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 라이프 오후 - 성조숙증에 대해 (심재원 / 심재원한의원 원장)
등록일 : 2025-05-02 12:54:34.0
조회수 : 45
부산 경남 8백만 청취자들의 라디오 주치의, KNN웰빙라이프의 조문경건강캐스터입니다.
우리 때와 달리 요즘 아이들 너무 빨라라는 말 많이 하시죠? 받아들이는 학습능력도 빠르고 무엇보다 신체적으로도 옛날과 비교가 안될 만큼 성장이 빠른데요. 하지만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너무 빨리 성장해서 혹시 성조숙증이 아닐까 걱정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웰빙라이프 오늘 이 시간에는 성조숙증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도움 말씀에는 심재원 성장 성조숙증 전문 한의학박사입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한의학 박사 심재원입니다.
선생님, 성조숙증이라는 말 요즘 많이 듣게 되는데요. 정확히 어떤 질환인지 자세한 설명 부탁드려요.
요즘 아이들은 조부모보다 4년 부모세대보다 2년 더 성숙이 빠르기 때문에 남자아이는 만 11세, 여자아이는 만 9세가 된 이후에 성징이 오면 정상입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점점 빨라진 사춘기 시기 때문에 그보다 더 이른 시기에 성징이 나타나는 경우가 계속 늘어나구요. 이처럼 정상적인 사춘기 시기보다 더 빨리 성징이 나타나는 병을 성조숙증이라고 합니다. 남자아이는 만 9세 이전에 고환이 발달하거나 여자아이는 만 8세 이전에 가슴 몽우리가 나타난다면 성조숙증으로 진단합니다. 따라서 대략적으로 여아는 초등학교 3학년 전에 남자아이는 초등학교 5학년보다 먼저 성징이 나타나는지 어른들이 주기적으로 확인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의 증상이 눈에 띈다면 즉각 검사를 해보는 게 좋겠네요. 성조숙증으로 정서적, 육체적 고통을 겪는 경우도 많다고 하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우선 일반적으로 부모님이 주신 유전적 예측키에서 마이너스 5cm 이상이 됩니다. 또한, 사회적으로 성숙하기 전에 육체가 먼저 성숙하는 탓에 정서적인 부분도 문제가 되지요. 그리고 성숙이 빠른 만큼 조기폐경이나 성호르몬 계통의 질환이 생기기도 쉽기 때문에 발생한다면 즉시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그래서 키성장에 관해서 조금 더 설명을 드리자면 예를 들어 여자아이는 만 9세 이후에 가슴 몽우리가 발생하는 성징이 나타나야 되는데 만 8세에 성징이 나타난다고 한다면 일반적으로 가슴이 잡히고 1년에서 1년 반 정도 지나면 초경을 합니다. 그리고 초경 후에 2년에서 2년 반 더 크는 게 일반적인데 그 기간도 1년 반 정도로 감소하게 되죠. 그렇기 때문에 사춘기 기간동안 키를 손해보고 사춘기 이후에도 빠르게 문을 닫다 보니 키를 또 손해봅니다. 결국 부모님의 유전적 예측키에서 마이너스 5cm 이상의 상황이 되고 결과적으로 최종키를 크게 손해보게 되는 것이죠.
그렇군요. 이런 문제점들이 있다보니까 부모들이 우리 아이에게 조금만 이상한 점이 발견돼도 혹시 성조숙증이 아닐까 겁이 나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어떤가요?
일단 여자아이 같은 경우에는 가슴몽우리가 잡히는 것이 시작이구요, 남자아이의 경우에는 고환이 발달하는 것이 시작입니다. 그리고 남아 여아 구분 없이 머리 냄새가 갑자기 심하게 나거나 전보다 감정기복이 심해지는 것, 또 이른 음모가 발생하는 것도 하나의 신호가 됩니다. 그래서 이런 현상이 동시에 나타난다면 꼭 검사를 의뢰해봐야겠지요. 그리고 성조숙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생활환경을 조절하셔야 되는데요. 우선 환경호르몬에 노출되지 않는지 보셔야 됩니다. 또 화학적인 장난감을 피하시고 가공식품을 줄여 먹이셔야겠지요. 그리고 일반적인 영양제는 괜찮지만 초유, 오메가3, 홍삼, dha, epa, 베리 추출물 같은 건강기능식품을 과하게 복용시키는 것도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나이에 맞게 성장을 하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한 것 같은데요. 성 조숙증으로 진단을 받으면 치료과정도 궁금합니다. 자세히 좀 알려 주세요.
두 가지 방법이 합쳐져야 합니다. 우선 성호르몬을 억제해서 사춘기 기간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는 치료, 그리고 그 기간 동안 최대한 많은 키가 클 수 있도록 도와주는 키성장치료, 이 두가지 치료가 합쳐진 것이 성조숙증 치료가 됩니다. 따라서 당연히 성호르몬의 상승을 억제해서 사춘기 종료까지의 시기를 늦춰주는 한의학 치료법을 구성하고요. 그리고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부분들이 있는데요. 성조숙증으로 성호르몬이 급상승하면 사춘기 기간이 짧아지는 반면 키를 키우는 역할이 오히려 강해져서 키는 더 빠르게 크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호르몬을 억제하게 되면 성호르몬이 키를 키워주는 역할이 감소하면서 키성장도 부족해지게 마련이기 때문에 그래서 억제치료에 더해서 키성장을 촉진시키는 한의학적 치료법도 함께 시행해야 하는 것이죠. 이런 식으로 성호르몬 지연치료와 키성장치료를 함께 진행하게 됩니다.
알겠습니다. 정확한 검사와 또 그에 맞는 치료를 통해서 우리 아이 성장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 기억하시면 좋겠네요.
