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 라이프 오후 - 생리불순에 대해 (박주영 / 삼성리한여성의원 산부인과 전문의)

등록일 : 2024-01-24 18:09:18.0
조회수 : 622
부산 경남 8백만 청취자들의 라디오 주치의, KNN웰빙라이프의 조문경 건강캐스터입니다.
생리는 임신이 가능한 여성이 되는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만약 생리주기인데도 생리를 하지 않거나 부정출혈이 있으면 생리불순을 의심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웰빙라이프 오늘 이 시간에는 생리불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도움 말씀에 박주영 산부인과 전문의입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산부인과 전문의 박주영입니다.

성인 여성의 경우에는 개인마다 생리양, 생리주기가 다 다른데요. 이런만큼 생리주기에도 생리를 하지 않거나 부정출혈이 계속되는 등의 생리불순으로 고민하는 여성분들도 정말 많잖아요. 생리불순, 정확히 어떤 질환을 말하는 건가요. 선생님.

보통 산부인과에서 말하는 정상 생리는 24-38일마다, 대략 40-80cc 정도의 출혈이 4-6일 정도 기간동안 지속되는 것을 말하는데요. 간단하게 생각하면 한달에 한번 정도, 요구르트 한병 정도의 출혈이 1주일 정도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 생리는 출혈이 나오기 시작해서 2-3일까지 점점 양이 많아지다가 다시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게 되는데 말씀드린 양상이 아닌 질출혈이 있거나 너무 오랜 기간 생리가 없고 주기가 너무 불규칙하다면 생리 불순을 의심해보셔야 하겠습니다.

그렇군요. 생리불순이 발생하는 원인도 궁금합니다.

생리 불순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먼저 비정상적인 질출혈이 반복해서 나타나는 경우에는 나이에 따라 원인이 조금씩 다르지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은 임신과 관련된 출혈이 아닌지 하는 것이구요. 그밖에도 호르몬에 영향을 주는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건 아닌지, 갑상선 기능의 문제가 있는 건 아닌지도 확인을 하게 됩니다. 자궁경부염증이나 감염이 있는 경우에도 출혈이 있을 수 있으니 확인을 하셔야 되구요. 구조적인 문제로 자궁근종이나 용종이 출혈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생리가 너무 오랫동안 없거나 있더라도 조금씩 묻어나면서 끝난다면 다낭성난소 증후군이나 고안드로겐혈증 같은 병이 있는 건 아닌지도 확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생리불순은 아니지만 폐경 이행기나 폐경 이후에 자주 질출혈이 있으시다면 출혈량에 상관없이 반드시 철저한 검사를 받아서 악성 질환 여부를 평가해야 하겠습니다.

그렇군요. 생리를 안하거나 혹은 부정출혈 등이 나타나면 생리불순으로 볼 수 있는 거네요, 생리불순이 의심돼서 병원을 찾으면 주로 어떤 검사를 받게 되나요?

생리를 안하거나 부정출혈이 있으면 생리 불순으로 보고 산부인과 진료를 보게 되는데요. 내원하시면 생리불순의 원인을 찾는 검사들을 하게 되고 내원 당일에 시행해서 결과를 바로 알 수 있는 검사는 골반초음파 검사와 내진입니다. 초음파에서 자궁내막이 너무 두껍거나 모양이 좋지 않으면 조직검사를 추가적으로 시행하기도 하구요. 환자분마다 생리 불순의 양상이 다르기 때문에 의심되는 원인이 어떤 것인지에 따라서 혈액검사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정말 다양한 검사를 하네요. 생리불순의 구체적인 치료 방법도 궁금합니다. 선생님. 자세히 좀 알려 주세요.

부정출혈의 원인이 확인되면 이 원인을 교정하는 치료를 하게 되는데요. 내분비적인 질병이 확인되면 이에 대한 치료를 하게 되고 용종이나 근종 같은 구조적인 이상이 있다면 이것을 제거하는 시술이나 수술을 시행합니다.
생리가 3개월 이상 없는 경우에는 약물을 통해 인위적으로 생리를 유도하기도 하구요. 생리가 오랫동안 없는 젊은 여성에서는 적지 않은 빈도로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 확인되는데 다낭성 난소 증후군은 혈액에 안드로겐이라고 하는 남성호르몬 농도가 너무 높아지면서 생리를 안하게 되고 여드름이 많이 난다거나 털이 많이 나는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경우는 남성 호르몬 수치도 낮춰주고 생리를 규칙적으로 만들어주면서 자궁내막을 보호해주기 위한 치료로 일정 기간 피임약을 복용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치료방법들 잘 기억하시면 좋겠네요. 생리불순을 예방할 수 있는 도움되는 생활 습관들도 팁으로 전달해 주신다면요?

생활 습관적으로 예방을 한다기 보다는 생리불순을 유발하는 원인이 뚜렷하게 있다면 그것을 교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요즘 너무 다들 바쁘게 지내고 계시고 지난달에 생리를 했는지 안했는지 조차 기억이 안 나시는 분들도 많잖아요. 가장 바람직한 것은 내가 생리를 얼마에 한번씩, 어떻게 하고 있는지 체크하는 거거든요.
요즘에는 스마트폰에 생리 어플도 잘 나오고 있으니 조금 귀찮을 수 있지만 어플을 다운받으셔서 생리 주기를 체크하시고 뭔가 이상이 있는 것 같다고 생각이 되면 일찍 병원에 내원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알겠습니다. 말씀해주신 주의사항 잘 기억하셨으면 좋겠네요. 오늘은 생리불순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부산경남 8백만 청취자들의 라디오 주치의, KNN웰빙라이프. 지금까지 박주영 산부인과 전문의였습니다.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