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기사모아보기

기자
  기자
""

부산 엑스포 국회특위 출범

<앵커> 부산 월드 엑스포 유치를 위한 국회차원의 특별위원회가 오늘(9) 구성돼 본격 활동에 들어갔습니다. 국회 특위가 출범함에따라 엑스포 유치에 필요한 예산 확보에도 파란불이 켜졌습니다. 서울에서 구형모기자입니다. <기자> 부산 월드엑스포 유치지원을 위한 국회차원의 특별 기구가 첫 모임을 갖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습니다. 공식 명칭은 국회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지원 특별위원회. 여야 위원 18명으로 구성됐는데 부산출신 의원이 7명이나 됩니다. 서병수 위원장뿐 아니라 박재호 ,안병길 여야 간사도 부산 의원이 맡아 앞으로 특위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게 됐습니다. 상견례를 겸한 첫 회의에는 박형준 부산시장과 김영주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장도 자리를 함께했습니다. 새정부 출범을 앞두고 있는만큼, 강력한 유치추진체계의 필요성과 10대 글로벌 기업들의 실질적 참여 협조를 특위에 요청했습니다. {박형준 부산시장/"한국의 가장 큰 자원중의 하나인 글로벌 기업들의 적극적 활동이 절실합니다. 이러한 글로벌 기업들이 갖고 있는 통상 네트워크와 다양한 인적네트워크를 적극 동원할 수 있도록(국회차원에서 지원해 주시길 바랍니다)"} 서병수 특위위원장은 국회차원의 적극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서병수 국회 2030 부산세계박람회 특별위원회 위원장/ "그리고 더욱 중요한것은 정부와 민간부분에서 나서서 강력하게 유치를 할 수 있도록 환경과 지원을 국회에서 하는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민과 관에 이어 여야를 초월한 범정치권의 지원도 확보함으로써 부산월드엑스포 유치 활동은 더욱 탄력을 받게 됐습니다. 서울에서 knn 구형모입니다.
2022.02.10

예탁결제원 공공기관 해제, 지역사회 충격

<앵커> 여야 대선후보들이 요즘 잇따라 공공기관 추가 이전을 공약으로 내놓고 있는데요. 그런데 부산으로 이전한 금융공공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은 반대로 공공기관에서 지정해제돼 지역사회에 우려와 충격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이런가운데 오늘(4) 국회에서는 공공기관 지정을 해제한 기재부의 공식 입장이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구형모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15년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한 한국예탁결제원. 직원수 770여명으로 해마다 30%이상 지역인재를 채용해온데다 사회 공헌 사업 등을 통해 지역균형발전에 도움을 줬습니다. 그런데 설연휴를 앞둔 지난달 28일 사전예고없이 공공기관에서 지정해제됐습니다. 지정해제로 본사 서울이전 우려 등 지역사회 충격에 대한 질타가 오늘 국회에서 제기됐습니다. {서병수 국회의원(국민의힘,부산진갑)/기재부가 3년전부터 (공공기관 지정해제를) 준비했다는 평이있습니다. 실제로 2020년 이명호 현 예탁결제원 사장 취임전에 예탁결제원 사장은 공공기관 해제능력이 관건이라는 하마평이 있었고..} 이에대해 기재부는 정부 지원액 비중50% 이상 요건에 미달해 어쩔수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홍남기 부총리(기재부장관)/다시 요건에 해당되면 즉시 공공기관에 재지정할 예정입니다.} 홍부총리는 또 지정해제됐지만 본사 서울이전은 말도 안된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홍남기 부총리(기재부장관)/예탁결제원 같은 경우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의 자본시장육성법에 따라 감독을 받습니다. 그런의미에서 그런(본사 서울이전) 결정은 쉽게하기 어려울 것 같구요.} 이로서 예탁결제원 본사 서울 이전 움직임은 당분간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공공기관 해제에 따른 방만 경영이나 지역사회 공헌 축소 우려는 커졌습니다. 따라서 예탁결제원에 대한 지역균형발전 차원의 보다 근본적인 법적 보완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서울에서 KNN 구형모입니다.
2022.02.04

지역방송 활성화 , 공공방송법 제정 필요

<앵커> 수도권 집중화로 지방소멸 위기가 커지고 있는가운데 최근 넷플리스와 유튜브 등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등장으로 지역 지상파 방송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지역 공동체와 문화발전의 중심인 지역 지상파 방송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구형모기자입니다. {리포트}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에 넷플릭스 와 유튜브 등 새로운 디지털 매체의 급성장, 여기에 광고 급감 등으로 지역방송은 이중삼중의 위기를 맞고 있있습니다. 이같은 외환경변화속에서 지역방송의 활성화와 역할을 모색해보는 토론회가 국회에서 열렸습니다. 지상파 방송을 모두 공공방송으로 규정해 그 안에서 지역균형발전과 지역콘텐츠 산업육성 등 지역방송의 책임을 강조하는 가칭 공공방송법 제정이 핵심입니다. 이를 통해 지역방송 발전기금을 명문화하고, 지방세의 일종인 공공미디어 서비스세를 도입해 지역방송 활성화 재원으로 활용하자는 겁니다. 또, 디지털 콘텐츠 클러스터를 권역별로 구축해 지역성을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산업을 육성하고, 방송정책에 지역성을 담아낼 지역방송위원회도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이만제 / 원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지역방송의 문제는 우리 공동체 전체의 문제이고 지상파 전체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어떻게 미래를 준비 할 것인가에 문제 그 안에서 지역방송으로 우리가 같이 논의하는 게 필요하기 때문에...'} 나아가 지역방송문제는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고, {이상민 / 더불어민주당 의원/'지역 방송이 활성화 돼야 지역의 목소리가 대변되고 분권과 균형발전을 같이 이루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와 함께 이루어 지도록 그 협력 모델이 굳건하게 마련돼야 되고'} 정부광고에 대한 언론재단의 독점 완화 문제도 제기됐습니다. {안정상 민주당 방송통신수석전문위원/ 정부광고가 갖고있는 독점이에요, 독점. 언론진흥재단이 독점을 하고 있단 말이에요. 불법입니다. 위헌적인 소지가 많아요} 이밖에도 이번 국회토론회에서는 지역에서 제작한 방송 컨텐츠의 중앙방송내 편성 쿼터 할당제 도입 등 다양한 지역방송 활성화 방안들도 제시됐습니다. 서울에서 knn 구형모입니다.
2022.01.20
사이트맵