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천년의 구들, '칠불사 아자방' 첫 공개
이태훈
입력 : 2024.02.07 20:58
조회수 : 1651
0
0
<앵커>
한 번 불을 지피면 그 온기가 100일이나 간다는 온돌, 하동 칠불사 아자방이 최근 발굴 조사를 마무리하고 일반에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발굴 조사 과정에서 온기가 오래갈 수 밖에 없는 과학적 근거도 밝혀졌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눈이 내린 지리산 남쪽 산기슭에 자리잡은 하동 칠불사, 경내 한켠엔 아자방이라 불리는 온돌방이 있습니다.
신라시대 구들도사인 담공선사가 처음 만든 것으로, 한자로 버금 아자 형태를 띈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한번 불을 지피면 그 열기가 100일이나 지속된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아자방은 지난 8년동안 발굴조사와 복원공사 등을 마치고 일반에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남영아/하동 화개면/"눈으로 보다 보니까 훨씬 더 감회가 새롭고 사람들이 몰랐던 부분들이기 때문에 알게 되어서 참 좋은 기회인 것 같습니다."}
아자방은 복층 형태로 만들어졌습니다.
스님들이 오랜시간 수행한 뒤,몸만 돌리면 다리를 풀 수 있는 구조입니다.
서산대사 등 고승들이 수행을 한 곳으로도 알려져있습니다.
전통 온돌 문화와 불교의 참선 수행이 결합된 독특한 문화유산으로, 최근 국가민속문화재 지정됐습니다.
{홍법/칠불사 총무 스님/"불 한번 떼놓고 오롯이 정진에만 몰두할 수 있는 그런 구조가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불을 다루는 우리 선조들의 기술이 아주 뛰어났다고 봅니다."}
발굴조사 결과, 아자방 구들에서는 고려시대 흔적들이 발견됐고 온기가 오래갈 수 밖에 없는 과학적 근거도 밝혀졌습니다.
{김준봉/국제온돌학회 상임회장/"아궁이 쪽 굴이 거의 2m 이상 돼있고 아랫 부분에 2층 내지 3층 형태로 돼있어서 열을 다 품을 수 있게 돼있고..."}
칠불사는 오는 5월 15일 부처님오신날까지 아자방을 일반에 공개할 예정입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한 번 불을 지피면 그 온기가 100일이나 간다는 온돌, 하동 칠불사 아자방이 최근 발굴 조사를 마무리하고 일반에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발굴 조사 과정에서 온기가 오래갈 수 밖에 없는 과학적 근거도 밝혀졌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눈이 내린 지리산 남쪽 산기슭에 자리잡은 하동 칠불사, 경내 한켠엔 아자방이라 불리는 온돌방이 있습니다.
신라시대 구들도사인 담공선사가 처음 만든 것으로, 한자로 버금 아자 형태를 띈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한번 불을 지피면 그 열기가 100일이나 지속된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아자방은 지난 8년동안 발굴조사와 복원공사 등을 마치고 일반에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남영아/하동 화개면/"눈으로 보다 보니까 훨씬 더 감회가 새롭고 사람들이 몰랐던 부분들이기 때문에 알게 되어서 참 좋은 기회인 것 같습니다."}
아자방은 복층 형태로 만들어졌습니다.
스님들이 오랜시간 수행한 뒤,몸만 돌리면 다리를 풀 수 있는 구조입니다.
서산대사 등 고승들이 수행을 한 곳으로도 알려져있습니다.
전통 온돌 문화와 불교의 참선 수행이 결합된 독특한 문화유산으로, 최근 국가민속문화재 지정됐습니다.
{홍법/칠불사 총무 스님/"불 한번 떼놓고 오롯이 정진에만 몰두할 수 있는 그런 구조가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불을 다루는 우리 선조들의 기술이 아주 뛰어났다고 봅니다."}
발굴조사 결과, 아자방 구들에서는 고려시대 흔적들이 발견됐고 온기가 오래갈 수 밖에 없는 과학적 근거도 밝혀졌습니다.
{김준봉/국제온돌학회 상임회장/"아궁이 쪽 굴이 거의 2m 이상 돼있고 아랫 부분에 2층 내지 3층 형태로 돼있어서 열을 다 품을 수 있게 돼있고..."}
칠불사는 오는 5월 15일 부처님오신날까지 아자방을 일반에 공개할 예정입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태훈 기자
lth4101@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퐁피두 분관 유치 찬반 재점화2025.07.15
-
학생 스마트 단말기 돈 먹는 하마 되나2025.07.15
-
'효과 톡톡' 역대급 용병 전성시대2025.07.15
-
삼계탕 2만원 시대, 소비풍속도도 변화2025.07.15
-
고급차 수리하러 갔다가 봉변...센터 대응에 분개2025.07.15
-
[현장]더 일찍 뜨거워진 바다, 양식장은 비상대기2025.07.14
-
이번엔 '대량 침수'..본격 장마에 우려 커지는 사상하단선2025.07.14
-
왜 부산에만 참변 이어지나?..또 다시 불거진 스프링클러2025.07.14
-
K-방산 전천후 타격 능력 입증, 개발 착착2025.07.14
-
부산,경남 200mm 집중호우..130여건 피해 접수2025.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