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개인형 이동장치 화재 증가...도시철도는 무방비?
최혁규
입력 : 2024.03.07 19:11
조회수 : 1872
0
0
<앵커>
지하철 등 대중교통에서 개인형 이동장치를 들고 탑승하는 모습 쉽게 보실 수 있을 겁니다.
개인형 이동장치 보급이 늘어나는 만큼, 배터리로 인한 화재 발생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시철도 안에는 배터리 화재를 진압할 장비가 없어 대형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최혁규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한 남성이 전동휠을 들고 헐레벌떡 전동차 바깥으로 뛰쳐나옵니다.
폭발로 번쩍이는 불똥과 함께 이내 승강장은 연기로 가득찹니다.
전동휠의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불이 난 겁니다.
역무원을 불러 소화기로 불을 꺼보지만 역부족입니다.
소방관이 출동해 물을 뿌려 겨우 불을 진압했습니다.
소유주의 빠른 대처로 다행히 추가 피해는 없었지만 달리는 전동차 안이었다면 더 큰 화재로 이어질 뻔한 아찔한 상황.
문제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리튬형 이온배터리입니다.
{전동현/부산소방재난본부 화재조사계 반장/"리튬배터리는 분말소화기로 가루가 침투하지 못해서 소화가 어렵고, 배터리같은 경우에는 물에 담가 불을 끄는게 현재로서는 최선의 방안입니다."}
도시철도 승강장에 갖춰진 소화기입니다.
분말 소화기라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불이 나더라도 불을 끌 수 없습니다.
전동차 안에도 분말형 소화기뿐입니다.
물로 가득찬 수조에 담가 불을 끄는게 최선이지만, 승강장에는 물을 뿌리는 소화전이 전부입니다.
현행법상 개인형 이동장치를 도시철도에 반입하더라도 제재할 방법이 없어 교통공사는 대책 마련에 고심입니다.
{이종욱/부산교통공사 안전조사처장/"국토부를 상대로 이러한 화재위험이 있는 전동휠 같은 것들을 승차 제한할 수 있도록 건의를 하고 있습니다.}
도시철도 등 다중이용시설 뿐만 아니라 대부분 건물 모두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규제는 사실상 없습니다.
최근 5간 부산에서 발생한 이동장치 배터리 화재만18건, 보급 확대에 따른 대책 마련도 시급해보입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지하철 등 대중교통에서 개인형 이동장치를 들고 탑승하는 모습 쉽게 보실 수 있을 겁니다.
개인형 이동장치 보급이 늘어나는 만큼, 배터리로 인한 화재 발생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시철도 안에는 배터리 화재를 진압할 장비가 없어 대형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최혁규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한 남성이 전동휠을 들고 헐레벌떡 전동차 바깥으로 뛰쳐나옵니다.
폭발로 번쩍이는 불똥과 함께 이내 승강장은 연기로 가득찹니다.
전동휠의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불이 난 겁니다.
역무원을 불러 소화기로 불을 꺼보지만 역부족입니다.
소방관이 출동해 물을 뿌려 겨우 불을 진압했습니다.
소유주의 빠른 대처로 다행히 추가 피해는 없었지만 달리는 전동차 안이었다면 더 큰 화재로 이어질 뻔한 아찔한 상황.
문제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리튬형 이온배터리입니다.
{전동현/부산소방재난본부 화재조사계 반장/"리튬배터리는 분말소화기로 가루가 침투하지 못해서 소화가 어렵고, 배터리같은 경우에는 물에 담가 불을 끄는게 현재로서는 최선의 방안입니다."}
도시철도 승강장에 갖춰진 소화기입니다.
분말 소화기라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불이 나더라도 불을 끌 수 없습니다.
전동차 안에도 분말형 소화기뿐입니다.
물로 가득찬 수조에 담가 불을 끄는게 최선이지만, 승강장에는 물을 뿌리는 소화전이 전부입니다.
현행법상 개인형 이동장치를 도시철도에 반입하더라도 제재할 방법이 없어 교통공사는 대책 마련에 고심입니다.
{이종욱/부산교통공사 안전조사처장/"국토부를 상대로 이러한 화재위험이 있는 전동휠 같은 것들을 승차 제한할 수 있도록 건의를 하고 있습니다.}
도시철도 등 다중이용시설 뿐만 아니라 대부분 건물 모두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규제는 사실상 없습니다.
최근 5간 부산에서 발생한 이동장치 배터리 화재만18건, 보급 확대에 따른 대책 마련도 시급해보입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최혁규 기자
chg@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PK 여야 지지율 역전, 해석도 엇갈려2025.01.13
-
저수온 피해 우려... 180만 마리 긴급 대피(리)2025.01.13
-
'의대 증원'에 수도권 쏠림 심화..부산경남 '미달' 러시2025.01.13
-
‘부산 유치 불발’ 대체거래소, 금융도시 부산 ‘흔들2025.01.12
-
설 앞두고 기름값*농산물 물가 비상2025.01.12
-
지방시대 특구 정책 어디로?2025.01.12
-
60대 만취 운전에 뺑소니, 4명 중경상2025.01.11
-
부산 이어 경남도 15분 도시 열풍2025.01.11
-
부산시, 교통카드시스템 우선협상대상 마이비 선정2025.01.11
-
지역 관광업계 1분기 전망 대체로 부정적2025.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