활용률2025.10.28
-
'명태균 공방'에 3년만의 경남 국감 '파행'2025.10.28
-
경남 출신 농민대통령에 등 돌리는 농심2025.10.28
-
미중회담 부산 개최, 전 세계 시선 부산으로2025.10.27
-
'특혜' 북항 D3구역... 부당이득만 8천억 원2025.10.27
-
김해공항 국제선, 수요 폭증에 사고까지 우려2025.10.27
-
복지정책 내실화 시급한데 계속 확대만...2025.10.27
-
축제의 부산..다양한 테마로 외국인 관광객에 인기2025.10.26
-
<자랑스러운 부산경남>경남의 농*수산업을 책임질 청년들2025.10.2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