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발전소 주변, 암환자 마을 "또 발견"
이태훈
입력 : 2020.09.15 18:22
조회수 : 428
0
0
{앵커:
하동화력발전소 주변의 한 마을에서 암환자가 속출하는데도,
지원금이 주민 건강이 아니라 엉뚱하게 쓰이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습니다.
그런데 취재결과 암환자 마을은 이 마을 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하동화력발전소에서 1.5km 정도 떨어진 광포마을에 살고 있는 86살 김모 할머니.
8년전 유방암 수술을 받았습니다.
{김모 씨/유방암 환자/'암으로 돌아가신 분도 있고 생긴 사람들도 많이 있고 여기 공기가 나빠서 그런가...'
'남편분께서는요?' '여기 이사와서 암으로 죽었어요.' '무슨 암으로 돌아가셨어요?' '폐암이요.'}
남편인 할아버지도 암으로 먼저 떠나 보낸 것입니다.
그런데 마을 내 암환자가 이 할머니 부부만이 아니었습니다.
취재진이 직접 마을을 돌며 암환자를 확인해봤습니다.
170명 정도가 사는 마을에서 전체 주민의 9% 가량인 15명이 암환자 였습니다.
그리고 현재 7명만이 생존해 있습니다.
아버지와 아들이 암에 걸린 경우도 있었습니다.
기존에 암환자 29명이 발생한 명덕마을 이외에 추가 암환자 마을이 더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확인된 것입니다.
광포마을의 경우 암 생존자 비율을 나타내는 암유병률이 4.1%로 국내 평균 3.6%보다
다소 높은 정도였지만 문제는 폐암입니다.
'암환자 15명 중 9명이 폐암이었고, 2016년부터 3년연속 폐암 사망률은 백명당 0.6명으로,
국내 평균인 0.04명보다 15배나 높았습니다.'
{마을 주민/'예전에는 아파도 연세가 많으셔서 아픈거지. 그렇게 암이 걸려서 아프고 그러지는 않았거든요.
지금은 돌아가신다하면 암이거든요.'}
암환자가 29명이 발생한 명덕마을에는 2018년 한해만 암으로 3명이 사망했습니다.
2018년 명덕마을 주민의 암사망률은 백명당 0.8명,
국내 평균 0.15명보다 5배 이상 높습니다.
실제 명덕마을 주민들 몸속에서 비소 등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기도 했습니다.
{김병호/식도암 환자(명덕마을 주민)/'내가 여기 왜 이사를 왔는가 싶어. 이주때문에 오긴 왔는데...
참 눈물나고 그래요.'}
발전소 주변 지역 주민들의 암 전수조사는 물론 발전소와 암의 상관계를 따져보는 면밀한 역학조사가 시급합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하동화력발전소 주변의 한 마을에서 암환자가 속출하는데도,
지원금이 주민 건강이 아니라 엉뚱하게 쓰이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습니다.
그런데 취재결과 암환자 마을은 이 마을 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하동화력발전소에서 1.5km 정도 떨어진 광포마을에 살고 있는 86살 김모 할머니.
8년전 유방암 수술을 받았습니다.
{김모 씨/유방암 환자/'암으로 돌아가신 분도 있고 생긴 사람들도 많이 있고 여기 공기가 나빠서 그런가...'
'남편분께서는요?' '여기 이사와서 암으로 죽었어요.' '무슨 암으로 돌아가셨어요?' '폐암이요.'}
남편인 할아버지도 암으로 먼저 떠나 보낸 것입니다.
그런데 마을 내 암환자가 이 할머니 부부만이 아니었습니다.
취재진이 직접 마을을 돌며 암환자를 확인해봤습니다.
170명 정도가 사는 마을에서 전체 주민의 9% 가량인 15명이 암환자 였습니다.
그리고 현재 7명만이 생존해 있습니다.
아버지와 아들이 암에 걸린 경우도 있었습니다.
기존에 암환자 29명이 발생한 명덕마을 이외에 추가 암환자 마을이 더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확인된 것입니다.
광포마을의 경우 암 생존자 비율을 나타내는 암유병률이 4.1%로 국내 평균 3.6%보다
다소 높은 정도였지만 문제는 폐암입니다.
'암환자 15명 중 9명이 폐암이었고, 2016년부터 3년연속 폐암 사망률은 백명당 0.6명으로,
국내 평균인 0.04명보다 15배나 높았습니다.'
{마을 주민/'예전에는 아파도 연세가 많으셔서 아픈거지. 그렇게 암이 걸려서 아프고 그러지는 않았거든요.
지금은 돌아가신다하면 암이거든요.'}
암환자가 29명이 발생한 명덕마을에는 2018년 한해만 암으로 3명이 사망했습니다.
2018년 명덕마을 주민의 암사망률은 백명당 0.8명,
국내 평균 0.15명보다 5배 이상 높습니다.
실제 명덕마을 주민들 몸속에서 비소 등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기도 했습니다.
{김병호/식도암 환자(명덕마을 주민)/'내가 여기 왜 이사를 왔는가 싶어. 이주때문에 오긴 왔는데...
참 눈물나고 그래요.'}
발전소 주변 지역 주민들의 암 전수조사는 물론 발전소와 암의 상관계를 따져보는 면밀한 역학조사가 시급합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태훈 기자
lth4101@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퐁피두 분관 유치 찬반 재점화2025.07.15
-
학생 스마트 단말기 돈 먹는 하마 되나2025.07.15
-
'효과 톡톡' 역대급 용병 전성시대2025.07.15
-
삼계탕 2만원 시대, 소비풍속도도 변화2025.07.15
-
고급차 수리하러 갔다가 봉변...센터 대응에 분개2025.07.15
-
[현장]더 일찍 뜨거워진 바다, 양식장은 비상대기2025.07.14
-
이번엔 '대량 침수'..본격 장마에 우려 커지는 사상하단선2025.07.14
-
왜 부산에만 참변 이어지나?..또 다시 불거진 스프링클러2025.07.14
-
K-방산 전천후 타격 능력 입증, 개발 착착2025.07.14
-
부산,경남 200mm 집중호우..130여건 피해 접수2025.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