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 통영 조선소 인근 진폐증 급증
박명선
입력 : 2024.06.03 21:00
조회수 : 4650
0
0
<앵커>
경남 통영의 조선소 인근 마을에서 진폐증 환자가 급증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조선소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석면이 원인인 것으로 보입니다.
박명선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마을 옆으로 7개 조선소들이 몰려있는 통영시 봉평동 일대!
집 창틀이나 차량에 들러 붙은 하얀 먼지가 아무리 닦아도 떨어지지가 않습니다.
페인트 작업에서 발생한 것입니다.
창문을 열기도 어려운 주민들은 호흡곤란 등 심각한 불편과 고통을 호소합니다.
{차대용/경남 통영 봉평동 주민/"아예 문을 열수가 없고 방안 바닥을 닦아보면 (분진이) 손에 묻어나올 정도입니다.문을 아예 닫아놓고 살아야합니다."}
주민들이 살고 있는 마을과 조선소 단지는 30미터도 채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분진 등 먼지는 물론 냄새도 심각합니다.
{김현주/피해 주민/"(조선소 때문에) 너무 악취가 나니까 페인트 냄새도 어느정도이지 너무 많이 난다고 항의했어요...."}
양산부산대병원 석면환경보전센터는 올해 마을 주민 1백 50명을 대상으로 건강영향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올해 조사에서 마을주민 12명이 폐질환인 진폐증 최종판정을 받았습니다.
진폐증은 폐 안에 석면과 같은 독성물질이 차곡차곡 쌓이면서 생기는 병입니다.
{송세진/마을 주민/진폐증 3급 환자/"(진폐증은) 약은 없고 폐가 딱딱하게 점점 굳어서 사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미 굳어서 진행이 많이 되어서 얼마나 살지 기약이 없는 것입니다"}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이 마을의 진폐증 최종 확진자는 지난해 5명에서, 1년 사이 2배가 넘는 12명으로 늘어났습니다.>
주민들은 폐질환의 원인이 인근 조선소의 수리 작업 때문이라고 주장합니다.
{김현주/피해 주민/진폐증 3급 환자/"앞전 검사에서는 진폐증 판정이 안나왔는데 다음 조사에서 판정을 받아서 너무 충격을 받았습니다. 생전에 이런일이 없었는데.."}
심각한 폐질환인 진폐증 환자가 급증한 가운데, 통영 수리조선소들의 작업은 오늘도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경남 통영의 조선소 인근 마을에서 진폐증 환자가 급증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조선소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석면이 원인인 것으로 보입니다.
박명선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마을 옆으로 7개 조선소들이 몰려있는 통영시 봉평동 일대!
집 창틀이나 차량에 들러 붙은 하얀 먼지가 아무리 닦아도 떨어지지가 않습니다.
페인트 작업에서 발생한 것입니다.
창문을 열기도 어려운 주민들은 호흡곤란 등 심각한 불편과 고통을 호소합니다.
{차대용/경남 통영 봉평동 주민/"아예 문을 열수가 없고 방안 바닥을 닦아보면 (분진이) 손에 묻어나올 정도입니다.문을 아예 닫아놓고 살아야합니다."}
주민들이 살고 있는 마을과 조선소 단지는 30미터도 채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분진 등 먼지는 물론 냄새도 심각합니다.
{김현주/피해 주민/"(조선소 때문에) 너무 악취가 나니까 페인트 냄새도 어느정도이지 너무 많이 난다고 항의했어요...."}
양산부산대병원 석면환경보전센터는 올해 마을 주민 1백 50명을 대상으로 건강영향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올해 조사에서 마을주민 12명이 폐질환인 진폐증 최종판정을 받았습니다.
진폐증은 폐 안에 석면과 같은 독성물질이 차곡차곡 쌓이면서 생기는 병입니다.
{송세진/마을 주민/진폐증 3급 환자/"(진폐증은) 약은 없고 폐가 딱딱하게 점점 굳어서 사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미 굳어서 진행이 많이 되어서 얼마나 살지 기약이 없는 것입니다"}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이 마을의 진폐증 최종 확진자는 지난해 5명에서, 1년 사이 2배가 넘는 12명으로 늘어났습니다.>
주민들은 폐질환의 원인이 인근 조선소의 수리 작업 때문이라고 주장합니다.
{김현주/피해 주민/진폐증 3급 환자/"앞전 검사에서는 진폐증 판정이 안나왔는데 다음 조사에서 판정을 받아서 너무 충격을 받았습니다. 생전에 이런일이 없었는데.."}
심각한 폐질환인 진폐증 환자가 급증한 가운데, 통영 수리조선소들의 작업은 오늘도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박명선 기자
pms@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44년만의 첫 사망사고, 40세 사직구장 괜찮을까?2025.04.01
-
[현장]폐허가 된 삶의 터전, 이재민 산불 후유증 심각2025.04.01
-
장제원 전 의원 사망 '충격', 지역정가 후폭풍2025.04.01
-
[기획]공교육 훼손 '미인가 국제학교', 손놓은 교육청2025.04.01
-
NC 떨어진 구조물에 다친 여성 끝내 숨져2025.03.31
-
"활엽수 낙엽 화근" VS "활엽수 불에 더 강해"2025.03.31
-
[기획]이름만 학교..'미인가 국제학교'의 진실은?2025.03.31
-
마리나 시설 사실상 '0', 손놓은 부산시2025.03.31
-
[경제브리핑] 금융권 스포츠 연계 마케팅 집중2025.03.31
-
부산대 의대생 600여 명 전원 복귀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