웰빙라이프 오늘은 성조숙증에 대해서 알아봤구요. 지금까지 심재원 한의학박사였습니다.
우리 때와 달리 요즘 아이들 너무 빨라라는 말 많이 하시죠? 받아들이는 학습능력도 빠르고 무엇보다 신체적으로도 옛날과 비교가 안될 만큼 성장이 빠른데요. 하지만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너무 빨리 성장해서 혹시 성조숙증이 아닐까 걱정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웰빙라이프 오늘 이 시간에는 성조숙증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도움 말씀에는 심재원 성장 성조숙증 전문 한의학박사입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한의학 박사 심재원입니다.
선생님, 성조숙증이라는 말 요즘 많이 듣게 되는데요. 정확히 어떤 질환인지 자세한 설명 부탁드려요.
요즘 아이들은 조부모보다 4년 부모세대보다 2년 더 성숙이 빠르기 때문에 남자아이는 만 11세, 여자아이는 만 9세가 된 이후에 성징이 오면 정상입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점점 빨라진 사춘기 시기 때문에 그보다 더 이른 시기에 성징이 나타나는 경우가 계속 늘어나구요. 이처럼 정상적인 사춘기 시기보다 더 빨리 성징이 나타나는 병을 성조숙증이라고 합니다. 남자아이는 만 9세 이전에 고환이 발달하거나 여자아이는 만 8세 이전에 가슴 몽우리가 나타난다면 성조숙증으로 진단합니다. 따라서 대략적으로 여아는 초등학교 3학년 전에 남자아이는 초등학교 5학년보다 먼저 성징이 나타나는지 어른들이 주기적으로 확인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의 증상이 눈에 띈다면 즉각 검사를 해보는 게 좋겠네요. 성조숙증으로 정서적, 육체적 고통을 겪는 경우도 많다고 하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우선 일반적으로 부모님이 주신 유전적 예측키에서 마이너스 5cm 이상이 됩니다. 또한, 사회적으로 성숙하기 전에 육체가 먼저 성숙하는 탓에 정서적인 부분도 문제가 되지요. 그리고 성숙이 빠른 만큼 조기폐경이나 성호르몬 계통의 질환이 생기기도 쉽기 때문에 발생한다면 즉시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그래서 키성장에 관해서 조금 더 설명을 드리자면 예를 들어 여자아이는 만 9세 이후에 가슴 몽우리가 발생하는 성징이 나타나야 되는데 만 8세에 성징이 나타난다고 한다면 일반적으로 가슴이 잡히고 1년에서 1년 반 정도 지나면 초경을 합니다. 그리고 초경 후에 2년에서 2년 반 더 크는 게 일반적인데 그 기간도 1년 반 정도로 감소하게 되죠. 그렇기 때문에 사춘기 기간동안 키를 손해보고 사춘기 이후에도 빠르게 문을 닫다 보니 키를 또 손해봅니다. 결국 부모님의 유전적 예측키에서 마이너스 5cm 이상의 상황이 되고 결과적으로 최종키를 크게 손해보게 되는 것이죠.
그렇군요. 이런 문제점들이 있다보니까 부모들이 우리 아이에게 조금만 이상한 점이 발견돼도 혹시 성조숙증이 아닐까 겁이 나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어떤가요?
일단 여자아이 같은 경우에는 가슴몽우리가 잡히는 것이 시작이구요, 남자아이의 경우에는 고환이 발달하는 것이 시작입니다. 그리고 남아 여아 구분 없이 머리 냄새가 갑자기 심하게 나거나 전보다 감정기복이 심해지는 것, 또 이른 음모가 발생하는 것도 하나의 신호가 됩니다. 그래서 이런 현상이 동시에 나타난다면 꼭 검사를 의뢰해봐야겠지요. 그리고 성조숙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생활환경을 조절하셔야 되는데요. 우선 환경호르몬에 노출되지 않는지 보셔야 됩니다. 또 화학적인 장난감을 피하시고 가공식품을 줄여 먹이셔야겠지요. 그리고 일반적인 영양제는 괜찮지만 초유, 오메가3, 홍삼, dha, epa, 베리 추출물 같은 건강기능식품을 과하게 복용시키는 것도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나이에 맞게 성장을 하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한 것 같은데요. 성 조숙증으로 진단을 받으면 치료과정도 궁금합니다. 자세히 좀 알려 주세요.
두 가지 방법이 합쳐져야 합니다. 우선 성호르몬을 억제해서 사춘기 기간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는 치료, 그리고 그 기간 동안 최대한 많은 키가 클 수 있도록 도와주는 키성장치료, 이 두가지 치료가 합쳐진 것이 성조숙증 치료가 됩니다. 따라서 당연히 성호르몬의 상승을 억제해서 사춘기 종료까지의 시기를 늦춰주는 한의학 치료법을 구성하고요. 그리고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부분들이 있는데요. 성조숙증으로 성호르몬이 급상승하면 사춘기 기간이 짧아지는 반면 키를 키우는 역할이 오히려 강해져서 키는 더 빠르게 크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호르몬을 억제하게 되면 성호르몬이 키를 키워주는 역할이 감소하면서 키성장도 부족해지게 마련이기 때문에 그래서 억제치료에 더해서 키성장을 촉진시키는 한의학적 치료법도 함께 시행해야 하는 것이죠. 이런 식으로 성호르몬 지연치료와 키성장치료를 함께 진행하게 됩니다.
알겠습니다. 정확한 검사와 또 그에 맞는 치료를 통해서 우리 아이 성장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 기억하시면 좋겠네요.
웰빙라이프 오늘은 성조숙증에 대해서 알아봤구요. 지금까지 심재원 한의학박사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