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모국 처음 찾은 입양동포들..부산에서 추억 쌓기
김민성
입력 : 2025.11.14 06:15
조회수 : 195
0
0
[앵커]
우리나라에서 태어났지만 어릴 적 해외로 입양된 뒤 지금껏 고국 땅을 밟지못했던 이들이 있습니다.
해마다 이런 한인입양동포들을 정부가 초청하는 대회가 열리는데요.
이 대회가 올해 처음으로 부산에서도 열렸습니다.
김민성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기자]
탈곡기에서 벼 이삭이 쏟아져 나옵니다.
처음 해보는 체험이라 서툴지만 표정만은 밝습니다.
떡 방아를 번갈아 내리치며 한국 전통문화를 체험해보기도 합니다.
이들은 모두 해외에서 온 입양동포들입니다.
재외동포청이 여는 3번째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를 맞아 10개 나라에서 입양동포 70명이 한국을 찾았습니다.
{수잔 부어맨/네덜란드/"제가 태어난 곳이 부산이라 부산을 정말 와 보고 싶었어요. 그러나 기억이 많지 않아서 돌아와서 부산을 직접 보는 건 제게 정말 특별해요."}
생전 처음 찾은 해운대 바다에서는 단순히 바다 관광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달리면서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을 하며 의미있는 시간을 갖습니다.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는 올해 처음으로 부산에서도 열렸습니다.
해외로 입양된 뒤 한국에 처음 온 동포들은 대회 기간의 절반 가까이를 부산에서 보내며 주요 명소를 찾았습니다."
최근 부산 관광이 해외에서 인기를 끄는 만큼, 부산 방문 일정은 뜨거운 반응을 일으켰습니다.
{카푸신 로떼/프랑스/"해운대에 와서 바다를 보니 좋아요. 부모를 만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아요."}
1953년부터 지난해까지 우리나라에서 해외로 입양된 아동의 수는 약 17만 명. 국내 입양 건수의 2배를 넘습니다.
{이현준/재외동포청 차세대동포과 서기관/"전 세계 입양동포가 17만 명이 계시고 있습니다. 근데 대부분이 한국에 한 번도 오시지 못하고 그리고 부모를 찾고자 하는 기회조차 찾지 못하는 분들이 많이 계시고..."}
이번 대회의 폐회식도 부산에서 열리며 유종의 미를 장식할 예정입니다.
KNN김민성입니다.
영상취재 권용국
우리나라에서 태어났지만 어릴 적 해외로 입양된 뒤 지금껏 고국 땅을 밟지못했던 이들이 있습니다.
해마다 이런 한인입양동포들을 정부가 초청하는 대회가 열리는데요.
이 대회가 올해 처음으로 부산에서도 열렸습니다.
김민성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기자]
탈곡기에서 벼 이삭이 쏟아져 나옵니다.
처음 해보는 체험이라 서툴지만 표정만은 밝습니다.
떡 방아를 번갈아 내리치며 한국 전통문화를 체험해보기도 합니다.
이들은 모두 해외에서 온 입양동포들입니다.
재외동포청이 여는 3번째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를 맞아 10개 나라에서 입양동포 70명이 한국을 찾았습니다.
{수잔 부어맨/네덜란드/"제가 태어난 곳이 부산이라 부산을 정말 와 보고 싶었어요. 그러나 기억이 많지 않아서 돌아와서 부산을 직접 보는 건 제게 정말 특별해요."}
생전 처음 찾은 해운대 바다에서는 단순히 바다 관광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달리면서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을 하며 의미있는 시간을 갖습니다.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는 올해 처음으로 부산에서도 열렸습니다.
해외로 입양된 뒤 한국에 처음 온 동포들은 대회 기간의 절반 가까이를 부산에서 보내며 주요 명소를 찾았습니다."
최근 부산 관광이 해외에서 인기를 끄는 만큼, 부산 방문 일정은 뜨거운 반응을 일으켰습니다.
{카푸신 로떼/프랑스/"해운대에 와서 바다를 보니 좋아요. 부모를 만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아요."}
1953년부터 지난해까지 우리나라에서 해외로 입양된 아동의 수는 약 17만 명. 국내 입양 건수의 2배를 넘습니다.
{이현준/재외동포청 차세대동포과 서기관/"전 세계 입양동포가 17만 명이 계시고 있습니다. 근데 대부분이 한국에 한 번도 오시지 못하고 그리고 부모를 찾고자 하는 기회조차 찾지 못하는 분들이 많이 계시고..."}
이번 대회의 폐회식도 부산에서 열리며 유종의 미를 장식할 예정입니다.
KNN김민성입니다.
영상취재 권용국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민성 기자
30min@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남해 농어촌기본소득사업 예산 블랙홀 되나2025.11.13
-
사상~하단선 땅꺼짐.."시공*감독 총체부실이 원인"2025.11.13
-
부산 자율주행버스, 심야 도심 운행 확대2025.11.13
-
모국 처음 찾은 입양동포들..부산에서 추억 쌓기2025.11.14
-
'콜록콜록' 환자 폭증... 두달 빠른 독감 '우려'2025.11.12
-
"보증금 1억 내면 VVIP 회원권"... 골프장 사기 40억 피해2025.11.12
-
이우환 선생 부산 방문 앞두고 '이우환 공간' 재조명2025.11.12
-
회장에 조합장까지 비위 의혹...'농협 왜이러나?'2025.11.12
-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K-등산 성지 기대2025.11.11
-
<현장>국립공원 됐는데... 금정산 곳곳 불법영업에 쓰레기 천지2025.11.11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