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고향사랑기부제 2년차...실적보니 부산이 '꼴찌'
최혁규
입력 : 2024.01.27 18:57
조회수 : 824
0
0
<앵커>
자발적인 기부를 통해 지방 재정을 늘리고, 지역간 재정 격차를 줄여가고자 지난해 고향사랑기부제가 도입됐습니다.
저희 KNN이 지난해 전국 모금 실적을 입수는데요.
경남은 선전했지만, 부산은 사실상 꼴찌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최혁규기자입니다.
<기자>
고향사랑기부제가 시행된 지 1년이 됐습니다.
KNN은 지난해 기부금 전체 통계를 입수했는데요.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경남은 62억 4천여만원입니다.
거창과 합천, 밀양의 모금액이 가장 높습니다.
전체적으로 전국 243개 지자체 평균인 2억 7천만원보다 높습니다.
그런데 부산은 사정이 다릅니다.
합계 약 12억 7천만원으로 경남의 약 1/5 수준에 불과합니다.
부산은 전국 평균을 넘기는 곳이 단 한군데도 없습니다.
대부분이 1억원도 넘기지 못합니다.
지자체별 전국 순위로 살펴봐도 초라합니다.
최하위 10위권 안에 부산 지자체가 4곳이나 포함됩니다.
부산시민들 사이에 고향사랑기부제에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순헌/부산 문현동/"만들어놓고 홍보를 안해서 잘 모르지 않을까 싶어요. 고향에 일정 금액을 기부하면 연말에 세금 공제도 (있는데), 일반 사람들은 그런 거에 대해 소식을 잘 알 수 없으니까 잘 모르는 거 같습니다."}.
세액공제 등 혜택을 강조하지만 제도 시행 2년에 접어들며 관심이 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기부금이 적다보니 활용 방안을 내놓겠다는 것도 어불성설입니다.
특히 부산 원도심의 모금액이 부족해 인구 노령화 대응은 엄두도 못낼 실정입니다.
{김영락/부산시 자치분권과장/"애향심 있는 향우회 등 출향 인물을 대상으로 홍보를 강화하고, 아울러 인근 울산 경남과 공조해 광역적인 차원에서 함께 홍보하여 제도 활성화와 기부문화 확산에 힘쓸 예정입니다."}
고향사랑기부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가운데,부산의 특색을 살리는 답례품 등 새로운 유인책이 필요합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자발적인 기부를 통해 지방 재정을 늘리고, 지역간 재정 격차를 줄여가고자 지난해 고향사랑기부제가 도입됐습니다.
저희 KNN이 지난해 전국 모금 실적을 입수는데요.
경남은 선전했지만, 부산은 사실상 꼴찌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최혁규기자입니다.
<기자>
고향사랑기부제가 시행된 지 1년이 됐습니다.
KNN은 지난해 기부금 전체 통계를 입수했는데요.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경남은 62억 4천여만원입니다.
거창과 합천, 밀양의 모금액이 가장 높습니다.
전체적으로 전국 243개 지자체 평균인 2억 7천만원보다 높습니다.
그런데 부산은 사정이 다릅니다.
합계 약 12억 7천만원으로 경남의 약 1/5 수준에 불과합니다.
부산은 전국 평균을 넘기는 곳이 단 한군데도 없습니다.
대부분이 1억원도 넘기지 못합니다.
지자체별 전국 순위로 살펴봐도 초라합니다.
최하위 10위권 안에 부산 지자체가 4곳이나 포함됩니다.
부산시민들 사이에 고향사랑기부제에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순헌/부산 문현동/"만들어놓고 홍보를 안해서 잘 모르지 않을까 싶어요. 고향에 일정 금액을 기부하면 연말에 세금 공제도 (있는데), 일반 사람들은 그런 거에 대해 소식을 잘 알 수 없으니까 잘 모르는 거 같습니다."}.
세액공제 등 혜택을 강조하지만 제도 시행 2년에 접어들며 관심이 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기부금이 적다보니 활용 방안을 내놓겠다는 것도 어불성설입니다.
특히 부산 원도심의 모금액이 부족해 인구 노령화 대응은 엄두도 못낼 실정입니다.
{김영락/부산시 자치분권과장/"애향심 있는 향우회 등 출향 인물을 대상으로 홍보를 강화하고, 아울러 인근 울산 경남과 공조해 광역적인 차원에서 함께 홍보하여 제도 활성화와 기부문화 확산에 힘쓸 예정입니다."}
고향사랑기부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가운데,부산의 특색을 살리는 답례품 등 새로운 유인책이 필요합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최혁규 기자
chg@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코앞 전통시장은 울상2025.07.16
-
해수부 부산 이전 특별법 발의2025.07.17
-
사상하단선 공동 10개..하나도 없다는 교통공사, 믿을 수 있나?2025.07.16
-
황령산 전망대*케이블카 관광콘텐츠 시동..환경단체 반대는 넘어야 할 산2025.07.16
-
내년 유네스코 세계위 부산 확정..문화관광 뜬다2025.07.16
-
퐁피두 분관 유치 찬반 재점화2025.07.15
-
학생 스마트 단말기 돈 먹는 하마 되나2025.07.15
-
'효과 톡톡' 역대급 용병 전성시대2025.07.15
-
삼계탕 2만원 시대, 소비풍속도도 변화2025.07.15
-
고급차 수리하러 갔다가 봉변...센터 대응에 분개2025.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