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K-관광 경남 한달살기 열풍, 체류형 관광객 급증
박명선
입력 : 2024.05.14 19:51
조회수 : 823
0
0
<앵커>
한곳에 머물면서 스스로를 돌아보는 '한달 여행하기'를 떠나시는 분들 요즘 늘어나고 있습니다.
최근 한달살기 여행지로 경남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외국인 체류형 관광객들도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경남 김해의 수로왕릉,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관광객들이 북적입니다.
인도네시아에서 온 아프리씨는 평소 K-드라마와 예능 등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아프리씨는 경남 김해에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접하며 다양한 매력을 즐깁니다.
{아프리/인도네시아 국적 관광객/"바쁘고 복잡한 대도시를 벗어나서 경남 김해를 선택한 이유는 한적하고 느긋한 도시를 슬로건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힐링을 위해서 김해를 여행지로 선택했습니다."}
짧은 일정 대신 한 곳에서 천천히 쉬어가는 여행 트렌드가 유행하면서 체류형 장기 여행객들은 최근 늘어나고 있습니다.
K-드라마 겨울연가 촬영지로 유명한 경남 거제를 한 달 살기로 찾아온 외국인도 있습니다.
{루 웬/중국 관광객/"한국 드라마를 많이 시청했는데 특히 겨울연가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촬영지가 경남 거제라서 한번 와보고 싶었습니다."}
특히 경남은 한 달 살기 여행의 최적지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수려한 산과 바다는 물론 많은 역사적인 장소들과 고즈넉한 장소들이 외국인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올해 김해 방문의 해를 맞은 김해시는 물론 각 시군들은 각자의 특색으로 관광객들을 끌고 있습니다.
경남도가 경남 한 달 살기 프로그램을 해외 30여개국 한국문화원으로 알린뒤 올해 현재까지 7개국에서 94명이 신청했는데, 지난해보다 크게 늘어난 수치입니다.
{최상현/경남도 관광정책과/"경남 한달 여행하기 프로그램에 외국인들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올해부터 해외 문화원을 상대로 적극 홍보를 했습니다. 앞으로도 추경 예산을 확보해서 하반기에도 외국인들이 많이 참여할수 있도록..."}
체류형 관광객들이 계속 늘어나는 가운데, 관광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을 다양한 상품 개발도 지속적으로 필요해 보입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한곳에 머물면서 스스로를 돌아보는 '한달 여행하기'를 떠나시는 분들 요즘 늘어나고 있습니다.
최근 한달살기 여행지로 경남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외국인 체류형 관광객들도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경남 김해의 수로왕릉,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관광객들이 북적입니다.
인도네시아에서 온 아프리씨는 평소 K-드라마와 예능 등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아프리씨는 경남 김해에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접하며 다양한 매력을 즐깁니다.
{아프리/인도네시아 국적 관광객/"바쁘고 복잡한 대도시를 벗어나서 경남 김해를 선택한 이유는 한적하고 느긋한 도시를 슬로건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힐링을 위해서 김해를 여행지로 선택했습니다."}
짧은 일정 대신 한 곳에서 천천히 쉬어가는 여행 트렌드가 유행하면서 체류형 장기 여행객들은 최근 늘어나고 있습니다.
K-드라마 겨울연가 촬영지로 유명한 경남 거제를 한 달 살기로 찾아온 외국인도 있습니다.
{루 웬/중국 관광객/"한국 드라마를 많이 시청했는데 특히 겨울연가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촬영지가 경남 거제라서 한번 와보고 싶었습니다."}
특히 경남은 한 달 살기 여행의 최적지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수려한 산과 바다는 물론 많은 역사적인 장소들과 고즈넉한 장소들이 외국인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올해 김해 방문의 해를 맞은 김해시는 물론 각 시군들은 각자의 특색으로 관광객들을 끌고 있습니다.
경남도가 경남 한 달 살기 프로그램을 해외 30여개국 한국문화원으로 알린뒤 올해 현재까지 7개국에서 94명이 신청했는데, 지난해보다 크게 늘어난 수치입니다.
{최상현/경남도 관광정책과/"경남 한달 여행하기 프로그램에 외국인들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올해부터 해외 문화원을 상대로 적극 홍보를 했습니다. 앞으로도 추경 예산을 확보해서 하반기에도 외국인들이 많이 참여할수 있도록..."}
체류형 관광객들이 계속 늘어나는 가운데, 관광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을 다양한 상품 개발도 지속적으로 필요해 보입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박명선 기자
pms@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필라테스 또 먹튀... '먹튀 방지법' 아직 계류2025.02.04
-
'눈속임 수수료', 교통카드 선정 가처분 신청2025.02.04
-
오시리아 문화예술타운 소송, 첫 삽은 언제쯤?2025.02.04
-
치솟는 난방비에 생산과 소비 하락 '삼중고'2025.02.04
-
부산항 발견 코카인 100㎏, 중남미 마약 조직원 검거2025.02.03
-
화재 여객기 합동감식 시작, 보조배터리 안전 강화2025.02.03
-
낙동강 주민 절반 콧속에서 '녹조 독소' 검출2025.02.03
-
美 관세폭탄 현실화... 지역 수출기업 파장은?2025.02.03
-
삼호가든 재개발 내부 갈등2025.01.24
-
멸치 액젓도 명품시대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