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 라이프 오전 - 시린 이의 진단과 치료법에 대해 (서현웅 / 서울하이안치과 통합치의학과 전문의)
등록일 : 2025-02-03 14:54:15.0
조회수 : 31
부산 경남 8백만 청취자들의 라디오 주치의 KNN웰빙라이프의 조문경건강캐스터입니다.
찬 물을 마실 때마다 이가 시큰시큰해서 고생하시는 분들 주변에 보면 꽤 많은데요. 이가 시린 이유도 다양하고 치료방법도 원인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원인과 치료법을 잘 알아둬야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웰빙라이프 오늘은 시린 이의 진단과 치료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도움 말씀에는 서현웅 통합치의학과 전문의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통합치의학과 전문의 서현웅입니다.
선생님, 시린 이 때문에 찬 음식, 찬 물 근처도 못간다는 분들 많으신데요. 이가 시리다, 정확히 어떤 상태를 말하는 건가요?
치아가 시리다는 것은 일반적인 자극에도 치아가 민감하게 반응을 하는 상태를 말하는데요. 이런 경우 크게 두 가지 상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치아가 마모되거나 치주질환 등으로 잇몸이 내려가 상아질이라고 부르는 치아의 속살이 노출되는 경우이구요. 다른 한가지는 치수염이 발생된 상태 즉, 치아 신경에 염증이 생겨있는 경우인데요. 이 경우엔 시리지 않을 일반적인 온도 자극에도 치아가 민감하게 반응해서 이가 시릴 수 있고 가만히 있을때도 아픈 자발통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군요. 시린 이의 원인도 다양하다고 들었습니다. 주로 어떤 원인들이 있는지 궁금해요. 자세한 설명 부탁드려요.
원인은 아까 말씀드린 치아의 상태에 따라 다른데요. 상아질이 노출된 경우는 보통 잘못된 칫솔질, 이갈이, 과한 교합력 등으로 인해 치아에 마모가 생겨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구요. 또 치주질환으로 잇몸이 내려 가면서 상아질로 만들어진 치아의 뿌리가 바깥으로 들어났을 때 발생하기도 합니다.
치아 신경에 염증이 생기는 치수염의 경우 원인은 대표적으로 심한 충치가 있구요. ‘치아에 금이 갔다’ 라고 하는 치아 파절, 아니면 반복되는 강한 자극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시린이가 고민돼서 치과를 찾으면 주로 어떤 방법으로 진단을 하게 되나요?
그런분들이 오시면 먼저 통증은 어느정도인지, 차가운 것에 시린지 아니면 뜨거운 것에 통증이 있는지 등 말씀을 들어보구요. 그 다음 입 안을 보는데요. 치아에 충치나 크랙이 있는지 아니면 치아의 마모가 있는지 등을 육안으로 확인합니다.
이때 의심이 가는 치아에 바람을 불거나 차가운 얼음 등으로 시린 정도를 확인 하는데 환자분의 증상이 약간 시린 정도 인지, 너무 시려서 깜짝 놀랄 정도 인지, 아니면 시린 정도를 넘어서 아픈 정도 인지를 보고 종합적으로 진단을 하게 됩니다.
그렇군요. 원인과 진단을 받았으니까 이제 치료를 잘 해야 할텐데요. 일반적으로는 불소치료를 많이 알고 계시잖아요. 주로 어떤 치료법들을 하게 되나요?
만약 증상이 심하지 않고 치아에 마모된 부분이 있다면 치과 재료를 이용해서 수복해 주거나 지각과민처치제라는 것을 이용해서 치아를 코팅해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치료 방법인데요. 특별히 문제가 없는 치아인데 시린 증상이 조금 있다면 자연적으로 회복될 수도 있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지켜보기도 합니다.
하지만 시린 증상이 너무 심해서 통증처럼 느껴지거나 가만히 있어도 시린 치아는 추가 검사 후 신경치료를 들어가기도 합니다.
그렇군요. 끝으로 생활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시린 이 예방 관리법 간단히 알려 주신다면요?
시린이는 원인이 워낙 다양해서 예방법도 많은데요. 가장 중요한 것은 정기적으로 치과에서 검진을 받아 적절한 시기에 충치를 치료하고 마모된 부위를 수복하여 상아질을 보호해 주는 등 치아가 시릴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일상생활 속에서는 질기거나 단단한 음식을 먹는 것을 줄이고 양치질을 할 때는 너무 강한 힘으로 하는 것을 피해야 하구요. 연마제가 많이 들어간 치약의 사용은 피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이갈이가 있거나 악무는 습관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치료를 해야 하고 너무 차갑거나 뜨거운 음식물을 즐기시는 분들은 심한 온도차이에 의해 치아의 신경이 자극되면서 멀쩡하던 치아가 시려질 수도 있기 때문에 그러한 음식을 줄이시는 것이 좋습니다.
알겠습니다. 관리법 잘 기억하셨다가 건강한 치아 유지하셨으면 좋겠네요.
