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부산시정]-부양울 광역철도*노후도시 정비계획
김건형
입력 : 2025.07.15 07:49
조회수 : 241
0
0
<앵커>
지난 한 주간 부산시청 안팎의 주요 소식들을 정리해보는 부산시정 순서입니다.
오늘도 김건형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지난주엔 반가운 소식이 여럿 있었는데 먼저 동남권을 하나로 묶는 핵심 광역교통망 구축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소식부터 짚어볼까요?
<기자>
네, 부산과 양산 그리고 울산을 잇는 광역철도 건설사업이 첫 발을 내딛게 됐습니다.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건데요.
부양울 광역철도 사업은 동남권을 잇는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 철도망입니다.
부산에서 양산 웅상을 거쳐 울산까지를 45분 만에 잇습니다.
부울경이 1시간 생활권이 되는거죠.
전체 구간은 부산 1호선 노포역에서 KTX울산역까지 47km 정도 됩니다.
11개 정거장이 신설되는데 운행 차량은 현재 도시철도 4호선과 비슷한 형태의 경전철 차량이 투입됩니다.
지난 2021년 7월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포함된 뒤 4년 만에 첫 관문을 넘은 건데,
그간 우여곡절이 많았습니다.
지난 23년 6월부터 예비타당성 조사가 실시됐습니다만,
검토 지연 등으로 결과 발표가 여러번 연기된 끝에,
통상의 경우보다 1년이 더 걸려 2년 만에 결과가 나왔습니다.
경제성 부족 등이 발목을 잡았는데 결국 정책 타당성과 균형발전 등을 고려한 종합평가에서 점수를 만회해 최종 통과됐다는 후문입니다.
올해 안에 국토교통부가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 용역에 착수할 것으로 보이고 그 과정에서 정확한 노선과 역사 위치 등도 결정됩니다.
<앵커>
물론 지금도 승용차나 버스로 1시간 안에 이동이 가능하지만 광역철도가 생긴다는건 지역간 교류에 정말 큰 변화를 가져온다고 봐야겠죠?
<기자>
물론입니다.
수도권이 세계 5~6위권의 메갈로폴리스로 형성되는데 핵심 역할을 한 것이 광역철도라 볼 수 있습니다.
뿌리가 하나인 부울경은 생활,산업,문화 등 다방면에서 사실상의 공동생활권을 갖추고도 이를 뒷받침할 교통체계가 부족하다보니,
지역소멸의 파고에 공동대응을 못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그만큼 부울경 광역교통망은 지역을 잇는 단순한 교통 인프라를 넘어 초광역경제권 구축을 견인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여기에다 부산 내부 도시발전 전략에서도 큰 역할이 기대되는데요.
먼저 양산과 울산의 접점이면서도 그간 개발이 지체된 노포역 일원이 새로운 거점으로 성장할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무엇보다 인구 8만명의 정관신도시에도 도시철도가 연결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됩니다.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도시철도 정관선은 바로 이 부양울 광역철도의 지선 형태로 사업이 추진되기 때문입니다.
<앵커>
말씀하신대로 예타 통과는 첫 관문인만큼 실제 첫 삽을 뜨고 완공이 될 때까지 부울경 세 지방정부가 긴밀한 협력을 이어나가야 겠습니다.
다음은 부산의 노후계획도시 재정비 계획 소식 얘기 나눠보죠.
부산시가 기본계획안을 발표했더군요.
<기자>
네, 부산에는 준공된 지 30년 전후가 된 대단위 택지개발지구들이 여럿 있습니다.
과거 해운대신도시로 불린 해운대 그린시티와 화명,금곡지구 등이 대표적인데요.
지은지 30년이 다된 아파트들이 늘어나다보니 수년전 부터 자연스레 주민들 사이에선 재건축 논의가 커졌습니다.
특히 해운대 그린시티 주민들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하지만 20층 안팎의 아파트들은 재건축을 하더라도 늘릴 수 있는 세대수가 얼마되지 않습니다.
주민들의 분담금이 워낙 크다보니 재건축은 엄두를 내지 못한채,
대신 4~5년전 리모델링 사업에 기대를 걸고 몇몇 단지가 시동을 걸기도 했는데요,
하지만 이 역시 사업성 부족으로 현재는 겨우 단 한 곳만 사업추진이 이어지고 있을 뿐입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정부가 노후계획도시 정비특별법을 마련하면서 새로운 분기점이 생겼습니다.
분당,일산과 같은 수도권 노후계획도시들도 비슷한 처지다보니 기존 재건축 사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제도를 정비한 건데,
전국 특광역시 가운데에선 처음으로 부산시가 국토교통부와의 협의 등을 통해 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해 지난주 발표했습니다.
