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바다숲 1> 기후위기, 바다숲이 사라진다...'갯녹음' 심각
정기형
입력 : 2023.09.27
조회수 : 1368
0
0
<앵커>
기후위기로 해양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해조류와 해초류로 우거진 바다숲이 파괴되며 해양 생물이 살아갈 터전이 송두리째 사라지고 있는데요.
KNN은 기후위기 속 해양 파괴의 심각성을 바다숲을 통해 드러내는 기획 보도를 마련했습니다.
첫 순서로 바다가 사막처럼 황폐해져 버린 갯녹음 실태를 정기형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동해를 지키는 우리섬 울릉도,
바다 한 가운데 자리잡은 생명의 보고입니다.
동해의 바닷 속 모습은 어떨까,
잘자란 해조류 대황이 숲을 이룹니다.
물살에 따라 하늘하늘 흔들립니다.
건강한 바다숲에는 해양생물도 다양합니다.
수백,수천마리가 떼지어 다니는 자리돔,
희귀종 동해비늘배도라치도 카메라에 잡혔습니다.
{김광복/한국수산자원공단 생태복원실/유엽들이 없었어요. 작년까지만해도. 그런데 오늘은 들어가보니 잔잔한 유엽이나 자리돔이 알 낳고 부화하고 새끼놓고 살아가는 모습도 봤고...}
해조류와 해초류로 이뤄진 바다숲은 해양 생태계의 기본이자 가장 중요한 자원입니다.
{김형근/강릉원주대 해양생태환경학과 명예교수/모든 생물의 먹이, 에너지원이 되는 것이 해조류가 되겠습니다. 광합성을 하는 식물로 많은 어패류의 에너지원이 되고요.}
하지만 기후위기로 바다숲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하얗게 질려버린 바다는 생명이 살 수 없는 곳이 되어 버렸습니다.
검은 현무암의 제주 해안도 하얗게 변했습니다.
바다 사막화, 갯녹음 현상입니다.
{강정찬/제주대 기초과학연구소 박사/해수 온난화가 번식을 한다던가 생육을 하는데 억제함으로써 해조류의 생육을 방해하고 결과적으로 갯녹음 현상을 유발한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제주도 뿐 만이 아닙니다.
동해도 남해도 갯녹음이 급속도로 퍼지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로 수온이 높아지고, 바닷 속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합니다.
인간이 쏟아낸 시멘트 등 쓰레기의 석회질이 녹지 못하고 바위와 바닥을 뒤덮어 버린 것입니다.
{정석근/제주대 해양생명과학과 교수/육지 개발에 따른 환경오염 이런 것도 영향을 줘가지고, 해조류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고 제주 소라같은 어패류도 많이 줄어들고...}
우리나라 연안의 갯녹음은 급속도로 늘고 있습니다.
동해 연안의 절반, 제주 연안의 40% 이상이 이미 갯녹음에 잠식됐습니다.
매년 축구장 약 1680개 면적인 1,200ha씩 늘고 있습니다.
{김태훈/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열대아열대연구센터 선임연구원/생물 다양성이 바뀌거나 감소하게 되고 서식지에 의존하는 다양한 해양 생물들이 바뀌게 될 것이고요. 마지막으로 해양 생태계가 전반적으로 다 바뀌기 때문에...}
갯녹음 확산을 막고 바다숲을 살리지 못하면 해양 생태계 전체가 무너지는 것은 시간 문제입니다.
KNN 정기형입니다.
기후위기로 해양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해조류와 해초류로 우거진 바다숲이 파괴되며 해양 생물이 살아갈 터전이 송두리째 사라지고 있는데요.
KNN은 기후위기 속 해양 파괴의 심각성을 바다숲을 통해 드러내는 기획 보도를 마련했습니다.
첫 순서로 바다가 사막처럼 황폐해져 버린 갯녹음 실태를 정기형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동해를 지키는 우리섬 울릉도,
바다 한 가운데 자리잡은 생명의 보고입니다.
동해의 바닷 속 모습은 어떨까,
잘자란 해조류 대황이 숲을 이룹니다.
물살에 따라 하늘하늘 흔들립니다.
건강한 바다숲에는 해양생물도 다양합니다.
수백,수천마리가 떼지어 다니는 자리돔,
희귀종 동해비늘배도라치도 카메라에 잡혔습니다.
{김광복/한국수산자원공단 생태복원실/유엽들이 없었어요. 작년까지만해도. 그런데 오늘은 들어가보니 잔잔한 유엽이나 자리돔이 알 낳고 부화하고 새끼놓고 살아가는 모습도 봤고...}
해조류와 해초류로 이뤄진 바다숲은 해양 생태계의 기본이자 가장 중요한 자원입니다.
{김형근/강릉원주대 해양생태환경학과 명예교수/모든 생물의 먹이, 에너지원이 되는 것이 해조류가 되겠습니다. 광합성을 하는 식물로 많은 어패류의 에너지원이 되고요.}
하지만 기후위기로 바다숲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하얗게 질려버린 바다는 생명이 살 수 없는 곳이 되어 버렸습니다.
검은 현무암의 제주 해안도 하얗게 변했습니다.
바다 사막화, 갯녹음 현상입니다.
{강정찬/제주대 기초과학연구소 박사/해수 온난화가 번식을 한다던가 생육을 하는데 억제함으로써 해조류의 생육을 방해하고 결과적으로 갯녹음 현상을 유발한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제주도 뿐 만이 아닙니다.
동해도 남해도 갯녹음이 급속도로 퍼지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로 수온이 높아지고, 바닷 속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합니다.
인간이 쏟아낸 시멘트 등 쓰레기의 석회질이 녹지 못하고 바위와 바닥을 뒤덮어 버린 것입니다.
{정석근/제주대 해양생명과학과 교수/육지 개발에 따른 환경오염 이런 것도 영향을 줘가지고, 해조류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고 제주 소라같은 어패류도 많이 줄어들고...}
우리나라 연안의 갯녹음은 급속도로 늘고 있습니다.
동해 연안의 절반, 제주 연안의 40% 이상이 이미 갯녹음에 잠식됐습니다.
매년 축구장 약 1680개 면적인 1,200ha씩 늘고 있습니다.
{김태훈/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열대아열대연구센터 선임연구원/생물 다양성이 바뀌거나 감소하게 되고 서식지에 의존하는 다양한 해양 생물들이 바뀌게 될 것이고요. 마지막으로 해양 생태계가 전반적으로 다 바뀌기 때문에...}
갯녹음 확산을 막고 바다숲을 살리지 못하면 해양 생태계 전체가 무너지는 것은 시간 문제입니다.
KNN 정기형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정기형 기자
k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독감 이어 폐렴, 백일해까지 확산 우려2023.12.10
-
아르피나 몸집 줄이기에도 적자 해소 난망2023.12.10
-
밀양 딸기, 해외 수출 판로 넓힌다2023.12.10
-
<바다가 젊어진다-6> '한 달 살기'로 정착, 꿈 많은 청년 김로원2023.12.10
-
12월 기상 관측 이후 가장 더운 겨울2023.12.09
-
조선 화약 무기 전시회, '화력조선' 인기2023.12.09
-
부산·경남 선거구 조정안 유불리 '촉각'2023.12.09
-
창원시 '지속가능 성장 위한 계획' 수립2023.12.09
-
지역주택조합, ‘옥석 가려야’2023.12.08
-
수백만개 맨홀 뚜껑 전수조사, 사실상 시한폭탄2023.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