부산 경남 8백만 청취자들의 라디오 주치의, KNN웰빙라이프. 지금까지 서현웅 통합치의학과 전문의였습니다.
찬 물을 마실 때마다 이가 시큰시큰해서 고생하시는 분들 주변에 보면 꽤 많은데요. 이가 시린 이유도 다양하고 치료방법도 원인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원인과 치료법을 잘 알아둬야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웰빙라이프 오늘은 시린 이의 진단과 치료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도움 말씀에는 서현웅 통합치의학과 전문의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통합치의학과 전문의 서현웅입니다.
선생님, 시린 이 때문에 찬 음식, 찬 물 근처도 못간다는 분들 많으신데요. 이가 시리다, 정확히 어떤 상태를 말하는 건가요?
치아가 시리다는 것은 일반적인 자극에도 치아가 민감하게 반응을 하는 상태를 말하는데요. 이런 경우 크게 두 가지 상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치아가 마모되거나 치주질환 등으로 잇몸이 내려가 상아질이라고 부르는 치아의 속살이 노출되는 경우이구요. 다른 한가지는 치수염이 발생된 상태 즉, 치아 신경에 염증이 생겨있는 경우인데요. 이 경우엔 시리지 않을 일반적인 온도 자극에도 치아가 민감하게 반응해서 이가 시릴 수 있고 가만히 있을때도 아픈 자발통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군요. 시린 이의 원인도 다양하다고 들었습니다. 주로 어떤 원인들이 있는지 궁금해요. 자세한 설명 부탁드려요.
원인은 아까 말씀드린 치아의 상태에 따라 다른데요. 상아질이 노출된 경우는 보통 잘못된 칫솔질, 이갈이, 과한 교합력 등으로 인해 치아에 마모가 생겨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구요. 또 치주질환으로 잇몸이 내려 가면서 상아질로 만들어진 치아의 뿌리가 바깥으로 들어났을 때 발생하기도 합니다.
치아 신경에 염증이 생기는 치수염의 경우 원인은 대표적으로 심한 충치가 있구요. ‘치아에 금이 갔다’ 라고 하는 치아 파절, 아니면 반복되는 강한 자극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시린이가 고민돼서 치과를 찾으면 주로 어떤 방법으로 진단을 하게 되나요?
그런분들이 오시면 먼저 통증은 어느정도인지, 차가운 것에 시린지 아니면 뜨거운 것에 통증이 있는지 등 말씀을 들어보구요. 그 다음 입 안을 보는데요. 치아에 충치나 크랙이 있는지 아니면 치아의 마모가 있는지 등을 육안으로 확인합니다.
이때 의심이 가는 치아에 바람을 불거나 차가운 얼음 등으로 시린 정도를 확인 하는데 환자분의 증상이 약간 시린 정도 인지, 너무 시려서 깜짝 놀랄 정도 인지, 아니면 시린 정도를 넘어서 아픈 정도 인지를 보고 종합적으로 진단을 하게 됩니다.
그렇군요. 원인과 진단을 받았으니까 이제 치료를 잘 해야 할텐데요. 일반적으로는 불소치료를 많이 알고 계시잖아요. 주로 어떤 치료법들을 하게 되나요?
만약 증상이 심하지 않고 치아에 마모된 부분이 있다면 치과 재료를 이용해서 수복해 주거나 지각과민처치제라는 것을 이용해서 치아를 코팅해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치료 방법인데요. 특별히 문제가 없는 치아인데 시린 증상이 조금 있다면 자연적으로 회복될 수도 있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지켜보기도 합니다.
하지만 시린 증상이 너무 심해서 통증처럼 느껴지거나 가만히 있어도 시린 치아는 추가 검사 후 신경치료를 들어가기도 합니다.
그렇군요. 끝으로 생활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시린 이 예방 관리법 간단히 알려 주신다면요?
시린이는 원인이 워낙 다양해서 예방법도 많은데요. 가장 중요한 것은 정기적으로 치과에서 검진을 받아 적절한 시기에 충치를 치료하고 마모된 부위를 수복하여 상아질을 보호해 주는 등 치아가 시릴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일상생활 속에서는 질기거나 단단한 음식을 먹는 것을 줄이고 양치질을 할 때는 너무 강한 힘으로 하는 것을 피해야 하구요. 연마제가 많이 들어간 치약의 사용은 피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이갈이가 있거나 악무는 습관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치료를 해야 하고 너무 차갑거나 뜨거운 음식물을 즐기시는 분들은 심한 온도차이에 의해 치아의 신경이 자극되면서 멀쩡하던 치아가 시려질 수도 있기 때문에 그러한 음식을 줄이시는 것이 좋습니다.
알겠습니다. 관리법 잘 기억하셨다가 건강한 치아 유지하셨으면 좋겠네요.
부산 경남 8백만 청취자들의 라디오 주치의, KNN웰빙라이프. 지금까지 서현웅 통합치의학과 전문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