<앵커>
이번 기본계획안을 보면 주거의 질을 개선하고 도시공간구조를 변화시키겠다는 비전 등이 담겼던데 정확히 핵심은 무엇인가요?
<기자>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부산시 입장에선 새로운 도시 청사진이 중요할테지만,
결국 주민들 입장에서 가장 궁금한 점은 이젠 재건축 사업이 가능하단 말인지?
가능하다면 어떤 방식으로, 어느 정도를 분담해야 되냐하는 부분일텐데요.
이번 정비계획안의 핵심은 개별단지가 아닌 적게는 2개에서 많게는 5개까지 단지를 묶는 통합 재건축 방식을 제시했다는 점니다.
그렇게 한다면 기존 도시정비법에 따른 재건축 방식보다 용적률을 한층 완화시켜서 사업성을 높여준다는 거죠.
그린시티 용적률은 종전 250%에서 360%로, 화명·금곡지구는 235%에서 350%로 높이는 방안을 부산시가 내놓았습니다.
그러면서 올해 안에 전체 정비 예정 물량의 10%를 선도지구로 선정하기로 했습니다.
서로 다른 단지 주민들 사이에 함께 재건축을 하자는 동의를 이끌어낸다는게 만만찮은 일인데,
일종의 당근책을 통해 경쟁을 촉진해 사업추진에 불씨를 당겨보겠다는 복안으로 읽힙니다.
지난주 그린시티에서 열린 주민설명회를 가봤는데 일단 주민들의 관심과 열기는 상당했습니다.
<앵커>
먼저 사업이 진행된 수도권의 경우도 지역마다 온도차가 상당하다고 하던데,
부산의 경우 부동산 경기까지 크게 위축된 상태라 정비 사업이 속도를 낼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겠군요.
오늘 순서는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김건형 기자와 함께 했습니다.
지난 한 주간 부산시청 안팎의 주요 소식들을 정리해보는 부산시정 순서입니다.
오늘도 김건형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지난주엔 반가운 소식이 여럿 있었는데 먼저 동남권을 하나로 묶는 핵심 광역교통망 구축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소식부터 짚어볼까요?
<기자>
네, 부산과 양산 그리고 울산을 잇는 광역철도 건설사업이 첫 발을 내딛게 됐습니다.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건데요.
부양울 광역철도 사업은 동남권을 잇는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 철도망입니다.
부산에서 양산 웅상을 거쳐 울산까지를 45분 만에 잇습니다.
부울경이 1시간 생활권이 되는거죠.
전체 구간은 부산 1호선 노포역에서 KTX울산역까지 47km 정도 됩니다.
11개 정거장이 신설되는데 운행 차량은 현재 도시철도 4호선과 비슷한 형태의 경전철 차량이 투입됩니다.
지난 2021년 7월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포함된 뒤 4년 만에 첫 관문을 넘은 건데,
그간 우여곡절이 많았습니다.
지난 23년 6월부터 예비타당성 조사가 실시됐습니다만,
검토 지연 등으로 결과 발표가 여러번 연기된 끝에,
통상의 경우보다 1년이 더 걸려 2년 만에 결과가 나왔습니다.
경제성 부족 등이 발목을 잡았는데 결국 정책 타당성과 균형발전 등을 고려한 종합평가에서 점수를 만회해 최종 통과됐다는 후문입니다.
올해 안에 국토교통부가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 용역에 착수할 것으로 보이고 그 과정에서 정확한 노선과 역사 위치 등도 결정됩니다.
<앵커>
물론 지금도 승용차나 버스로 1시간 안에 이동이 가능하지만 광역철도가 생긴다는건 지역간 교류에 정말 큰 변화를 가져온다고 봐야겠죠?
<기자>
물론입니다.
수도권이 세계 5~6위권의 메갈로폴리스로 형성되는데 핵심 역할을 한 것이 광역철도라 볼 수 있습니다.
뿌리가 하나인 부울경은 생활,산업,문화 등 다방면에서 사실상의 공동생활권을 갖추고도 이를 뒷받침할 교통체계가 부족하다보니,
지역소멸의 파고에 공동대응을 못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그만큼 부울경 광역교통망은 지역을 잇는 단순한 교통 인프라를 넘어 초광역경제권 구축을 견인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여기에다 부산 내부 도시발전 전략에서도 큰 역할이 기대되는데요.
