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 라이프 오전 - 축농증에 대해 (최병권 / 좋은문화병원 이비인후과 전문의)

등록일 : 2025-10-23 13:00:34.0
조회수 : 67
부산 경남 8백만 청취자들의 라디오 주치의, KNN웰빙라이프의 조문경 건강캐스터입니다.
아침 저녁으로 차가운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코의 점막이 온도와 습도 변화에 민감해지면서 축농증에 걸리기 쉬운데요. 부비동에 콧물이 고여 염증을 일으키는 축농증은 감기가 걸린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따라서 콧물이나 재채기, 코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방치하지 말고 즉시 치료를 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웰빙 라이프 오늘 이 시간에는 축농증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도움 말씀에는 최병권 이비인후과 전문의입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 최병권입니다.

선생님, 먼저 축농증하면요. 우리에게 익숙한 질환이면서도 어떤 질환인지는 정확히 잘 모르고 있는데요. 축농증, 어떤 질환을 말하는 건가요?

축농증을 다른 말로 부비동염이라고 부릅니다. 우리 얼굴의 코 주변에는 뼈 안쪽으로 공기가 차있는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공간과 코 안쪽이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비염 등의 상황이 오래 지속되면서 연결된 빈 공간으로 염증이 전달되어 부비동의 안쪽 점막이 붓거나 고름이 채워지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것을 축농증이라고 부릅니다.

그렇군요. 그러면 축동증은 도대체 왜 걸리는 거예요? 원인도 궁금합니다. 선생님.

평소에는 부비동과 비강 안쪽의 공간에 환기 시스템이 있어서 분비물이 고이지 않도록 유지가 될 수 있는데 코감기 등이 오래 지속되게 되면 이와 같은 환기 기능이 저하되고 세균활동이 전달돼서 점막이 붓게 되면서 염증 물질이 쌓이게 돼서 축농증이 발생합니다. 이외에 물혹이나 비중격 만곡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도 축농증을 일으킬 수 있고 알러지 비염과 같은 만성 염증 상황도 부비동염의 원인이 됩니다.

알겠습니다. 또 축농증은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서 오해하는 경우도 많은데요. 감기와 축농증의 차이점, 어떤 게 있을까요?

코감기의 경우도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에 의해서 생기는 코의 염증이기 때문에 축농증의 초기 상태와 증상은 비슷합니다. 그래서 두 경우 모두 화농성의 누런 코, 코막힘과 같은 증상이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비동염은 좀 더 진행된 염증의 형태를 띄기 때문에 이외에도 두통과 안면통, 후각저하, 후비루에 의한 만성적인 기침과 악취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그렇군요. 진단을 통해서 축농증이 확진됐을 경우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또 수술도 있다고 들었거든요. 자세히 좀 알려 주세요.

부비동염의 치료 원칙은 부비동 안쪽의 환기 작용을 회복시키는 것인데 일차적으로 약물치료가 우선입니다. 적절한 항생제와 비강 점막 수축제, 진통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알러지 증상이 있다면 항히스타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약물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만성적인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물혹, 비중격 만곡과 같은 해부학적인 이상이 있거나 곰팡이 감염에 의한 축농증이 발생했을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요즘은 내시경을 통한 수술로 적절한 염증조직의 제거와 부비동의 개방을 통한 염증의 해결을 기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술은 확대된 수술 시야에서 출혈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모든 조작이 콧구멍 안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술 후에 상처가 남지 않으면서 회복도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알겠습니다. 축농증 수술 이후에 주의해야 할 사항은 없을까요. 그리고 재발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궁금해요. 선생님.

수술 이후에는 감기가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식염수를 이용한 세척과 점막이 잘 회복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염증 조직을 제거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재발을 막기 위해서 완전히 회복된 이후라도 수개월에 한번씩은 외래를 방문해서 내시경을 통해 수술 부위를 확인하고 물혹과 같은 이상 조직이 다시 자라지는 않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평소 알러지가 있다면 증상이 오래 지속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말씀해주시는 주의점 잘 기억하셨으면 좋겠네요. 오늘은 축농증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부산 경남 8백만 청취자들의 라디오 주치의, KNN웰빙라이프. 지금까지 최병권 이비인후과 전문의였습니다.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