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경찰, 어린이집 가해 교사 4개월째 소환조사 안해
최한솔
입력 : 2023.02.16 19:46
조회수 : 1242
0
0
<앵커>
부산의 한 국공립어린이집에서 고문에 가까운 학대 정황들이 드러났다는 소식 어제 단독으로 전해드렸습니다.
하지만 사건 신고 넉 달이 지나도록 가해 교사들에 대한 소환 조사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늑장에 부실 수사 논란까지 불거지고 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 동래구의 한 국공립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아동학대 사건.
피해 아동의 어머니가 본 CCTV 영상에는 백여 건이 넘는 학대 정황들이 담겨 있었습니다.
지난해 10월 사건을 신고했지만 넉 달이 지나도록 경찰은 가해 교사 2 명에 대한 소환조사도 안했습니다.
경찰은 두달 치 CCTV를 분석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는 입장입니다.
{피해 아동 학부모/'(구청에서)공문을 보낸 게 (그동안) 전부입니다. 동부아동보호기관에 사례연계를 한다는 공문 발송이 다였고...'}
다른 반 아이들을 비추는 CCTV는 가해교사들 담당이 아니라는 이유로 조사도 안했습니다.
하지만 조사 과정에서 피해 아동이 3명이 추가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같은 어린이집에 보냈던 학부모들은 불안하기만 합니다.
{00어린이집 학부모/'자녀를 여기 믿고 못 보내서 저도 이번달에 퇴소를 해요. 정상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퇴소를 하고 있습니다. 지금.'}
수사가 늦어지는 사이 관할인 동래구청은 수사 결과를 핑계로 아무런 행정조치도 안하고 있습니다.
{00어린이집 학부모/'(어린이집) 보육 교사들이 원장님 지인들로 다 지금 구성이 돼 있는 상황이거든요. 식당에 조리하시는 분도 그렇고 전부 다 원장님 지인들로 구성돼 있는데...'}
정작 피해 학부모가 CCTV 확보가 어렵다는 것도 문제입니다.
학부모 입장에서는 CCTV가 추후 법정다툼과 경찰 수사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때 중요한 증거물인데 경찰이 제공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CCTV는 열람은 가능하지만 개인정보보호법상 제공은 힘들다는 이유입니다.
한편, 트라우마를 앓고 있는 피해 아동은 영유아보호전문기관에서도 두 살 이하 프로그램이 없어 민간병원을 전전하고 있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부산의 한 국공립어린이집에서 고문에 가까운 학대 정황들이 드러났다는 소식 어제 단독으로 전해드렸습니다.
하지만 사건 신고 넉 달이 지나도록 가해 교사들에 대한 소환 조사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늑장에 부실 수사 논란까지 불거지고 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 동래구의 한 국공립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아동학대 사건.
피해 아동의 어머니가 본 CCTV 영상에는 백여 건이 넘는 학대 정황들이 담겨 있었습니다.
지난해 10월 사건을 신고했지만 넉 달이 지나도록 경찰은 가해 교사 2 명에 대한 소환조사도 안했습니다.
경찰은 두달 치 CCTV를 분석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는 입장입니다.
{피해 아동 학부모/'(구청에서)공문을 보낸 게 (그동안) 전부입니다. 동부아동보호기관에 사례연계를 한다는 공문 발송이 다였고...'}
다른 반 아이들을 비추는 CCTV는 가해교사들 담당이 아니라는 이유로 조사도 안했습니다.
하지만 조사 과정에서 피해 아동이 3명이 추가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같은 어린이집에 보냈던 학부모들은 불안하기만 합니다.
{00어린이집 학부모/'자녀를 여기 믿고 못 보내서 저도 이번달에 퇴소를 해요. 정상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퇴소를 하고 있습니다. 지금.'}
수사가 늦어지는 사이 관할인 동래구청은 수사 결과를 핑계로 아무런 행정조치도 안하고 있습니다.
{00어린이집 학부모/'(어린이집) 보육 교사들이 원장님 지인들로 다 지금 구성이 돼 있는 상황이거든요. 식당에 조리하시는 분도 그렇고 전부 다 원장님 지인들로 구성돼 있는데...'}
정작 피해 학부모가 CCTV 확보가 어렵다는 것도 문제입니다.
학부모 입장에서는 CCTV가 추후 법정다툼과 경찰 수사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때 중요한 증거물인데 경찰이 제공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CCTV는 열람은 가능하지만 개인정보보호법상 제공은 힘들다는 이유입니다.
한편, 트라우마를 앓고 있는 피해 아동은 영유아보호전문기관에서도 두 살 이하 프로그램이 없어 민간병원을 전전하고 있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최한솔 기자
cho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양산도시철도 7년 만에 시운전 돌입, 운영사 선정은?2025.05.08
-
현직 경찰이 거액 보이스피싱 조직에 가담, 1명 구속2025.05.08
-
6명 숨진 '반얀트리 참사'...드러난 인허가 비리2025.05.08
-
<단독> 하루 행사에 1억 3천만 원...수상한 수의계약2025.05.07
-
<현장> '제2의 잼버리 사태' 황금연휴 망친 민폐 라면축제2025.05.07
-
현대건설 배짱...나쁜 선례 만드는데 손놓은 부산시2025.05.07
-
부산도시철도망 계획안 공개..또 희망고문?2025.05.07
-
NC파크 올해 재개장 물건너가 지역경제 타격2025.05.07
-
관광 회복 기대했지만...지역별 온도차에 '아쉬움'2025.05.06
-
공공기여 약속 29층이 25층으로...슬그머니 축소?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