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상품권 환급에 늘어난 수산물 소비..전통시장 활기
황보람
입력 : 2023.09.27 18:32
조회수 : 1070
0
0
<앵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수산물 소비가 위축된 가운데,우리 수산물 소비를 위한 행사들도 열리고 있습니다.
여기에 명절 대목도 찾아오면서 전통시장은 오랜만에 활기를 되찾았습니다.
황보 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상품권 환급 행사/어제(26), 통영 서호시장} 시장 안에 긴 줄이 늘어섰습니다.
행렬에 선 이들은 순서를 기다려 상품권을 받아갑니다.
이 상품권은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정부가 환급해 주는 것입니다.
2만 5천원 이상 국내산 수산물을 사면 1만원, 5만원 이상 사면 2만원의 상품권을 돌려줍니다.
환급률로 따지면 40% 정도 싼 가격에 수산물을 사는 셈입니다.
{송덕선/시장 방문객/"가계에 아무래도 도움되죠. 많이 삽니다. 이거(환급 행사) 때문에...
[지금 몇 번째 바꾸러 오신 거에요?] 저요? 3 번, 지금 3 번째 옵니다."}
덕분에 전통시장은 오랜만에 활기가 돌고 있습니다.
일본 오염수 방류로 위축됐던 수산물 소비도 늘었습니다.
{이성민/통영 서호시장 상인회장/"오염수 방류 때문에 상인들이 말씀은 안 하더라도 걱정도 많이 하고 있었는데, 지금 상인분들이 많이 활기차게 하고 있고, 좋아하시고."}
소비촉진 행사가 인기를 끌자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궁금증도 커졌습니다.
국내산 수산물을 구입하는 경우에만 환급 혜택이 있다보니, 원산지 표시 단속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원산지를 속이거나 아예 표시하지 않는 경우를 막기 위해서 입니다.
{이영미/통영시청 수산과/"(원산지) 표시판에다 들어온 품목을 기입해주셔야 하고. 수족관에 만약에 일본산 참돔이 들어왔다 그러면 국내산이랑 다르게 칸막이 하나 쳐 주시고."}
명절을 맞은 전통시장이 잠시 활기를 되찾은 가운데, 소비자들의 믿음을 회복할 근본적인 대책도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NN 황보 람입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수산물 소비가 위축된 가운데,우리 수산물 소비를 위한 행사들도 열리고 있습니다.
여기에 명절 대목도 찾아오면서 전통시장은 오랜만에 활기를 되찾았습니다.
황보 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상품권 환급 행사/어제(26), 통영 서호시장} 시장 안에 긴 줄이 늘어섰습니다.
행렬에 선 이들은 순서를 기다려 상품권을 받아갑니다.
이 상품권은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정부가 환급해 주는 것입니다.
2만 5천원 이상 국내산 수산물을 사면 1만원, 5만원 이상 사면 2만원의 상품권을 돌려줍니다.
환급률로 따지면 40% 정도 싼 가격에 수산물을 사는 셈입니다.
{송덕선/시장 방문객/"가계에 아무래도 도움되죠. 많이 삽니다. 이거(환급 행사) 때문에...
[지금 몇 번째 바꾸러 오신 거에요?] 저요? 3 번, 지금 3 번째 옵니다."}
덕분에 전통시장은 오랜만에 활기가 돌고 있습니다.
일본 오염수 방류로 위축됐던 수산물 소비도 늘었습니다.
{이성민/통영 서호시장 상인회장/"오염수 방류 때문에 상인들이 말씀은 안 하더라도 걱정도 많이 하고 있었는데, 지금 상인분들이 많이 활기차게 하고 있고, 좋아하시고."}
소비촉진 행사가 인기를 끌자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궁금증도 커졌습니다.
국내산 수산물을 구입하는 경우에만 환급 혜택이 있다보니, 원산지 표시 단속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원산지를 속이거나 아예 표시하지 않는 경우를 막기 위해서 입니다.
{이영미/통영시청 수산과/"(원산지) 표시판에다 들어온 품목을 기입해주셔야 하고. 수족관에 만약에 일본산 참돔이 들어왔다 그러면 국내산이랑 다르게 칸막이 하나 쳐 주시고."}
명절을 맞은 전통시장이 잠시 활기를 되찾은 가운데, 소비자들의 믿음을 회복할 근본적인 대책도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NN 황보 람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황보람 기자
lhwangb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연일 폭염에 해충까지...타들어가는 농심2025.07.12
-
국토부, 신공항 새 매립방안 검토2025.07.12
-
부산경남 화재 잇따라 1명 사망2025.07.12
-
부산경남 온열질환자 2백명 넘어서2025.07.12
-
해수부 부산청사 결정..기대와 전망2025.07.11
-
폐업 검토 거제씨월드, 제2의 삼정더파크 되나2025.07.11
-
[현장]장구벌레 우글우글 하수관...방역작업 구슬땀2025.07.11
-
가덕신공항 설계비 600억원, 현대건설 '나몰라라'에 지역업체 피해2025.07.11
-
13년만의 3위 롯데, 반등 노리는 NC2025.07.11
-
[현장]폭염*짧은 장마에 낙동강 녹조 비상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