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화재 위험 더 높은 '완속 충전기가 90%
최혁규
입력 : 2024.08.06 20:42
조회수 : 7413
0
0
<앵커>
인천의 한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폭발 이후 전기차 화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요.
전기차 화재는 전기적 요인이 큰데, 부산경남을 살펴봤더니 과충전의 우려가 큰 완속 충전기 비중이 전체 90%에 달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최혁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전기차에서 하얀 연기가 뿜어져 나옵니다.
곧이어 폭발과 함께 차가 불길에 휩싸입니다.
사고 뒤 주변 차량은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녹아내렸습니다.
전기차 화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충전기로 인한 화재도 크게 우려됩니다.
전기차 충전기는 충전방식에 따라 급속충전이 가능한 직류방식과 완속충전이 가능한 교류방식, 두 종류로 나뉩니다.
"해당 충전기는 전기차 완속충전기입니다.
완속 충전기는 대부분 100%까지 충전이 되더라도, 사용자가 충전을 멈추지 않으면 계속해서 충전되는
방식이라 화재위험성이 높습니다."
{김만규/부산경상대 소방안전계열 교수/"이거(교류)는 천천히 충전되다 보니까, 그 안에 밧데리를 충전하려고 하면 충전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계속 과열될 수도 있고 충전하는 과정에서 교류를 이동시키니까 (화재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죠."}
반면 급속 충전기는 대부분 충전이 80%까지 이뤄지면 자동으로 충전을 멈추는 시스템이 적용됩니다.
최근 5년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가운데 23%가 배터리 과충전 등 '전기적 요인'으로 발생했습니다.
문제는 부산경남 전기차 충전기 4만여대 가운데 90%가 완속 충전기라는 점입니다.
전국에 이미 보급된 완속충전기만 32만대!
정부는 늦었지만 올해부터 기존 완속충전기에 과충전 방지 기능을 추가하면 40만원 보조금을 지급에 나서고 있습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인천의 한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폭발 이후 전기차 화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요.
전기차 화재는 전기적 요인이 큰데, 부산경남을 살펴봤더니 과충전의 우려가 큰 완속 충전기 비중이 전체 90%에 달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최혁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전기차에서 하얀 연기가 뿜어져 나옵니다.
곧이어 폭발과 함께 차가 불길에 휩싸입니다.
사고 뒤 주변 차량은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녹아내렸습니다.
전기차 화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충전기로 인한 화재도 크게 우려됩니다.
전기차 충전기는 충전방식에 따라 급속충전이 가능한 직류방식과 완속충전이 가능한 교류방식, 두 종류로 나뉩니다.
"해당 충전기는 전기차 완속충전기입니다.
완속 충전기는 대부분 100%까지 충전이 되더라도, 사용자가 충전을 멈추지 않으면 계속해서 충전되는
방식이라 화재위험성이 높습니다."
{김만규/부산경상대 소방안전계열 교수/"이거(교류)는 천천히 충전되다 보니까, 그 안에 밧데리를 충전하려고 하면 충전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계속 과열될 수도 있고 충전하는 과정에서 교류를 이동시키니까 (화재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죠."}
반면 급속 충전기는 대부분 충전이 80%까지 이뤄지면 자동으로 충전을 멈추는 시스템이 적용됩니다.
최근 5년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가운데 23%가 배터리 과충전 등 '전기적 요인'으로 발생했습니다.
문제는 부산경남 전기차 충전기 4만여대 가운데 90%가 완속 충전기라는 점입니다.
전국에 이미 보급된 완속충전기만 32만대!
정부는 늦었지만 올해부터 기존 완속충전기에 과충전 방지 기능을 추가하면 40만원 보조금을 지급에 나서고 있습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최혁규 기자
chg@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단독]학교에서 성추행 도주, 5개월째 못잡는 경찰2025.04.29
-
[단독]'유령 법률사무소' 홈페이지 올려 상담료 사기2025.04.29
-
"추가 1조 원에 시간도 2년 더 달라고?"2025.04.29
-
정권교체기 공공기관 사장 인선 '알박기' 논란2025.04.29
-
SKT 유심 '해킹 포비아' 현장은 대혼란2025.04.28
-
가덕도신공항 2029년 조기 개항 차질?2025.04.28
-
부산 도시철도 '위챗페이' 도입으로 관광 활성화2025.04.28
-
거제*남해 민생지원금, 줘도 문제 안줘도 문제2025.04.28
-
안철수 후보 부산에서 지지 호소2025.04.27
-
경남모금회 산불피해 성금 55억 원 넘어서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