먼저 양산과 울산의 접점이면서도 그간 개발이 지체된 노포역 일원이 새로운 거점으로 성장할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무엇보다 인구 8만명의 정관신도시에도 도시철도가 연결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됩니다.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도시철도 정관선은 바로 이 부양울 광역철도의 지선 형태로 사업이 추진되기 때문입니다.
<앵커>
말씀하신대로 예타 통과는 첫 관문인만큼 실제 첫 삽을 뜨고 완공이 될 때까지 부울경 세 지방정부가 긴밀한 협력을 이어나가야 겠습니다.
다음은 부산의 노후계획도시 재정비 계획 소식 얘기 나눠보죠.
부산시가 기본계획안을 발표했더군요.
<기자>
네, 부산에는 준공된 지 30년 전후가 된 대단위 택지개발지구들이 여럿 있습니다.
과거 해운대신도시로 불린 해운대 그린시티와 화명,금곡지구 등이 대표적인데요.
지은지 30년이 다된 아파트들이 늘어나다보니 수년전 부터 자연스레 주민들 사이에선 재건축 논의가 커졌습니다.
특히 해운대 그린시티 주민들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하지만 20층 안팎의 아파트들은 재건축을 하더라도 늘릴 수 있는 세대수가 얼마되지 않습니다.
주민들의 분담금이 워낙 크다보니 재건축은 엄두를 내지 못한채,
대신 4~5년전 리모델링 사업에 기대를 걸고 몇몇 단지가 시동을 걸기도 했는데요,
하지만 이 역시 사업성 부족으로 현재는 겨우 단 한 곳만 사업추진이 이어지고 있을 뿐입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정부가 노후계획도시 정비특별법을 마련하면서 새로운 분기점이 생겼습니다.
분당,일산과 같은 수도권 노후계획도시들도 비슷한 처지다보니 기존 재건축 사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제도를 정비한 건데,
전국 특광역시 가운데에선 처음으로 부산시가 국토교통부와의 협의 등을 통해 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해 지난주 발표했습니다.
<앵커>
이번 기본계획안을 보면 주거의 질을 개선하고 도시공간구조를 변화시키겠다는 비전 등이 담겼던데 정확히 핵심은 무엇인가요?
<기자>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부산시 입장에선 새로운 도시 청사진이 중요할테지만,
결국 주민들 입장에서 가장 궁금한 점은 이젠 재건축 사업이 가능하단 말인지?
가능하다면 어떤 방식으로, 어느 정도를 분담해야 되냐하는 부분일텐데요.
이번 정비계획안의 핵심은 개별단지가 아닌 적게는 2개에서 많게는 5개까지 단지를 묶는 통합 재건축 방식을 제시했다는 점니다.
그렇게 한다면 기존 도시정비법에 따른 재건축 방식보다 용적률을 한층 완화시켜서 사업성을 높여준다는 거죠.
그린시티 용적률은 종전 250%에서 360%로, 화명·금곡지구는 235%에서 350%로 높이는 방안을 부산시가 내놓았습니다.
그러면서 올해 안에 전체 정비 예정 물량의 10%를 선도지구로 선정하기로 했습니다.
서로 다른 단지 주민들 사이에 함께 재건축을 하자는 동의를 이끌어낸다는게 만만찮은 일인데,
일종의 당근책을 통해 경쟁을 촉진해 사업추진에 불씨를 당겨보겠다는 복안으로 읽힙니다.
지난주 그린시티에서 열린 주민설명회를 가봤는데 일단 주민들의 관심과 열기는 상당했습니다.
<앵커>
먼저 사업이 진행된 수도권의 경우도 지역마다 온도차가 상당하다고 하던데,
부산의 경우 부동산 경기까지 크게 위축된 상태라 정비 사업이 속도를 낼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겠군요.
오늘 순서는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김건형 기자와 함께 했습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건형 기자
kg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현장]더 일찍 뜨거워진 바다, 양식장은 비상대기2025.07.14
-
이번엔 '대량 침수'..본격 장마에 우려 커지는 사상하단선2025.07.14
-
왜 부산에만 참변 이어지나?..또 다시 불거진 스프링클러2025.07.14
-
K-방산 전천후 타격 능력 입증, 개발 착착2025.07.14
-
부산,경남 200mm 집중호우..130여건 피해 접수2025.07.14
-
연일 폭염에 해충까지...타들어가는 농심2025.07.12
-
폐업 검토 거제씨월드, 제2의 삼정더파크 되나2025.07.11
-
[현장]장구벌레 우글우글 하수관...방역작업 구슬땀2025.07.11
-
새끼 향고래 부산 연안에..먼바다 유도 시도2025.07.13
-
창해개발 영도 AI데이터센터 GPU 5만장 확보2025.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