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 갈 필요 없어요" 지역완결형 메디컬센터 '성큼'
이민재
입력 : 2025.07.16 20:50
조회수 : 335
0
0
<앵커>
'수도권 일극체제'에서 서울은 의료분야도 블랙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부산에서만 하루평균 150명 이상의 환자가 서울에서 진료를 하고 있는데 지역에서도 큰 수술부터 진료까지 모든 과정을 해결할 수 있는 날이 머지않았다고 합니다.
이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심부전증 환자인 40대 A씨는 최근 부산에서 심장 이식수술을 받고 새 삶을 시작했습니다.
언제 멈출지 모르는 심장을 부여잡고 수년째 서울에 있는 병원을 오가다, 4년 전 병원을 부산으로 옮겨 이식수술까지 받았습니다.
{A씨/심장이식 환자/"서울에 가면 1박 2일로 검사하고, 다음날 결과듣고 오면 경비든 시간이든 많이 힘들죠. 심장은 잘못되면 그냥 죽는거잖아요. 안심이 되죠."}
서울을 오가는 돈과 시간을 아낄 수 있는 것은 물론, 급작스런 건강악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 만족합니다.
"실제로 부산에서 서울을 오가는 환자는 하루 평균 150명 이상.
집 근처에서 치료를 받고 싶지만, 지역환자의 발길을 서울로 돌리는 요인은 열악한 의료 인프라입니다."
{이혜원/부산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의료진 기술이라든지 실력적인 부분은 크게 뒤처지지 않는데, 시설적인 부분이라든지 새로운 장비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재정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게 큰 제한인 것 같습니다."}
지역민의 생애 전주기를 책임질 수 있는 지역완결형 메디컬센터가 부산에도 들어섭니다.
"부산대병원은 1978년 지어진 이 건물을 허물고, 지하 5층 지상 8층의 새 건물을 짓겠단 계획입니다.
새 메디컬센터가 지어지면 환자들은 소아부터 노인까지 굳이 수도권으로 가지 않더라도, 지역 내에서 충분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7천억 원을 들여 기존의 노후된 건물을 뜯어고치고, 노인전문질환센터*어린이통합진료센터*통합암케어센터 등을 설치합니다.
{정성운/부산대병원 병원장/"아주 응급을 요하는 질환은 먼 지역으로 치료받으러 가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까운 지역에서 지역 완결형으로 치료되는 것이 무엇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지역완결형 메디컬센터는 올해말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 2년뒤 공사를 시작해 2036년부터 가동에 들어갑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수도권 일극체제'에서 서울은 의료분야도 블랙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부산에서만 하루평균 150명 이상의 환자가 서울에서 진료를 하고 있는데 지역에서도 큰 수술부터 진료까지 모든 과정을 해결할 수 있는 날이 머지않았다고 합니다.
이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심부전증 환자인 40대 A씨는 최근 부산에서 심장 이식수술을 받고 새 삶을 시작했습니다.
언제 멈출지 모르는 심장을 부여잡고 수년째 서울에 있는 병원을 오가다, 4년 전 병원을 부산으로 옮겨 이식수술까지 받았습니다.
{A씨/심장이식 환자/"서울에 가면 1박 2일로 검사하고, 다음날 결과듣고 오면 경비든 시간이든 많이 힘들죠. 심장은 잘못되면 그냥 죽는거잖아요. 안심이 되죠."}
서울을 오가는 돈과 시간을 아낄 수 있는 것은 물론, 급작스런 건강악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 만족합니다.
"실제로 부산에서 서울을 오가는 환자는 하루 평균 150명 이상.
집 근처에서 치료를 받고 싶지만, 지역환자의 발길을 서울로 돌리는 요인은 열악한 의료 인프라입니다."
{이혜원/부산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의료진 기술이라든지 실력적인 부분은 크게 뒤처지지 않는데, 시설적인 부분이라든지 새로운 장비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재정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게 큰 제한인 것 같습니다."}
지역민의 생애 전주기를 책임질 수 있는 지역완결형 메디컬센터가 부산에도 들어섭니다.
"부산대병원은 1978년 지어진 이 건물을 허물고, 지하 5층 지상 8층의 새 건물을 짓겠단 계획입니다.
새 메디컬센터가 지어지면 환자들은 소아부터 노인까지 굳이 수도권으로 가지 않더라도, 지역 내에서 충분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7천억 원을 들여 기존의 노후된 건물을 뜯어고치고, 노인전문질환센터*어린이통합진료센터*통합암케어센터 등을 설치합니다.
{정성운/부산대병원 병원장/"아주 응급을 요하는 질환은 먼 지역으로 치료받으러 가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까운 지역에서 지역 완결형으로 치료되는 것이 무엇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지역완결형 메디컬센터는 올해말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 2년뒤 공사를 시작해 2036년부터 가동에 들어갑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민재 기자
mas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내년 유네스코 세계위 부산 확정..문화관광 뜬다2025.07.16
-
황령산 전망대*케이블카 관광콘텐츠 시동..환경단체 반대는 넘어야 할 산2025.07.16
-
퐁피두 분관 유치 찬반 재점화2025.07.15
-
학생 스마트 단말기 돈 먹는 하마 되나2025.07.15
-
'효과 톡톡' 역대급 용병 전성시대2025.07.15
-
삼계탕 2만원 시대, 소비풍속도도 변화2025.07.15
-
고급차 수리하러 갔다가 봉변...센터 대응에 분개2025.07.15
-
[현장]더 일찍 뜨거워진 바다, 양식장은 비상대기2025.07.14
-
이번엔 '대량 침수'..본격 장마에 우려 커지는 사상하단선2025.07.14
-
왜 부산에만 참변 이어지나?..또 다시 불거진 스프링클러2025.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